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레이어닫기

카시오의 비상!! EX-Z600 [3부]

銀狼 | 03-26 22:03 | 조회수 : 1,509 | 추천 : 9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b8c7e6b346707fd09ea547519db82b42.jpg"
border=0>


 2부에 이어 3부에서는 Z600의 메뉴에 대해서 보고자 합니다.
 Z600은 수동기능이 거의 제공되지 않는 자동
카메라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자동 카메라가 가질 수 있는 많은 단점을  충실한 메뉴로 보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재생 메뉴에는 타
디카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편집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확실히 Z600만의 특징을 잘 잡아내고 있습니다. -_-/


 5. 팝코넷 Z600 체험단 - 메뉴


 #1. 촬영 모드에서의 메뉴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6f5e9609c6ef50833b10eea42d1774c5.jpg"
border=0>


 촬영 설정은 14개 항목으로 나뉘고, 일부 항목은 다시 상세 탭으로 나뉘기도 합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8f1caafc05c3192d55b620de3795df6a.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68eb4ddba6af940cf9a7bab358d99238.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6d72f3ceb60e825be56f9c4fb342a365.jpg"
border=0>


▲ 포커스 방식


▲ 연사


▲ 셀프 타이머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포커스 방식


 포커스 방식은 AF와 매크로, 펜 포커스, 무한 초점, MF방식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특히
PF(펜포커스)는 스냅형 디카에서는 많이 체용되지 않았던 방식으로 특정거리의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입니다. 인물과 함께
배경을 살리고 싶다면 사용해볼 만한 포커스 방식
입니다. 특히 기념촬영에서처럼 배경과 인물을 한번에 살리고 싶다면아주
제격입니다.


 *연사


 연사 방식은 표준 속도 연사와 고속 연사, 플레시 연사로 나뉩니다.
 표준 속도 연사는 일반연사 방식으로 사용하는
메모리의 속도에 좌우 되는 경향이 강하지만, 일반적으로 손으로 셔터를 연속으로 누르는 속도와 비슷합니다. -_-;; 그러나 연사 가능 수는
메모리가 가득 찰 때까지 가능합니다.
 하지만, 고속연사 방식은 ISO가 자동이 되며 충분한 셔터 속도를 확보하여 연사를
하는데, 왠만한 DSLR의 연사력을 보입니다. 단 연속 촬영 가능한  수는 3장씩입니다.
 플레시 연사는 말 그대로 플레시가
터지며 연사가 됩니다. 표준 속도 연사에 플레시 기능이 더해진 것으로 보면 됩니다. 하지만, 연속 가능 수는
3장입니다.


 *셀프 타이머


 셀프타이머는 3가지로 조정이 가능합니다.
 10초, 2초 X3방식입니다.
 10초, 2초는 잘 알 듯 합니다만,
X3은 약간 생소한 메뉴입니다.
 얼마전 여친과 병원 생활에 탈출을 해서 이 X3메뉴의 득을 톡톡히 봤습니다. ㅎㅎㅎ
 이게 어떤
메뉴인고 하니.. 기본은 10초 셀프 타이머와 같습니다. 하지만, 10초가 되면 1컷이 촬영되고 다시 1초 간격으로 2번 연속 촬영이 됩니다.
12초동안 마지막 3초에 초당 1컷씩 3컷이 촬영 되는 방식입니다. 같은 장소의 같은 포즈라도 1장으로는 성이 안차는 분들을
위한 아주 활용도 높은 셀프 타이머입니다. ^^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75b0cb242985bf819222681ad1c1a045.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3565610efc4b58197f2e1f096722ae37.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34cf7263639f3d98c5666dfc389d40d6.jpg"
border=0>


▲ 떨림방지


▲ AF 에리어


▲ AF보조광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떨림 방지


 떨림 방지 기능은 이번 Z600의 주된 특징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HW적인 떨림 방지는 아닙니다. S/W적으로
감도를 상승시켜 셔터속도를 확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AF에리어


