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6/f4c19b07cb1afdefa941bbae2c5adb59.jpg"
border=0>
3부에 이어 이번 4부에서는 Z600의 기본적인 해상도와 줌, 필터등의 기능을 사용해봤습니다.
Z600의 경우
기존의 2006년에 새롭게 선보인 디카인 만큼 기존의 디카에서는 볼 수 없었던 기능이 일부 추가되었습니다.
이러한 부분도 적극 활용해
봤습니다. ^^
6. 팝코넷 Z600 체험단 - 기본적 성능
#1. 3배의 광학줌과 4배의 디지털 줌
1부에서도 밝혔듯, Z600은 3배의 광학줌과 4배의 디지털 줌을 체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스냅형
카메라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
|
|
|
▲ 최대 광각 |
▲ 최대 망원 |
▲ 망원 + 디지털 줌 |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각 원본의 용량이 3~4M정도입니다.. ^_^;
클릭해서 보시면 화질에 대한 비교도 가능합니다.
확실히
최대 망원과 함께 디지털 줌을 적용하면 타 제품과 거의 비슷한 상태를 보이며, 픽셀의 상태가 그리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웹용인 가로 600픽셀 정도로 리사이즈를 하면 웹용으로는 충분히 사용이 가능합니다.
#2. Z600의 화이트 벨런스
현제 제가 사용하는 디카가 약 2년 정도 된 노령(?)의 카메라입니다.
하지만, 제가 몇 번이나 기변을 하고
싶었지만, 못한 이유가 바로 화이트 벨런스의 이유가 큽니다. 집의 조명이 3파장 등뿐만 아니라, 백열등과 혼합 광원이다 보니 화벨이 지지리도
안맞아 줍니다. -_-+
|
|
|
▲ 자동 화벨 |
▲ 태양광 화벨 |
▲ 운천 화벨 |
|
|
|
▲ 그늘 화벨 |
▲ 주백색 화벨 |
▲ 주광색 화벨 |
|
|
▲ 백열등 화벨 |
▲ 매뉴얼 화벨 |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화벨 테스트입니다.
역시 가장 잘 맞는 화벨은 매뉴얼입니다. 그러나 위 상태를 보면 아시겠지만, 자동 화벨의
성능도 결코 나쁘지 않습니다.
거의 원색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실 화벨은 크게 기대를 안했는데, 아주 정확한
편입니다. -0-b
#3. Z600 감도 테스트
최근 고감도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물론 모 업체의 마케팅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스냅
카메라도 고감도 촬영이 가능하다는 인식이 많이 생겼서일까요? 스냅형 카메라에서도 고감도를 찾는 유저를 심심찮게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Z600도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한 고감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
|
▲ ISO50 |
▲ ISO100 |
▲ ISO200 |
|
|
▲ ISO400 |
▲ ISO800 |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감도에 따른 차이가 보이시나요??
아마도 원본 용량이 3M정도가 되니.. 클릭하지 않으실 듯 하니.. 부분
리사이즈를 다시 보여드립니다. -_-//
|
|
|
▲ ISO50 |
▲ ISO100 |
▲ ISO200 |
|
|
▲ ISO400 |
▲ ISO800 |
이제 좀 차이가 보이실겁니다.
그런데, ISO50과 ISO100까지의 디테일과 ISO200의 디테일이 좀
다르다는 것을 느끼실겁니다.
이는 ISO200이상이 되면 이때부터 노이즈 처리를 위한 메커니즘이 작동을 하게 됩니다.
ISO400이상에서는 ISO200에서 보다 한스텝 높은 노이즈 처리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듯 한데, 이떼 디테일 뭉게짐을 방지하기 위해
콘트라스트와 윤곽 강조가 추가됩니다.
사용 권장(?)은 ISO 200정도까지이고, 일반 사진 정도 크기의 작은 인화라면
ISO400도 가능하리라 보입니다. 하지만, 확실히 ISO800에서는 노이즈 제거를 위한 메커니즘에도 높은 노이즈는 어쩔 수 없나
봅니다.. ^_^;
#4. Z600 필터 적용 테스트
Z600의 필터는 총 8가지가 적용 가능합니다.
필터의 적용은 확실히 타 모델보다 수가 많은 편입니다.
^^
|
|
|
▲ 필터 미적용 |
▲ 흑백 필터 |
▲ 세피어 필터 |
|
|
|
▲ 적색 필터 |
▲ 녹색 필터 |
▲ 청색 필터 |
|
|
|
▲ 황색 필터 |
▲ 핑크색 필터 |
▲ 자주색 필터 |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총 8종의 필터에 적용된 모습입니다.
첨에는 이런 필터가 과연 효용성이 있을까 했는데... 여친
찍어주니 무지 좋아합니다.. -_-;;
신기해 하면서도 이것 저것 찍어서 1장의 사진으로 만들어 보니.. 꽤 멋지더군요.. ㅎㅎㅎ
#5. Z600 EV시프트 적용
Z600도 타 기종과 비슷하게 -2~+2까지 1/3스텝씩 적용이 됩니다.
|
|
|
▲ -2.0 |
▲ -1.7 |
▲ -1.3 |
|
|
|
▲ -1.0 |
▲ -0.7 |
▲ -0.3 |
|
▲ 0.0 |
|
|
|
▲ +0.3 |
▲ +0.7 |
▲ +1.0 |
|
|
|
▲ +1.3 |
▲ +1.7 |
▲ +2.0 |
보통 이런 적용이 어디에 쓰일까 하는 사용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정도는 적용이 되어 줘야 실제 촬영에서 문제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실내 촬영의 경우 뒷 배경이 흰색이라면 약 2스탭 정도 EV를 높여줘야 어느정도 사진이 나옵니다. 반대로 주위는
어두운데, 피사체가 너무 밝은 경우 스팟 측광으로도 커버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때도 약 2~3스탭 정도 낮춰줘야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답니다.
