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궁금해 하셔서 해외 시뮬레이션 사이트에서 결과값 캡쳐해 봅니다.
모두 동일한 85mm F1.4 렌즈라고 할때
첫번째, 풀프레임에서 85mm F1.4로 전신인물을 찍을때 모습입니다.
촬영거리 6.02m가 필요하며, 배경화각이 넓게 찍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DX크롭바디에서 85mm F1.4로 전신인물을 찍을때 모습입니다.
촬영거리 9.15m가 필요하며, 배경의 흐려짐(뭉개짐)정도는 비슷하나 배경 화각이 조금 압축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NXnimi(CX)바디에서 85mm F1.4로 전신인물을 찍을때 모습입니다.
촬영거리 16.42m가 필요하며, 배경의 흐려짐(뭉개짐)정도는 비슷하나 배경 화각이 아주 압축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은 앞의 예시와 비교를 위해 팬포커스일때 사진입니다.
렌즈 스펙이 동일하면 동일한 크기로 주피사체를 찍을 경우 배경 흐려짐 강도는 비슷하게 가지만 촬영거리는 더 멀어지고
먼 배경이 주피사체쪽으로 점점 다가오면서 배경화각은 압축된다는걸 아실 수 있을 겁니다.
만일 주피사체의 배경흐려짐이 렌즈 중심으로 결정되지 않고 렌즈가 동일해도 센서크기에서 결정적으로 좌우된다면 미니의 센서는 FF에 비해 약 3스탑 작기
때문에 같은 렌즈를 쓰더라도 주피사체의 배경흐려짐이 3스탑이나 깊어져야 합니다. 실제로는 그렇지않고 센서크기가 많이 차이나서 약간의 손실은 있지만
3스탑의 현격한 아웃포커싱 차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즉 85.4라는 렌즈유효구경이 주피사체의 배경흐림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결과적으로 NX미니에 85.4 렌즈를 장착하면 (센서크기차가 커서 약간의 아웃포커싱 손실은 생기지만) 상당한 인물 아웃포커싱, 배경흐려짐이 됩니다.
헤드룸과 바닥에 여유공간을 두고 화각을 잡으려면 20m 달하는 지나치게 먼 촬거리가 필요한점이 인물 사진을 찍을때는 불편하겠죠.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FF(1:1)바디+85mm F1.4




덧글 6 접기
Noise_Reduction™
[artcerc]이게 정답입니다^^ 무한대배경이 흐려져있다는것만으로 심도가 같다고 하는건 마치 10×0 이나 100×0이나 다 0이니까 10 이 100이랑 같다고 하는것과 같습니다. 애초에 피사계 심도를 고려하지 않은 실험이지요ㅠ
2015-11-17 15:35
회원정보
아이디 : lincjf3***
닉네임 : 빛과그림™
포인트 : 8609 점
레 벨 : 정회원(레벨 : 8)
가입일 : 2015-10-30 02:03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