 AF는 중앙의 1곳에서만 잡을 수 있는 방식과 9곳의 넓은 범위에서 AF를 잡을 수 있는 방식
있습니다.
 기본 설정은 스팟이지만, 필요할 경우 9점 AF를 사용한자면 초점을 잡아 다시 구도를 잡는 일은 줄일 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9점 AF는 최근 나오는 스넵형 디카중에서도 상당히 많은 AF지역을 제공하는 편이라 아주 마음에 듭니다.
^^


 *AF보조광


 Z600은 그리 먼 범위까지 커버를 하지는 못하지만, 주황색 계열의 AF보조광을 가지고 있습니다.
 AF 보조광이
위치한 곳은 Z600의 앞쪽 플레시 옆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보조광을 제어하는 항목입니다.
 어두운 곳에서는 AF를 잡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지만 연주회같은 공연에서는 이런 보조광이 에티켓에는 어긋나겠죠? ^^;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90819650351cd9b64ec6501eff1f861d.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8440c10ca7ffd923d3b1d7bbf3a2cb73.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4e160502edd67691dfd6f8170cbd6465.jpg"
border=0>


▲ 좌/우 키


▲ 고속 셔터


▲ 음성부 정지화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좌/우 키


 LCD옆 +키를 보면 상/하의 경우 DISP와 플레시/삭제키로 키의 기능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좌/우의 경우는 그러한
고정값이 적용되지 않는데, 이 부분에 기능을 부여하는 설정
입니다.
 개인적으로 아주 마음에 드는 기능으로 자주 사용하는 화벨과
ISO같은 것을 좌/우키에 각각 부여하고 사용하면 빠른 촬영 설정 변경이 가능합니다.


 *고속 셔터


 이 항목은 아무래도 일본 엔지니어가 번역을 좀 잘못한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_-a 일본어로는 '퀵 셔터'니.. 맞기는 한데, 기능을
보면 좀 아닌 듯 하기도 합니다.
 이 설정의 기능은 셔터쪽이 아니라, AF와 관련됩니다. AF모터를 빠르게 회전시켜 셔터를 빠르게
누를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런데, 사용해 보니 잘 느끼지는 못하겠습니다. -_-a)


 *음성부 정지화


 이 것 역시 어감이 좀 이상합니다. ^_^;;
 최근 촬영한 이미지에 음성같은 사운드를 넣는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항목이 촬영 즉시 이미지에 음성을 넣을 수 있게 하는 항목입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4242f06d8bbd411970a41faafdfe0bed.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460ff75c92c3ac7313694bc959453c70.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f159d0067aadcb479ecad064b9dd4479.jpg"
border=0>


▲ 그리드 표시


▲ 디지털 줌


▲ 촬영 리뷰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그리드 표시


 그리드 표시는 말그대로 LCD상에 선을 그어서 구도를 잡는데 좀더 도움을 주게 되는 기능입니다. 화면을 총 9등분하게 되어 있으며,
확실히 수평과 구도를 잡는데 도움
이 됩니다. -_-/


 *디지털 줌


 Z600은 광학 3배, 디지털 4배줌을 지원합니다. 여기서 디지털 4배줌의 사용 여부를 설정하는
부분
입니다.


 *촬영 리뷰


 촬영 리뷰는 촬영 직후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하며 볼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한
설정입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7760ddfc5685a6506cf8b387e9c754c4.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cc42cb73853a1181606ee7b01fe2851e.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b985bcf68b8439f2bb901042c9be503c.jpg"
border=0>


▲ 아이콘 도움말


▲  모드 메모리 1/2


▲  모드 메모리 2/2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아이콘도움말


 항목의 이름 그대로 아이콘 도움말을 볼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한 설정입니다.


