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점
영상에서 FHD 프로모드 - 비트 자체는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향상된 화질이었습니다. 큰 장점.
AF 속도 개선 되었습니다. 그래도 렌즈는 헤맵니다. 큰 기대가 없다면 향상되었다는 것에 박수.
녹화시 아무기능이 없던 fn 키에 AF-MF 전환기능 추가. 캐주얼하게 사용할 때 분명 좋은 기능입니다. 메뉴얼로 바뀐 상태에서 포커스링을 돌리면 HD 모드에서는 포커스피킹이 활성화 됩니다.
여기까지 제가 느낀 좋은 점이었고요.
참. 프로 서제스트 에서 몇가지 프리셋 줬네요. 영화, 흑백, 야경... 등등..
일 할 때는 오막삼을 섞어 쓰는 일이 많아서 저는 그냥 표준 놓고 사용합니다. 촬영 후 후반에서 조절하면 스텐다드는 비슷하게 맞출 수 있더군요.
단점은..
역시 4k 크롭인데 .. 저는 개인적으로는 사실 환산화각에서 오는 이점도 있어서 크롭 자체에는 큰 불만이 없습니다.
다만, 영상촬영을 할 때 목측으로 하는 경우도 많지만, 피킹 기능이 활성화 되면 좋을텐데 4k 촬영에서는 그런 기능 없고요.
AEL (예를 들면 사람 얼굴에 노출을 맞춰 놓으면, 역광인 상태에서도 배경이 날아가더라도 인물이 먹이되지는 않아서 아쉬운대로 건질 수 있는 것들이 많은데.... 자세한 부분은 고수님들에게 넘기고.... 아무튼 이런 좋은 기능이 될 거라는 기분이 드는 AEL 버튼은 있지만, 역시 메뉴얼에서 AEL 고정 안되고요.
HD건 4K건 오토 ISO에서 최대 ISO 확장 범위 수치를 선택해도 동영상에서는 해제가 되는지 6400 까지 올라가서... 기어이 노이즈가 발생합니다.
720P에서 120p 지원하네요. 이 모드에서는 프로모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장점인지 단점인지 그렇습니다.
아마도 고속촬영, 제화각을 사용할 수 있는 4K를 원하는 경우 nx1으로 가라는 사인인것 같습니다.
개인적 느낌을 정리하면
많은 경우 고속촬영기는 더 빠른 기기들을 -정말 필요하다면- 렌탈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편집 시퀀서에서 옵티컬 플로우를 사용하거나 트윅스터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어느정도 120p 이상 -시간이 허락한다면 그 이상도- 원하는 결과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해서인지, 단순히 고속촬영 때문에 nx1 으로 넘어가는 일은 없을 것 같고요.
4k 크롭모드도 16-50 에 경우 환산 (대략) 35-120 정도 되니 그냥 렌즈하나 들고 스케치 할 때는 얼추 롱샷부터 타이트한 클로즈업까지 커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심도같은 걸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업데이트 전에 FHD는 좀 쓰기 꺼려졌지만, 이번 업데이트로 좋아졌습니다.
시중에서 파는 EF-nx 어댑터 (유격이 없는 놈이 거의 없더군요 ㅠ.ㅠ) 로 삼양 수동렌즈들 이용해서 쓰면 HD에서 아쉬운대로 화각을 체울 수 있을 것 같아요.
8k니 저조도니 해도 결국 글로벌셔터와 로우 포멧 (혹은 편집용 매게코덱이라도)을 동시에 먼저 깔아놓는 회사가 이 감질나는 싸움에서 승자가 될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아마도 그건 소니도 삼성도 캐니도 아닌 다른 회사일 것 같네요.

덧글 20 접기
돌럼
어썸케이// 동영상 많이 찍는 분들은 거의가 M모드에서 MF로 많이들 찍으실 겁니다.
돌럼
추가로 말씀 드리면, 동영상 AEL이 참 좋은 건 조리개 값이 변할 때 입니다.
돌럼
동영상에서는 셔속, 조리개 다 의미가 있습니다. 셔속도 영상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돌럼
보편적인 셔속은 프레임의 2배씩으로, 사진용 카메라는 근사치의 셔속으로 놓으면 됩니다
회원정보
아이디 : limnx123***
닉네임 : 돌럼
포인트 : 3283 점
레 벨 : 정회원(레벨 : 8)
가입일 : 2015-05-27 00:44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