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레이어닫기

북극곰의 Z60 갖고놀기 (3/6)

널닮은너 | 05-15 23:00 | 조회수 : 1,314 | 추천 : 66







CASIO EXILIM EX-Z60  - 촬영시 메뉴 구성 (1)



EXILIM EX-Z60의 촬영시의 메뉴구성은 아래에서 보는 것
처럼 기본적으로 [촬영설정] / [화질] / [설정] 의 세 항목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에는 하위 메뉴들이 가지처럼 구성되어 있다. 앞서 제품
후면에는 조작과 관련한 버튼이 최소화되었다고 언급하였는데, 그로
인해 각종 설정은 MENU 버튼과 원형으로 된 이동버튼 및 SET 버튼이
사용된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gif"
border=0>

이렇게 외부로
노출된 조작버튼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조작과 심플한 외형을
갖출 수 있다. 하지만 각종 메뉴가 어디에 포함되어 있는지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필요하며 일부 메뉴는 사용을 위해 몇 번씩 버튼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다만 슬림형인 만큼 버튼 배치를 위한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며 좌우(◀,▶) 버튼에 포커스/EV시프트/화이트밸런스/ISO감도/셀프타이머등의
변경기능을 지정해 줄 수 있어서 그러헌 불편함을 최소화시켜주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제 제공되는 메뉴들 중에서 중요한
부분을 선택해 실제 촬영 이미지를 토대로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bullet.gif"
align=absMiddle>

오토포커스에서 매크로, 수동 포커스까지 지원
style="FONT-SIZE: 9pt">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line.gif"
>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01.jpg"
border=0>







△ 제공되는 포커스 방식에는 자동으로 포커스를
잡아주는 AF(오토퍼커스), 10cm~60cm 하는
매크로, 일정한 거리 이상의 피사체 모두에
초점을 맞춰주는 PF(팬포커스), 무한 대,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포커스를 설정할 수 있는 MF(메뉴얼포커스)등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가장많이 사용되는
모드는 AF로, 광량이 풍부한 상태에서 색구분이 명확한 피사체의 경우
1초 이내의 빠른 포커싱 속도를 보여준다. AF의 범위는 40cm ~
∞이며 만약 피사체가 이 범위보다 안쪽에 있으면 자동으로 매크로 모드로
변경되어 별도의 조작없이도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팬포커싱은 아웃포커싱과는 달리 촬영하는
피사체와 배경에 모두 조첨을 맞춰주는 것으로 이렇게 촬영한 이미지는
피사계 심도가 깊어지게 된다. (아웃 포커싱의 경우 피사계 심도는 낮다)
참고로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는 요소로는 ①조리개의 구경, ②초점이
맞은 피사체의 거리, ③렌즈의 초점거리의 세가지를 들 수 있으며 팬포커싱
촬영을 하려면 조리개를 최대한 조여주고, 셔터속도를 늘려주고, 초점을
무한 대로 설정을 하면 된다.


다만 EXILIM EX-Z60은 사용자가
조리개/셔터속도를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팬포커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포커스 모드에서 별도로 PF 메뉴를 통해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해주고 있지만 실제 야외 촬영시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test001.jpg"
border=0>







△ 카메라 모델: CASIO EX-Z60 / 셔터속도: 1/500s / 조리개 값: F4.4 / ISO 값: 50 / 측광 모드: Evaluative / 화이트 밸런스: Sunny / 노출보정: EV0.0



이밖에 ∞ 모드는 멀리있는 건물이나
풍경등을 촬영할 때 주로 사용되며, MF(수동 포커스) 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이미지의 초점을 맞춰주는 기능으로 ◀,▶키를 이용해 LCD 화면
내의 확대된 이미지를 보면서 초점을 직접 맞춰줄 수 있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test004_a.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test004_b.jpg"
border=0>







△ 포커스 방식을 MF로 설정하면 좌측 상단에 이를
알리는 표시가 뜬다. SELECT 버튼을 누르면
LCD내의 노란색 테두리부분이 확대되고 이때
좌/우 이동키를 이용해 수동으로 초점을 맞춰준
후 촬영을 하면 된다. 다만 확대되는 시간이
채3초가 되지 않기 때문에 세밀한 조정을 하기
힘는데, 아쉽게도 메뉴상에는 이와 관련된
아무런 설정도 지원하지 않는다.