 *로드 메모리


 처음 Z600을 사용하며 조금 당황했던 것이 전원을 OFF하고 나면 많은 부분이 리셋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바로 이 항목에서
설정을 해주지 않았기 때문인데, 전원 OFF전 사용한 메뉴중 다음번 전원 ON시에 어떤 항목을 이전 촬영 환경과 동일하게 불러 올 것인가에 대한
항목입니다.
 'BS', '플래시', '포커스 방식', '화벨', 'ISO', 'AF 에리어', '측광', '셀프 타이머', '플레시
광량', '디지털 줌', 'MF위치', '줌 위치'의 총12개의 항목에 대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 12개에 대해 하나씩
사진을 찍어서 편집까지 해뒀는데, 지금 보니, 어자피 ON/OFF방식이라 패기했습니다..
-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fd34f3acb97f81210b9d9f8ab7b64f9f.jpg"
border=0>


 화질 설정은 총 13개 항목으로 나뉩니다.
 역시 타 제품보다 상당히 상세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항목을 나누고 있습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2c1dd38e3700b31926b76c2f77ff610d.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2cca1ead0a9aa16fbf0e9a97d5db5049.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97e83a8cf70e3e790fc366e262412f7d.jpg"
border=0>


▲ 사이즈


▲ 이미지 화질


▲ 동영상 화질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사이즈


 이미지의 사이즈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M로 표시되어 있긴 하지만, 연속적으로 가로 세로 픽셀과 인화 가능한 사이즈까지
상세하게 설명을 합니다. 3:2는 흔히 필름 사진 사이즈를 말합니다.


 *이미지 화질


 이미지의 화질을 설정하는 부분으로 파인과 표준, 이코노미의 3개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동영상 화질


 동영상의 화질을 설정하는데, 화질과 함께 크기도 결정됩니다.
 고품위의 경우 640X480의 사이즈로 촬영되며 1G에
약 6~7분정도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합니다.
 표준 역시 고품위와 같은 640X480의 사이즈로 촬영이 되며 용량은 고품위보다 떨어짐으로
1G에 약 23분 정도 촬영이 가능합니다.
 LP의 경우 320X240의 사이즈로 촬영하고 1G에 약 1시간정도 촬영이
가능합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b358dd56194c76172890ee4ad73b1deb.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f9cd0ae862a780ee605f91add9ba578f.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39cabbd56300217a282fa48cc4e4b793.jpg"
border=0>


▲ EV시프트


▲ 화이트 밸런스 1/2


▲ 화이트 밸런스 2/2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EV시프트


 EV는 1/3씩 -2~+2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단, 광량이 부족해서 충분한 셔터 속도가 안나오면 정상적으로 적용이
안됩니다. ㅠ_ㅠ


 *화이트 밸런스


 화이트 밸런스는 자동, 태양광, 운천, 그늘, 주백색, 주광색, 백열등, 매뉴얼의 8개 항목으로 조절이
가능
합니다.
 아쉬운 점은 K온도로 적용 가능 항목이 있었으면 하는 점입니다. ^_^; (스냅에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인지..
ㅎㅎㅎ)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4aae76e2bf54c4ad4d32988ee21b9213.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24555838b5f6795f7875b474caf9c4a0.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ee131e9a9d116edc3708d74808f44add.jpg"
border=0>


▲ ISO감도


▲ 측광방식


▲ 샤프니스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ISO감도


 ISO입니다.
 최근 디카의 고감도에 대한 지원이 상당한 이야기거리가 되는데, S/W상으로는 50, 100, 200, 400의
지원이 가능
하고, 고감도 항목의 활성화시 800의 지원도 가능합니다.


 *측광 방식


 멀티 측광과 센터, 스팟 측광 모두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샤프니스


 샤프니스는 보통 선예도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항목으로 -2~+2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5adb3fb07297603b8c3c1c0663386f61.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fc64f12433e8e7fbb3c27447ab00ebf4.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a36f1583cb5f61f37d51f6a2ee95b19b.jpg"
border=0>


▲ 필터 1/2


▲ 2/2


▲ 채도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필터


 Z600에서 제공하는 필터는 8가지로, 일반적인 흑백과 세피어 이외에 적색, 녹색, 청색, 황색, 핑크색, 자주색의 필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채도


 책의 진하기와 많이 관련이 되고 흔히 말하는 색감과도 관련지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지원하는 -2~+2까지
지원
이 됩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6d177736226b968311b57fd526b22e15.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789d938cf9a734c01c9171962d34cec1.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9c0812c643e7c230e81ce452cfd25e03.jpg"
border=0>


