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레이어닫기

팝코유저123님 보셔여. 그림파일 포맷 관련 설명

짜가플즘 | 05-29 18:13 | 조회수 : 2,250 | 추천 : 3

음, 기본적으로 jpg 파일포맷을 아셔야 하는데요.
이미지를 그냥 일반적으로 저장하면 용량이 상당히 커거든요.
옛날 모뎀 시절에는 이런 파일 용량을 줄이는 것이 큰 화두였고,
이에 따라 개발된 것이 gif, jpg 등이였습니다.
gif는 1byte로 한 픽셀을 표현하는 방식이고,
jpg는 손실압축방식입니다.
gif는 그레이인 경우에는 256단계를 표현 가능하지만,
컬러인 경우에는 1byte를 RGB 각각을 나누어 써서 256가지 색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러다 보니 색 표현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었고, 보다 풍부한 색을 표현하는
용도로 jpg를 개발하게 된 것입니다.
jpg의 손실압축이라 함은 하나의 픽셀 근처에는 비슷한 색이 나열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많은 경우이기에 비슷한 색은 같은 색으로 처리하여 압축률을 높이게 됩니다.
이러다 보니 정확한 색표현이 되는 것이 아니지만, 사람의 눈은 그 차이를 판별해
낼 수 없기 때문에 유용한 압축방법입니다.

뽀뽀샵의 파일 저장 방식을 보면,


1. 손실압축율 :
   파일의 손실압축율을 결정합니다.
   다른 풀그램에서는 %로 표현하여 좀 더 자유롭게 압축율을 조정할 수 있지만,
   뽀뽀샵에서는 12단계로 나누어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12는 손실을 하지 않고 그대로 압축하겠다는 것이고,
   숫자가 줄어들면 압축율은 높아지지만 그만큼 손실도 커지게 됩니다.
   보통은 11, 10 단계가 적당합니다.
   인터넷에 올리는 용도이면 10단계 혹은 9 정도로 해도 볼만합니다.
2. 압축방식 :
   baseline (standard) : 일반적인 손실압축 방식
   baseline (Optimized) : 기본라인을 기준으로 최적화하여 압축
   progressive : 기본라인을 기준으로 최적화를 하는데, 이를 아래에 선택한 횟수만큼 최적화합니다.
   따라서 가장 파일용량이 적고 화질이 좋은 방법은 progressive 방법입니다.
   다만 그 수행방법에서 보다시피 저장시 다른 압축방식보다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이 정도로 정리하면 될 듯합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나요 ?

접기 덧글 5 접기
SNS 로그인

이전글 다음글 목록

맨위로

이전이전 716 717 718 719 720 다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