EXILIM EX-Z60의 매크로(접사)는 최대
10cm로 보급형 모델이라고 그냥 넘기기에는 다소 아쉬움이 따른다. 실제로
600만 회소, 30만원대 중초반의 제품들을 살펴보면 자사의 Z600의 15cm나
코닥 Z650의 12cm에 비하면 괜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경쟁사인
올림푸스 FE-160의 6cm, 파나소닉 루믹스 DMC-FX01의 5cm, 캐논 IXY
70의 3cm, 소니 사이버샷 W30의 2cm에 비해서는 다소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test002_a.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test002_b.jpg"
border=0>







△ 카메라 모델: CASIO EX-Z60 / 셔터속도: 1/5s / 조리개 값: F3.1 / ISO 값: 50 / 측광 모드: Evaluative / 화이트 밸런스: Auto / 노출보정: EV0.0
/ 초점거리: 6.3mm



위 이미지는 모두 동일한 거리에서
동일한 설정값을 가지고 촬영을 한 것이다. 좌측의 경우 기기가 제공하는
최단 10cm 거리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820x1093 픽셀 크기로 크롭한 후
비교를 위해 이미지 크기를 줄였다. 우측도 동일한 환경이었으며 크롭한
크기도 동일하지만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좌측보다 1.2~1.3배 정도
확대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test003.jpg"
border=0>


이는 본인이 약간의 편법(?)을 이용한
것으로 실제 EXILIM EX-Z60의 매크로 기능을 사용해 최대한 가까운 거리에서
촬영한 이미지는 좌측이다. 그리고 오른쪽은 피사체와 렌즈 사이에 문방구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돋보기를 사용해 피사체를 확대한 결과이다. 만약 돋보기의
배율이 좀더 좋은 것이었다면 시중에서 판매하는 1.4x 또는 1.6x 텔레
컨버터와 비슷한 역할을 해줄 수도 있다. (참고로 본인은 문방구에서
2000원에 구입하였다.) 다만 이로 인한 화질 열화는 감수해야만 할 것이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bullet.gif"
align=absMiddle>

낮과 밤을 가리지 않는 뛰어난 연사 기능
style="FONT-SIZE: 9pt">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line.gif"
>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02.jpg"
border=0>







△ 제공되는 연속 촬영에는 메모리 용량이 허용하는데까지
연속 촬영이 가능한 표준 속도 연사와 고속으로
3장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고속연사, 그리고
플래시가 터지면서 3장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플래시 연사등이 있다.



표준속도 연사는 초당 1매의 속도로
메모리 용량이 다 찰 때까지 셔터를 누르고 있으면 연속적인 촬영이
가능하다. 단 메모리 카드의 쓰기 속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본인이 갖고 있는 1GB(45배속), 2GB(120배속) SD메모리를 이용해 50장씩
연속촬영을 한 결과 각각 64초, 53초의 시간이 소요되어 둘 사이에도
약 9초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고속연사는 1초에 3매의 속도로 최대
3매까지 연사가 가능해 빠른 화면을 담기에 편리하다. 참고로 고속연사
촬영시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EV시프트나 화이트밸런스등을 변경할 수
있지만 ISO나 플래시 설정등은 변경이 불가능하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test005_a.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test005_b.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test005_c.jpg"
border=0>







△ 카메라 모델: CASIO EX-Z60 / 셔터속도: 1/2000s / 조리개 값: F4.4 / ISO 값: 50 / 측광 모드: Evaluative / 화이트 밸런스: Auto / 노출보정: EV0.0



표준속도 연사와 고속 연사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움직이는 GIF를 제작해 보았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to_start.gif"
border=0>







△ (좌)고속연사, (우)표준속도 연사의 모습으로
공이 제일 위에서 제일 바닥으로 움직이는데
약 3초가량의 시간이 소요된다.  고속
연사의 경우 2번째 내리막길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동하는 동안 3컷이 모두 촬영(즉, 1초동안
3컷의 연사)된 것에 비해  표준속도연사의
경우 1초에 각 끝지점을 한번씩 지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플래시연사는 연사시마다 플래쉬가
터지는 기능으로 제조사에서는 카스오의 플래시 발광 제어 기술과
고감도 기술으로 인해 구현이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 다른 제품들의
경우 플래쉬 촬영후 일정시간 충전을 한 후 다시 촬영해야 했기 때문에
플래쉬로 연속촬영을 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EXILIM EX-Z60은 플래쉬를
사용하면서도 고속연사(초당 3매속도, 최대 3매 촬영 가능)가 가능해
어두운 곳이라고 하더라도 원하는 장면을 놓치지 않고 촬영을 할 수
있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flash_01.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flash_02.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flash_03.jpg"
border=0>