▲ 콘트라스트


▲ 플래시 광량


▲ 플래시 보조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콘트라스트


 밝음과 어두움의 대비를 설전합니다. 역시 일반적인 -2 ~ +2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플래시 광량


 플래시 광량의 설정입니다.
 말 그대로 Z600의 스트로보에 대한 설정입니다. 너무 먼거리에 있는 피사체나 가까운 곳에
있는 피사체에 대해 플래시 정도를 조정함으로 좀 더 자연스러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단, 너무 가깝거나 너무 멀면 이런 설정값이
정상적으로 발휘되지 않았습니다.


 *플래시 보조


 AF보조등은 때때로 플래시 보조등으로도 사용이 됩니다. 이때 플래시 보조 LED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설정을 해주게
됩니다.


 #2. 재생 모드에서의 메뉴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35ef45518b40b6d03a99970ccb3d60ae.jpg"
border=0>


 재생 모드의 화면입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촬영 모드와 재생모드에서는 그 메뉴 항목이 바뀌게 됩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83dafaee03748ab2ccbeed6167483e99.jpg"
border=0>


 재생 기능에서의 메뉴입니다.
 재생 가능에서의 메뉴는 총 15개의 항목을 가지고 있고, 촬영
모드에서처럼 일부는 자체 탭을 가지고 있습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2072ed17a945451e2e814dc5017d6f13.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df17587d8f3b3483c221b6c585006880.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29827697a54ed65b92cdf050a511b3cb.jpg"
border=0>


▲ 슬라이드 쇼


▲ 슬라이드 쇼


▲ 슬라이드 쇼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슬라이드 쇼


 '슬라이드 쇼'는 재생 항목 메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항목입니다.
 모든 화상을 볼 수도 있지만, 이미지만, 동는
동영상만 볼 수도 있습니다.
 시간은 1분에서 1시간까지 1~10분까지는 1분씩 15분 30분 1시간 이렇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간격은 화면이 바뀌는 시간을 말하고 1초에서 30초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3초 이상을 해줘야 패턴이
나타납니다.
 이펙트는 사진이 바뀔 때의 모습으로 5가지가 제공되는데, 란덤이라는 항목은 아마도 번역을 하면서..
^_^;;
 슬라이드 메뉴에서의 설정은 크레들에서의 재셍에서도 그대로 적용이 됩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d5dbb59f9021e902cb934b703c031427.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51f8beeb0147f82e5d6b3ba3af1e9b03.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306beb26418193f8d74c59b898a79928.jpg"
border=0>


▲ 달력


▲ 모션 프린트


▲ 무비 편집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달력


 달력 모드는 촬영된 이미지를 월별, 일별로 나누어 정리한 기능으로 이전 모델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기능입니다. 최근 모델에
적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생각보다 편리한 기능으로, 번들에 제공된 포토로더와 함께 사용하면 아주 편리합니다.


 *모션 프린트


 모션 프린터는 동영상의 일부를 사진과 같이 필름형태에 한 장씩 넣어주는 편집 기능입니다. 위 사진이 편입이 완료된 형태로
1, 6프레임에 대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무비 편집


 무비 편집은 촬영한 동영상의 간단한 편집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편집이라고 해봤자 자르기 정도의
기능이지만, 현제보다 앞으로의 기종에서 더 기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동영상 편집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라면 꽤 유용하게 쓸
만한 기능이기도 합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eb4019576c2b734c5bad1badf3987533.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831ad2256796ab11973efebcc77cc5e3.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499356a19963d8ce4ef54c5c319ba1ef.jpg"
border=0>


▲ 키스톤


▲ 색상 보정


▲ 선호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키스톤


 엄청난 보정 기술이라 말하고 싶은 키소톤 기능입니다.
 기울어지고 삐뚤어진 화상을 자르고 기울여서 정상정인 이미지로
보정을 해줍니다. 스냅형 디카에서 이정도까지의 보정 기능을 제공할줄은 절말 몰랐습니다. -0-b


 *색상 보정


 색상보정기능입니다.
 포토샵의 오토 기능정도로 보면 됩니다. 무엇으로 보정하던 100% 정확할 수는 없지만, 꽤 만족할
만한 보정을 보입니다.