위 사진에서도 그런 경향이 좀 보이실겁니다.
제가 추천하는 건 야외촬영에서는 -0.3~+0.3정도이고 실내에서는
0.7정도면 아주 뽀사시한 사진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
#6. Z600 샤프니스 테스트
샤프니스란 간단하게 선명도를 말합니다.
샤프니스를 높여주면 당연히 선예도는 높아지고, 가독성도
좋아집니다.
하지만, 지나친 샤프니스는 이미지를 좀 거칠 게 만들들기도 한답니다. ^_^;
Z600은 -2~+2까지 샤프니스
설정이 가능합니다.
|
|
▲ 샤프니스 +1 |
▲ 샤프니스 +2 |
| |
▲ 샤프니스 0 | |
|
|
▲ 샤프니스 -1 |
샤프니스 -2 |
5장의 사진을 보면 샤프니스를 적용한 각 이미지가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특히 +2와 -2의 하진을
비교해 본다면 확연한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7. Z600 채도 테스트
채도는 색상의 진하고 엷음을 나타내는 포화도를 채도라 합니다.
즉 채도가 높을수록 색상이 더욱 진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Z600은 타 모델과 비슷하세 -2~+2까지의 채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
|
▲ 채도 +1 |
▲ 채도 +2 |
| |
▲ 채도 0 | |
|
|
▲ 채도 -1 |
▲ 채도 -2 |
빨간색을 사용한 이유는 채도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색 중 하나이기 때문이고..
두 번째는 제가 몸이 안좋아
좋아하는 라면을 못 먹고 있어 대리 만족중입니다.. ㅠ_ㅠ
채도 +2와 -2를 비교해보면 +2는 붉은 색이 강조되며 밝은 색을 띄는
반면 -2에서는 확실히 색이 좀더 우두운 색으로 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채도가 1~2정도의 높은 색을
좋아합니다. 이유는 높은 채도는 아주 쨍한 이미지를 만들어 줍니다.
단.. 여친은 이런 쨍한 이미지 보다는 뽀사시한 이미지를 좋아하기
때문에 환경에 잘 맞추어 사용하면 아주 좋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
#8. Z600 콘트라스트 테스트
사실 콘트라스트는 제가 참 구분이 안되는 부분중 하나입니다.
샤프니스와 채도는 설정값이 바로바로 결과물에
적용이 되지만, 콘트라스트는 때때로 다른 것의 영향을 크게 받는 듯 합니다.
|
|
▲ 콘트라스트 +1 |
▲ 콘트라스트 +2 |
| |
▲ 콘트라스트 0 | |
|
|
▲ 콘트라스트 -1 |
▲ 콘트라스트 -2 |
콘트라스트 적용 후 이미지입니다.
사실 샤프니스나, 채도와 같은 눈에 아주 크게 띄는 변화는 드물지만,
그림자를 보면 약간의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높은 콘트라스트는 어두운 계열과 밝은 계열의 경계가 분명한 편이지만, 낮은
콘트라스트에는 그 경계가 다소 흐릿하다는 점입니다.
#9. Z600 연사 테스트
Z600은 타 제품과는 달리 3개의 연사 모드를 제공합니다. 일반 연사와, 고속 연사, 그리고 플래시
연사입니다.
플래시 연사는 일반 연사에 플래시가 더해진 것으로, 3장만 촬영이 가능(플래시 전원을 충전하는데 3장이 한계라고
합니다.)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합니다.
|
|
|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연사의 결과물입니다.
차량이 유턴을 해서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3장정도 촬영이 가능했습니다.
|
|
|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그에 비해 고속 연사는 3장의 사진이 동일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빠른 연사를 보여줍니다.
연사 속도가
왼만한 SLR(사실... S2PRO보다 훨씬 빠릅니다.. -,.-;;)보다도 빠릅니다.
그리고 두 연사의 차이점이 보이는데, 둘 모두 1/2000의 셔터 속도입니다. 하지만, 고속 연사에는 약간 노출
오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고속 연사 설정시 ISO가 약간 올라가면서 좀 더 빠른 셔터 속도를 확보함으로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10. Z600 번 외 테스트!!!
-_-//
번 외 테스트 입니다.
|
|
▲ 촤측 상단 |
▲ 우측 상단 |
| |
▲ 중앙부 | |
|
|
▲ 촤측 하단부 |
▲ 좌측 상단부 |
이 사진을 보고 눈치 빠른 분들은 바로 알아 차리셨을 듯 합니다. ^_^;
렌즈는 중앙부와 양 모서리 쪽
부분은 가독성에서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이러한 차이가 렌즈의 밝기와 더불어 바로 렌즈가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그렇다면 Z600에
사용된 렌즈는 어느정도의 점수를 줄 수 있는가..
Z600에 사용된 렌즈는 여타 다른 동급의 렌즈와 거의 비슷한 정도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앙부의 경우 아주 좋은 모습이지만, 양 끝은 역시나 해상도에서 떨어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이런
모서리 부분의 해상도 저하는 250만원짜리 렌즈에서도 나타나는 만큼 그 정도를 봐야 할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Z600에 사용된 렌즈는 꽤
괜찮다는 평을 해주고 싶습니다.
회원정보
아이디 : remedi
닉네임 : R`EMEDIOS
포인트 : 34569 점
레 벨 : 우수회원(레벨 : 7)
가입일 : 2005-11-28 23:14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