△ 카메라 모델: CASIO EX-Z60 / 셔터속도: 1/60s / 조리개 값: F3.1 / ISO 값: 800 / 측광 모드: Evaluative / 화이트 밸런스: Auto / 노출보정: EV0.0



하지만 위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광량이 조금만 부족하더라도 셔터스피드를 확보하기 위해 ISO가 400/800으로
설정되며, 이러한 ISO 설정은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아래에서 다시 언급하겠지만 EXILIM EX-Z60의 감도의 경우 ISO 400도
많은 노이즈가 발생하며 ISO 800의 경우에는 블러그에 올리기도 부족할
정도의 극심한 화질저하를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플래쉬 연속촬영을 할 경우 이미지 화질은 기대할 것이 못된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bullet.gif"
align=absMiddle>

손떨림 방지를 위한 Anth Shake DSP!
style="FONT-SIZE: 9pt">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line.gif"
>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03.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bs_025.jpg"
border=0>







△ 떨림 방지를 자동으로 설정하면 ISO를 최대
800까지 변경 가능하며 BS(베스트 샷)의 [떨임방지],
[고감도]모드에서는 손떨림 방지 기능이 기본으로
활성화가 된다.



광량이 부족한 어두운 환경에서는
좀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기 위해 셔터스피드가 낮아지고 망원 촬영시에는
초점거리가 길기 때문에 약간의 흔들림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흔들린
사진이 촬영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 및 렌즈 제조사들은
흔들림 방지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손떨림 방지 기술은 크게 카메라의
흔들림을 인식하여 다음 흔들림을 예측한 후 렌즈 중앙부에 위치한 교정
렌즈를 움직여 원래 빛의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교정해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방법과 교정용 렌즈가 아닌 카메라 내의 필름역활을 하는
CCD센서를 움직여 이미지 상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나뉘어 진다. 전자는
파나소닉, 캐논, 니콘등 대부분의 제조사들이 채택하고 있으며 후자는
코니카 미놀타만이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fz10_ois_mode_off_s.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fz10_ois_mode_1_s.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fz10_ois_mode_2_s.jpg"
border=0>







△ 파나소닉 FZ10의 손떨림보정기능인 M.O.I.S를
테스트한 것으로 1/5s의 셔터스피드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한 것이다.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M.O.I.S 적용에 따라 보다 선명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손떨림 방지 기능은 캐논의
경우 IS(Image Stabilizer), 니콘은 VR(Vibration Reduction), 미놀타는
AS(Anti-Shake), 파니소닉은 M.O.I.S(Mega Optical Image Stabilizer)등으로
카메라 혹은 렌즈 제조사마다 다른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지만 기본
동작 원리는 동일하다.


그렇다면 EXILIM EX-Z60의 손떨림
보정기능인 Anti-Shake DSP는 어떤 것일까? 이에 대해 기술적인
자료를 구할 수 없었기에 확정지을 수 없지만 렌즈나 CCD를 보정하는
방식이 아닌 단순히 ISO를 800까지 올려 셔터스피드를 확보하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외에도 카메라 자체에서 별도의 보정작업이 이뤄질 수도
있지만 실제 테스트를 해보면 별다른 후보정 작업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as_test_01.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as_test_02.jpg"
border=0>







△ 일반적인 설정에서 최고로 설정가능한 ISO 400일
때(좌)와 손떨림 방지 기능을 활성시켜 ISO
800으로 설정(우)한후 촬영을 하였다.



광학 3배 줌 상태에서 촬영한 것으로
ISO 400일 경우 셔터스피드가 1/2s로 손각대로 촬영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며 실제 촬영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불빛부분이 흔들려서 제대로
알아보기 힘들다. 손떨림 방지 기능을 활성화하면 ISO는 800으로 오르는
대신 셔터스피드는 1/15s로 늘어난다. 그 결과 십자가 모습이 큰 흔들림없이
제대로 촬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손떨림 보정 기능은 ISO감도를
800으로 올려줌으로써 셔터스피드를 확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셔터스피드가 확보되면 고정된 피사체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피사체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래 촬영 이미지를 살펴보자.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as_test_03.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as_test_04.jpg"
border=0>







△ 일반적인 설정에서 최고로 설정가능한 ISO 400일
때(좌)와 손떨림 방지 기능을 활성시켜 ISO
800으로 설정(우)한후 촬영을 하였다.