 *선호


 선호도 표시 기능입니다.
 선호 이미지에 등록하여 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45d36890202da7fbc3768f9b8f679aa5.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9f174c83cd04f28673f3c5ba79b209f9.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13472a1f9d9549a1e764c14cce310e0c.jpg"
border=0>


▲ DPOF


▲ 잠금기능


▲ 날짜/시간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DPOF


 DPOF는 Digital Print Order Format의 약자입니다. PC없이 프린터에 바로 연결해서 이미즈를 출력하게 하는
기능
입니다.


 *잠금기능


 말 그대로 잠금 기능으로, 이미지 보호에 보통 쓰이게 되는 항목입니다.


 *날짜/시간


 Z600은 특이하게 촬영한 이미지를 본체에서 바로 날짜와 시간을 바꿀 수 있는 기능을
제공
합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486677bbaa98630978799d39256a0cfb.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5d14128b40472699dd9da3fb4b1d902f.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7845908872c96764ebda5ed988d6e696.jpg"
border=0>


▲ 회전


▲ 리사이즈


▲ 트리밍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회전


 말 그대로 회전 기능입니다. 시계방향으로 90' 회전을 하는 메뉴입니다.


 *리사이즈


 이것 역시 이미지의 크기 변경을 하는 메뉴입니다.
 단 3:2의 화상으로는 변환이 안됩니다.


 *트리밍


 트리밍은 줌인 기능입니다. 촬영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볼 수 있는 기능으로 간단하게 줌버튼을 이용하여도
동일합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bd069fa188e17cfae24a7c6b39d83e49.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6c1726545f7a9c41b57946587cbe3c66.jpg"
border=0>


▲ 더빙


▲ 복사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더빙


 더빙 기능은 '음성부 정지화'와 동일한 기능입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음성부 정지화'는 촬영 즉시 음성을 넣고, '더빙'은
촬영후 음성을 넣는다는 점입니다.


 *복사


 내장 메모리를 가지고 있는 디카에서는 이런 항목이 대부분 있습니다.
 내장 메모리와 외장 메모리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설정
탭입니다.


 #3. 촬영 모드와 재생모드에서의 공통 메뉴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58570499c44e7821ecdf888d5e712926.jpg"
border=0>


 촬영 모드와 재생모드는 전혀 다른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설정 부분은 공통으로 제공하고 있는
메뉴부분
입니다.
 총 15개의 메뉴를 가지고 있고, Z600의 기본적인 부분을 설정하게 됩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41326da10dd4ead64226f45b883fb958.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fbcc1b8ebc0fc8025fe9267075dd5147.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edfa86232450e247cec6d05f0a67c514.jpg"
border=0>


▲ 화면


▲ 조작음


▲ 기동화면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화면


 화면 설정은 정확하게는 화면의 밝기입니다.
 자동으로 두는 경우 외부의 밝기에 따라서 자동 조정이 됩니다. +2는 너무
밝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조작음


 조작음은 말 그대로 셔터음이나, ON/OFF시의 사운드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기동화면


 기동화면은 전원 ON/OFF시의 화면입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c267f8cc53e73a664b516e7f6c1f0539.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3996069a7b8678e00f31043110c3f3ba.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d00f33ac842c57ecf9f339a7a35f7546.jpg"
border=0>


▲ 파일 No.


▲ 월드 타임


▲ 날짜 설정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파일 No.


 '파일 No.'는 저장되는 이미지의 이름을 설정해주는 부분입니다. 전원을 OFF한 후 새로운 번호를 부여 할 것인가, 아니면
이어서 나갈 것인가 하는 부분입니다.


