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용 : 사진의 후보정도 원판이 잘찍혀야 가능한 겁니다.
구도, 머리 속에서 만들어 낼 색감, 각도 등의 계산, 사진에 대한 전반적인 고뇌,
이런 일련의 작업들이 무한 반복되면서 신선생님 특유의 사진이 만들어 진다 생각합니다.
제가 사진이 시큰둥 해져서 허송세월 하고 있을 때, 뒤늦게 사진에 뛰어든 친구는
십 년을 꾸준히 만졌더군요.
그 친구의 구도, 색감, 접근법에 쇼크를 먹었던 적이 있습니다.
카메라를 내 몸의 일부처럼 다루기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