ISO 400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셔터스피드가
1/4s로 나와 전광판에 지나가는 글자들이 제대로 확인조차 되지 않는
반면 손떨림 방지 기능을 사용하면 셔터스피드가 1/15s로 커져 스크롤되는
글자를 또렷하게 촬영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삺펴보았듯이 EXILIM EX-Z60이
제공하는 떨림 방지모드를 사용하면 셔터스피드를 확보해줌으로써 어두운
곳에서 흔들림없는 결과물을 얻을 수가 있다. 다만 이로 인한 ISO의
증가로 인한 화질 열화는 양날의 검과 같기 때문에 사용시에 주의해야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bullet.gif"
align=absMiddle>

피사체의 구도에 따른 AF 영역 설정
style="FONT-SIZE: 9pt">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line.gif"
>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04.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af_multi.jpg"
border=0>







△ 촬영시 피사체의 구성이나 위치등에 따라 오토포커스의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SPOT 영역은 화면
중간의 제한된 범위를 선택하는 것으로써 피사체를
중심으로 촬영하거나 반셔텨 사용시에 유용하다.
이에 비해 Multi 영역은 9개의 와이드 포커스
포인트를 제공하며 초점이 제대로 맞지 않거나
보다 정확한 AF를 원할 때 사용된다. (초점이
맞은 포인트는 녹색으로 변하게 된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bullet.gif"
align=absMiddle>

좌/우키에 자주 사용하는 기능 할당
style="FONT-SIZE: 9pt">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line.gif"
>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05.jpg"
border=0>









△ 일종의 단축키(?) 기능으로 후면에 위치한 모드
버튼의 좌/우 키에 주로 사용하는 기능을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기본적으로 좌/우키에는 아무런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키는 디스플레이
모드 변경, ▼키는 휴지통 및 플래시 설정을
해주고 있다. 할당할 수 있는 기능은 포커스방식
/ EV시프트 / 화이트밸런스 / ISO 감도 / 셀프타이머
로 이밖의 기능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추가하는 등의 작업은 제공되지 않는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bullet.gif"
align=absMiddle>

광학줌 3배, 디지털 줌 4배 제공
style="FONT-SIZE: 9pt">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line.gif"
>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30.jpg"
border=0>









△ 3배 광학줌과 4배 디지털 줌을 지원해 이 둘의
조합으로 최대 12배 줌기능을 제공한다. 다만
디지털 줌의 경우 화질 열화가 매우 심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는 편이 낫다.



광학줌의 경우 렌즈의 초점거리를 이용해 광학적인
영상 확대를 이용하기 때문에 약간의 해상력 저하는 발생하지만 전체적인
화질은 우수한 편이다. 그렇지만 디지털 줌의 이미지의 일부를 단순히
확대한 것이기 때문에 선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질저하도 심한 편이다.


그렇다면 EXILIM EX-Z60에서 제공하는
광학/디지털 줌의 성능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zoom_03.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zoom_04.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zoom_05.jpg"
border=0>







△ 카메라 모델: CASIO EX-Z60 / 셔터속도: 1/640s / 조리개 값: F4.4 / ISO 값: 50 / 측광 모드: Evaluative / 화이트 밸런스: Auto / 노출보정: EV0.0



최대 광각(38mm)일 때와 광학 3배줌
사용시(144mm) 그리고 여기에 디지털 4배줌을 적용한 12배줌일 때의
모습이다. 35mm환산 38mm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라는 관점에서 무난한
수준이지만 답답한 느낌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광학줌 3배를 하였을
경우 모서리 부근이 약간 흐려지지만 전체적으로 만족할 만한 품질을보여준다.
다만 여기에 디지털 4배줌을 적용하여 총 12배 줌을 하였을 경우에는
이미지 자체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선명하지 못하는등
화질 열화가 느껴진다.


그렇다면 디지털 12배를 한 이미지와
최대광각일 때의 디지털 줌 12배와 동일한 지점에서의 이미지를 크롭해
확대하였을 경우의 이미지 품질을 살펴보도록 하자.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zoom_07_a.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zoom_07_b.jpg"
border=0>







△ 최대광각일 때의 이미지에서 일정 영역을 크롭한
경우(좌)와 광학줌 3배 x 디지털줌 4배를 한
이미지(우)와의 품질 비교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zoom_07_c.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zoom_07_b.jpg"
border=0>







△ 광학 3배줌일 때의 이미지에서 일정 영역을
크롭한 경우(좌)와 광학줌 3배 x 디지털줌
4배를 한 이미지(우)와의 품질 비교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최대 광각일
때의 크롭 이미지는 낮은 선명도와 노이즈등으로 오히려 디지털 줌 사용시보다
못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예전에는 디지털줌의 경우 원본이미지를
단순히 확대하는 수준이었지만 최근 출시되는 제품들의 경우 이미지
확대에 내부적으로 이미지 보정 작업을 거치기 때문에 좀더 깨끗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학 3배줌일 때의 크롭
이미지와 비교해보면 음영부의 표현이나 해상력등에서 다소 부족한 모습을
보여준다.