 *월드 타임


 말 그대로 세계시간입니다.
 자택과 방문처를 설정할 수 있어, 이미지에 기록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날짜 설정


 처음 디카를 On하면 가장 먼저 설정하는 항목중 하나입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3c176d8e5c2cecd1f1b4bc3737b5c70e.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12fef5a259c0417d6b3d1556112ba3ea.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4c092548f175eff1d8b6f5c3d47fbd01.jpg"
border=0>


▲ 표시 스타일


▲ 언어


▲ 슬리프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표시 스타일


 표시스타일은 년/월/일을 어떻게 표시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각 국가마다 표시하는 스타일이 다른 만큼 한국에서만
판매하는 제품이 아니기에, 이런 부분이 필요합니다.


 *언어


 언어는 총 10가지를 지원합니다.
 일어, 이태리어, 영어, 포르투칼어, 불어, 중국 번체, 독어, 중국 간체,
에스파냐어, 한국어를 지원합니다.


 *슬리프


 슬리프는 간단하게 절전모드로, 설정한 시간만큼 어떠한 신호도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절전 모드로
들어갑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21c6700587cd25f4bc127e199f8c8916.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9fa97fd5de025fe976ac09358e452421.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ef000126be8953da16db8974452c1506.jpg"
border=0>


▲ 자동전원차단


▲ REC/PLAY


▲ USB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자동전원차단


 슬리프 기능과 함께 전원 절약 모드중 하나입니다.
 설정한 시간만큰 신호가 없으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집니다.


 *REC/PLAY


 LCD옆의 'REC/PLAY'버튼에 대한 설정입니다.
 Z600은 전원 버튼이 잘 눌러지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빠른 가동을 위해 이 두 버튼을 통해 전원을 켜거날 끌 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합니다.


 *USB


 이 두 항목은 이미지 출력에 대한 부분입니다.
 CIPA(카메라 영상기기 공업회)에 의한 표준인 USB 다이렉트 프린트와
엡손에 의한 규격인 PTP를 모두 지원
하고 있어 다이렉트 출력 대부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e66b3e7d6bf057e5b4ae105c75dde6cb.jpg"
border=0>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200500f526c65f669be9754ce857b28a.jpg"
border=0>


▲ 비디오 출력


▲ 포맷과 리셋


borderColorLight=black border=1>










 *비디오 출력


 가장 대포적인 출력인 NTSC와 PAL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PAL입니다.


 *포멧


 포맷은 메모리를 초기화 시키는 항목으로 새로 장착한 메모리는 한번쯤 초기화 시켜주는게 좋습니다.


 *리셋


 리셋은 각종 설정 항목을 공장 출하시와 동일한 형태로 초기화 하는 과정입니다.
 이번 체험단 과정에서 아주 많이 사용한
항목이기도 합니다. ^_^;
 그리고 리셋을 해도 이미지의 No는 기존의 번호를 그대로
이어갑니다.


 이상 간단하게, 메뉴 항목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이번 Z600은 스냅형 카메라로 보기 힘들 정도로 아주 제사한
메뉴항목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볍게 넘어갈 수 있는 부분까지도 아주 자세한 항목을 가지고 있어 메뉴 항목만은 최근 나오는
디카중에서 최상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기대 이상의 강력한 편집 기능은 Z600의 가치를 더욱 높이는 부분이었습니다.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3cf7c2086f727bd49c178a1d217cafbf.jpg"
border=0>


 ->
키스톤
보정


src="http://image2.compuzone.co.kr/img/community/community_html/6147/b8213fe1dc8cd3b0060c9bd6944b84b0.jpg"
border=0>


 특히 제가 거의 감탄을 금치 못했던 키스톤 보정의 결과를 보면 Z600의 보정 능력을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위 보정은 제가 혹시나 해서 해본 것인데, 키 보드 부분만 잡아내서는 저렇게 보정을 해내더군요.. -0-;;
 메뉴를 보며
약간의 아쉬움이 드는 부분이 생기기도 했지만, 스냅형에 SLR급을 바라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_^;
 하지만, 한가지
확실한 점은 Z600이 가진 메뉴는 최근 발매되는 디카중에서도 가장 진화된 메뉴중 하나라는 점입니다. ^^

접기 덧글 3 접기
SNS 로그인

이전글 다음글 목록

맨위로

이전이전 171 172 173 174 175 다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