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레이어닫기

[Galaxy S7] 원하는 느낌의 사진을 찍었는데 아쉬울 때

J-Castle | 07-02 13:12 | 조회수 : 1,610 | 추천 : 5

SM-G930S | Program Normal | 4.20mm | ISO-125 | F1.7 | 1/120s | -1.10 EV | Spot | Auto WB | 2018-07-01 11:04:46

SM-G930S | Program Normal | 4.20mm | ISO-250 | F1.7 | 1/20s | 0.00 EV | Centre Weighted Average | Auto WB | 2018-07-02 10:22:19

.
.

그거슨 바로 손모가지 수전증 핸드블러.
+ 손떨방 부재 장비탓

연사를 거의 쓰지 않는 저로서는
아직도 1세대는 쓸만한데, 바디 떨방이 없는
이 녀석이 렌즈떨방도 없고 대가리가 큰 무거운 팔오금을
만나면, 무게중심 쏠림으로 인해 평소 버티던 셔속도
세로그립이 없으면 핸드블러가 종종 생기곤 합니다.

그렇다고 셔속 확보한다고 조리개를
더 개방하거나 (역시 조금 쪼임이 좋아 응?)
감도를 더 올리긴 싫어서
.역시 손떨방도 있고, 추적도 좋고,
감도 빨도 좋은 3세대로 빨리 바꿔야 해 ㅜㅜ
.

2번째 사진은 팟타이 버전을 타마린드 소스가
아닌 간장과 피쉬소스로 볶아낸 팟씨유 라는
음식인데 고소함과 쫄깃함을 좋아하신다면
다음에 태국 여행 오실 때 한번 드셔보세요 ^^

내용 출처 ㅡ 나무위키

ㅡ 태국의 넓은 면 볶음 국수

눈에 띄는 점이 센야이(씨유또한 넓은 면을 가리킨다. 그러나 면을 따로 지칭할 때는 씨유라고 하지 않고 센야이라고 한다.)라는 넓은 면을 쓰는데, 태국 뿐만 아니라 중국 남부에서도 비슷한 스타일의 음식들을 볼 수 있다. 중국의 차궈띠아오의 태국판이 바로 팟씨유다.

간장과 계란, 피시 소스, 정경채, 약간의 고기 등을 사용하며, 팟이라는 이름에서처럼 볶아서 카라멜라이징되어 은근한 단 맛이 일품이다.

요리가 된 후에 취향에 따라 고춧가루와 설탕, 식초를 충분히 쳐서 먹는다.
팟타이처럼 땅콩을 넣을 수 있지만, 잘 넣지 않는다.

먹다보면 해외에도 잘 알려진 팟타이보다 팟씨유가 더 매력적이라는 점을 발견하기 쉽다. 팟타이가 태국풍 베이스에 서양풍의 느낌을 강조한 퓨전인데에 반해서, 팟씨유는 확실한 정통 아시안 스타일을 보여준다.

P.S 요즘 비가 많이 온다고 들었습니다
모쪼록 감기조심 및 비 피해 없길 바랍니다.
.
요즘 태국의 북부 지역인 치앙마이 주변에도
엄청난 비가 자주와서 어디 어디는
위험 지역이니 가지 말라 자주 언급하는데요

비가 요즘많이 와서 가지말라고
한 어느 동굴에 초등학교 축구팀이
갔다가 물이 차오르는 바람에 실종되어
요즘 태국의 빅뉴스입니다.
모쪼록 모두 조심 조심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모바일에서 작성
접기 덧글 30 접기
SNS 로그인

이전글 다음글 목록

맨위로

이전이전 492 493 494 495 496 다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