참고로 EXILIM EX-Z60의 최대 광각(38mm)일
때와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렌즈와의 화각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zoom_08.jpg"
border=0>







△ EXILIM EX-Z60의 최대 광각은 35mm 환산
38mm이며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시그마 17-70mm
렌즈는 최대 광학이 17mm이다. 단 니콘 D200이
1.6x 크롭바디이기 때문세 실제 렌즈의 최대
과각은 27.2mm이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EXILIM
EX-Z60의 최대 광각은 시그마 17-70렌즈에
비하면 답답한 느낌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bullet.gif"
align=absMiddle>

전원을 켰을 때 이전 촬영 설정을 기억해주는 모드 메모리
style="FONT-SIZE: 9pt">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line.gif"
>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06.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07.jpg"
border=0>







△ 모드 메모리는 사용자가 촬영했을 때의 각종
상황을 기억했다가  다시 카메라의 전원을
켰을 때 이전의 정보를 기본 설정값으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베스트샷의 '꽃'모드로 촬영을 하다가 카메라의
전원을 끈 후 나중에 다시 전원을 키게 되면
이전의 꽃 모드가 기본으로 설정되게 된다.
만약 모드 메모리 항목의 베스트샷 부분을
오프로 설정했다면 전원을 껐다 다시 킬 경우
이전에 사용했던 베스트샷 모드는 취소되어
버리고 만다. 이렇듯 주로 사용하는 기능들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촬영시에도 일일이
각종 설정을 변경해줄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모드
메모리는 하나의 설정값만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다양한 설정을 기억했다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고자 한다면 베스트샷의 사용자
모드 설정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mode_memory.jpg"
border=0>







△ 모드 메모리의 각 항목과 온/오프 설정시의
각 모드에서 표시되는 내용이다.
1) 시작시
베스트샷 모드 선택으로 실행될지 지정한다.
온일 경우 마지막으로 사용된 베스트샷 모드가
뜨지만 오프일 경우에는 자동 상태로 시작하게
된다.
2) 줌 위치는 광학줌일 때만 기억한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bullet.gif"
align=absMiddle>

이것저것 어렵고 귀찮다! easy 모드
style="FONT-SIZE: 9pt">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line.gif"
>

EXILIM
EX-Z60은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춘 '자동 디지털 카메라'쪽에 가깝다.
그렇기 때문에 촬영시 사용자가 일일이 조리개와 셔터스피드등을 직접
설정하는 수동기능을 갖추지 않은 대신 보다 쉽고 빠르게 그리고 편리하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점에 초점을 두고 있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08.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09.jpg"
border=0>







△ 번거로운 설정을 최소화한 easy 메뉴의 제공은
'단순히 누르고 찍는'것만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편리한 기능으로 디지털 기기에 대한 거부감없이도
손쉽고 촬영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기기자체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용자들을 위해 정말 필요한 기능만을 최소한 easy
메뉴를 별도로 제공한다. 지금 살펴보고 있지만 EXILIM EX-Z60에서 제공하는
메뉴는 방대하기 때문에 단지 '누르고 찍기'만을 원하는 경우에는 머리가
지끈거릴 수도 있을 것이다.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10_a.jpg"
border=0>



src="http://myhome.hanafos.com/~datainfo/z60/z60_menu_a_010_b.jpg"
border=0>







△ Easy 메뉴는 초보자를 위한 메뉴인 만큼 메뉴
설정시에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곁들어져
누구라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Easy 메뉴를 활성화하면 LCD 상단에
붉은색 네잎 클로버 아이콘이 뜨게 되며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은
플래시 / 셀프타이머 / 사이즈로 간략화 된다. 이 상태에서는 AF설정이나
ISO 감도 변경등의 작업들은 불가능하며,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중에
하나인 BS(베스트샷) 모드또한 사용할 수 없다. 그나마 줌(디지털 줌포함)
기능은 지원된다는 게 위안이라고나 할까?

접기 덧글 4 접기
SNS 로그인

이전글 다음글 목록

맨위로

이전이전 168 169 170 171 172 다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