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레이어닫기

[FZ28] 좋은 사진을 찾아서 (고감도, iA 편)

La Festa | 09-28 23:35 | 조회수 : 1,714 | 추천 : 2

III. 순간의 선택 (고감도)

광량이 부족한 시간과 공간은 어디에나 있기 마련이다.
조명이 한 곳으로 집중된 공연장, 분위기 좋은 카페, 자연광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저녁부터 새벽 사이...

필름 사용자를 예로 들면,
촬영 시간과 장소를 약속하고 나선다면 그에 맞는 고감도 필름과 스트로보, 기타 장비를 착실히 준비하고
적당한 값을 세팅해 나가면 괜찮겠지만, 낮 시간부터 촬영이 저녁까지 이어진다거나 갑자기 실내로 들어가야 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다반사. 이런 경우 준비가 안된 사진가는 그저 입맛만 다시고 있어야 한다.

만약 그가 품질 좋은 고감도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했다면 일은 쉽게 풀릴 것이다.


FZ28은 공식적으로 감도 1600까지 지원하는 최신 제품이다.
그러나 파나소닉 루믹스라는 브랜드는 최근까지도 고감도 노이즈에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왔기에
(또한 필자는 루믹스 초창기부터 여러 제품을 두루 거쳐 왔던 사람이기 때문에) FZ28에 대한 기대가 남다르다.

고감도 사진들을 모아 보이면서 마음 한 켠으로 걸리는 것은,
고감도 필름의 그레인과 디지털 고감도 촬영에서의 노이즈 패턴은 꽤 차이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모자란 필자의 실력 탓에 혹여 이 제품에 관심을 가졌던 다른 필름 사진가들이 실망하진 않을까 하는 점이다.


(ISO 160)
[img:P1000502re712.jpg,align=,width=474,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090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094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141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312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349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934re712.jpg,align=,width=712,height=401,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012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112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732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773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788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857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869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30053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SO 200)
[img:200_01.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200_0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200_03.jpg,align=,width=712,height=482,vspace=0,hspace=0,border=1]

(ISO 250)
[img:250_01.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SO 320)
[img:320_01.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320_0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320_03.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SO 400)
[img:400_01.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400_0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400_03.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SO 640)
[img:640_01.jpg,align=,width=712,height=474,vspace=0,hspace=0,border=1]

[img:640_0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SO 800)
[img:800_01.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800_02.jpg,align=,width=712,height=474,vspace=0,hspace=0,border=1]

[img:800_03.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800_04.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800_05.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SO 1600, 흩날리기 등)
[img:1600_01.jpg,align=,width=712,height=534,vspace=0,hspace=0,border=1]

[img:1600_02.jpg,align=,width=712,height=534,vspace=0,hspace=0,border=1]

[img:1600_03.jpg,align=,width=712,height=534,vspace=0,hspace=0,border=1]

[img:1600_04.jpg,align=,width=712,height=534,vspace=0,hspace=0,border=1]

[img:1600_05.jpg,align=,width=712,height=534,vspace=0,hspace=0,border=1]

[img:1600_06.jpg,align=,width=712,height=534,vspace=0,hspace=0,border=1]


IV. 일상 (iA)

사진가는 언제 어디서든 셔터를 누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결정적 순간"을 대했을 때 적절히 반응하지 않으면 뒤이어 찾아오는 건 허무함 뿐이다.

아마추어 사진가들 대다수가 그렇듯 필자 역시 이런 경험이 정말 많았다. 후회할 정도까진 아니었지만
이것 저것 카메라를 조작하는 사이 빛이 바뀐다든가 사람이나 동물이 지나가버린다든가...

만에 하나, 사진가라는 작자가 제 생애에 다시 보지 못할 순간을 손가락 빨고 지켜만 보고 있어야 한다면
그 심정은 어떠할까...

여기서 말한 결정적 순간은 휘황찬란해야 할 필요는 없다. 강렬한 무언가가 사진의 전부라면,
아무런 내용 없는 이미지를 보정을 통해 충분히 "좋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주제가 있는 사진이란 그런 차원의 것이 아니다.


필자는 소소한 일상 속에서 무언가를 찾을 수 있다고 고집하는 사람 중 하나다.
그리고 그 일상을 담기에 FZ28의 iA는 - 적어도 개념적으로는 - 이상에 가까운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필자의 일상과 함께 한 FZ28, 그 결과물을 통해 살펴볼 차례다.


