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레이어닫기

[탐구생활-자작] Star Tracker - 기본 디자인 - (수정했음)

록키산맥 | 09-22 23:42 | 조회수 : 2,348 | 추천 : 3

어제 올린 글에서 대충 기본 구조를 기술해 봤구요... 일반 스테퍼 모터를 이용하고서도 충분히 지구 자전속도를 보상할 수 있다는 기술 검토가 있었습니다.

그냥 손으로 대충 슥슥 기본 디자인을 만들어봤습니다.

- 좀 작은 축에 속하는 NEMA17 규격의 바이폴러 (Bipolar) 스테퍼모터 ( 200 스텝 / 1 바퀴)
- 1 : 3 감속비의 Planetary Gear (한국말로는 위성기어 방식이라고 하던 것 같던데...)를 3층으로 적층하여 1 : 27 감속비 구현
- 0.25 in 지름의 나사산이 달린 막대를 구동축으로 사용한 구동 박스.
- 구동 박스 바닥엔 볼 헤드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 장착.
- 구동 박스와 구동 축은 볼베어링과 고정용 칼라를 이용해 고정하고, 구동축은 자유롭게 회전 운동이 가능.
- 구동 박스 오른편엔 구동축과 동축을 가진 북극성 찾기용 스코프 장착 (Polar Finder Scope)
- 구동 박스 구동축의 모터 반대쪽에 0.25 in 규격의 볼헤드 장착하여 카메라를 올릴 수 있음.

제가 워낙에 악필이라... 보시는데 애로가 꽃필 수도 있음요... ㄷㄷㄷ



감속기어를 벨트식으로 구현할까도 해봤는데, 아무래도 1 : 27 감속비를 구현하기가 좀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을 것 같기도 하구요.
또, 이 Planetary Gear는 감속기어 구현시 동축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이걸 또 적층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스템을 작게 만드는 효과가 있을 듯 해서 구상 중에 있습니다.

기본적인 구조는 아래 처럼 생겼습니다.

가운데, SUN GEAR라는 것에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을 하고, SUN GEAR 주변의 위성기어는 SUN GEAR와 주변의 RING GEAR와 맞물리면서 회전을 합니다. 그럼 이 회전하는 위성기어의 중심을 연결하여 다른 구동축을 만들 수 있는데, 이 위성기어가 SUN GEAR 주변을 회전하는 회전비는 SUN GEAR와 RING 기어의 기어비와 같습니다.

그러니까, SUN GEAR의 이빨 수가 10개고, RING GEAR의 이빨 수가 30개면, 위성기어가 SUN GEAR 주변으로 회전하는 속도는 SUN GEAR의 1/3 이 됩니다.


----------- 수정 시작------------------------
오메... 잘 못 알았네요.. ㄷㄷㄷ RING GEAR와 SUN GEAR로 출력 기어 박스의 기어비가 결정되는 것은 맞는데, 기어비는 (SUN GEAR 이빨수 + RING GEAR 이빨수) / SUN GEAR 이빨수 였네요. ㄷㄷㄷ

그럼 위의 예에서 기어박스의 기어비는 1 : 4가 되겠습니다. 설계 다시 해야겠단... ㄷㄷㄷ
----------- 수정 끝 ------------------------



- www.autozone.com/repairguid... 에서 인용 -


뭐.... 대충 이렇습니다. ㅎㅎㅎ

접기 덧글 18 접기
SNS 로그인

이전글 다음글 목록

맨위로

이전이전 887 888 889 890 891 다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