그동안 광색역 지원 모니터에서 원시 색역, 즉 어도비 RGB로 캘리하면 이미지에 채도가 올라가는 색포화 현상이 나타나는 줄 알고 있었는데 캘리해서 ICC 프로파일을 만들고 ICC 프로파일이 제대로 적용되는 뷰어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색포화 없는 srgb 이미지를 볼 수 있단 글을 다시 읽고 좀 자세히 살펴보니 그동안 왜 색포화된 이미지를 보았는지 그 이유를 알았습니다.
색포화 없는 제대로 된 이미지를 보기 위해선 일단 CMS를 지원하는 뷰어를 사용해야 하며 저는 꿀뷰를 추천합니다. (acdsee도 있는데 이쪽은 유료에 조금 무거웠던걸로 기억합니다.) 꿀뷰를 설치하시고 반드시 영상 처리 설정에서 모니터에 설정된 ICC 데이타를 이미지에 적용해서 보여주기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기본 설정엔 꺼져있습니다.) CMS 지원이 된다고 알려진 패스트스톤 뷰어는 옵션에 설정만 있을 뿐 지원이 안되네요. 이 뷰어 문제 때문에 제가 초반에 어도비 RGB로 캘리하고 색 포화 현상이 일어나는 줄 알았으나 꿀뷰로 옵션 설정한 후엔 그런 현상이 없이 제대로 된 이미지가 나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즉 포토샵과 라룸에서 볼 때랑 똑같은 색감이 나옵니다. 일전에 광색역 캘리했을 때 뷰어로 본 후 라룸만 한번 더 들어가서 확인했으면 좋았을텐데 부끄럽네요.)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경우는 파이어폭스를 써야 합니다. 익스, 크롬, 사파리 다 깔아서 확인했는데 색 포화 현상이 나타나더군요. 물론 파폭의 경우도 옵션 설정을 해줘야 하는데
주소창에 about:config를 치고 설정 변경 화면에 들어간 뒤, gfx.color_management.enablev4 -> true로 설정하고 gfx.color_management.mode -> 1로 설정해야 이미지 색포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여기까지는 단순히 광색역 색공간에서 이미지 색 포화 현상만을 없애주는게 아니라 캘리를 진행한 모든 모니터에서 제대로 된 이미지 보기에 해당합니다. 다시 말해, srgb 모니터에서도 제대로 된 icc 지원 뷰어와 브라우저를 쓰지 않는다면 캘리를 한 의미가 전혀 없게 됩니다. 아울러 srgb 모니터에서 어도비 rgb 색공간으로 작업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개인적으로 말리고 싶네요. 물론 그 반대의 경우는 그렇게까지 큰 문제는 없습니다.
광색역 모니터를 처음 쓰다보니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었고 개인적으로 일전에 올리브페이지님이 몇 차례에 걸쳐 잘 설명해주셨는데 제가 엉뚱하게 오해하는 바람에 송구스러운 마음이 듭니다. 혹시나 광색역 모니터를 캘리해서 사용하시거나 사용하실 예정에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p.s: 윈도우 바탕화면 설정은 광색역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아서 아쉽네요. a7r 원본 크기 이미지 몇 장 추려서 바탕화면에 10초에 1번씩 돌아가며 나오게 해놓고 감탄하며 보곤 했는데 광색역으로 해놓으니 색포화된 이미지가 나오는군요.
회원정보
아이디 : tigers86***
닉네임 : 숨쉬미
포인트 : 1640 점
레 벨 : 준회원(레벨 : 9)
가입일 : 2015-10-20 09:38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