[img:P1000528re712.jpg,align=,width=712,height=474,vspace=0,hspace=0,border=1]

[img:P1000604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00886re712.jpg,align=,width=712,height=474,vspace=0,hspace=0,border=1]

[img:P1000948re712.jpg,align=,width=474,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096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176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193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205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219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237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261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33.jpg,align=,width=712,height=474,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321re712.jpg,align=,width=712,height=473,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904re712.jpg,align=,width=712,height=401,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921re712.jpg,align=,width=712,height=401,vspace=0,hspace=0,border=1]

[img:P1010923re712.jpg,align=,width=712,height=534,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099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176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187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260re712.jpg,align=,width=712,height=474,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262re712.jpg,align=,width=712,height=474,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267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271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276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312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326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332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383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464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482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495re712.jpg,align=,width=475,height=712,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523re712.jpg,align=,width=712,height=401,vspace=0,hspace=0,border=1]

[img:P1020638re712.jpg,align=,width=712,height=473,vspace=0,hspace=0,border=1]

[img:P1030034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30037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30056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img:P1030065-1re712.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V. Epilogue

짧은 기간이지만 3주정도 FZ28 이라는 새 디지털 카메라와 함께 했다.

사진에 대한 욕심 탓에 늘 주말만 되면 필름 카메라를 몇 대씩이나 메고 가방 한 가득 필름을 쑤셔넣은 채로
(때로는 중형 카메라까지 들고) 다녔던지라, 컴팩트 카메라보다 크긴 하지만 필자 입장에선 서류 가방에 넣어도
될 정도로 정말 작고 가벼웠던 FZ28이다. 긴 시간을 함께 해보니 iA 덕분에 간단히 사진을 찍을 수 있어 기뻤고
결과 또한 전에 생각했던 디지털스러움이 아니라 사진다움이 배어나와 좋았다.

어쩌다 여유롭게 출사라도 나갈 때면 RAW 포맷, 매뉴얼 내지는 조리개 우선 모드로 촬영하였고, 출퇴근이나 외근
때엔 iA 모드로 놓고 좋아하는 스냅과 캔디드 사진을 원없이 찍었다. 특히 Mega O.I.S를 비롯해 인텔리전트 노출,
초점 추적은 만약 필름 P&S를 사용했다면 흔들리거나 노출이 실패했을 조건에서도 원했던 그 순간 그대로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준 알뜰살뜰한 도우미였다.

자동이란 것이 언제나 완벽할 수는 없겠지만...
필자의 스타일이 일상에서 마주치는 소소한 모습들을 기록하는 쪽이라 그런지 몰라도
조금 과장을 섞자면, 인텔리전트 오토는 필자와 같은 타입의 사진가들에게 있어 축복이라고도 하겠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장면 인식은 훌륭하게 작동했으나 
둥근 조명이나 가로등을 얼굴로 인식하여 인물 모드로 바뀌는 등 심각할 건 없지만 개선이 필요하겠구나
생각했던 해프닝도 종종 있었다. 

하지만 이런 정도는 웃으며 넘길 수 있을 정도로 매력적인 디지털 카메라임은 틀림없다.
삼청동을 거닐고 담아온 사진을 보고 나서부터 테스트를 종결짓는 이 순간까지 필자는 감탄을 계속했다. 
최대 개방에서도 뛰어난 선예도, 웬만해선 무너지지 않는 계조 등은 샘플 사진을 고르면서도
절로 미소를 짓게 만든다.


문제로 지적할 만한 것들이 있다면 다음과 같다.

자동으로 감도를 선택하게 하면, 아주 심하게 광량이 부족하지 않은 경우엔 웬만해선 감도가 높아지지 않는다.
정확한 이유야 알수는 없지만 필자의 주관으로는 파나소닉에서 고감도 노이즈를 걱정한 나머지 고감도 대신
렌즈의 개방 화질과 Mega O.I.S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가고 있지는 않나 싶다.

물론 Mega O.I.S가 동급기 중에선 가장 좋은 손떨림 보정 성능을 갖추고 있긴 하지만 그렇더라도
기본적으로 저광량인 상황에선 고감도를 적극 활용해 좀더 안정적인 촬영이 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

그리고 또 한 가지, 필자에게 온 FZ28만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가끔씩 원인을 알수 없이
초점을 잡지 않는 때가 종종 있었다. 그러고는 전원을 껐다가 켜야 정상으로 돌아오곤 했는데
확실히 하기 위해선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을 구해봐야겠다.


지난 3주 동안 내 손 안의 디지털 일기장이 되어주었던 FZ28...

광범위한 화각에 라이카의 엘마릿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화질을 보여주는 엄청난 렌즈가 있는,
전문가급 DSLR 못지 않은 해상력에 RAW 파일을 지원해 후반 작업 환경까지 배려해 준,
똑똑한 iA 모드를 지원해 아마추어는 물론 준 프로가 사용하기에도 큰 부족함이 없는

그런 녀석이지 않을까 싶다.


[img:99뒷표지.jpg,align=,width=712,height=475,vspace=0,hspace=0,border=1]

접기 덧글 8 접기
SNS 로그인

이전글 다음글 목록

맨위로

이전이전 107 108 109 110 111 다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