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I X-Slim X400 노트북의 성능을 말하다. 1부에서는 MSI X-Slim X400 노트북의 외관적인 부분에 대하여 적었습니다만 2부에서는 윈도우7을 설치하고 동사의 AMD 플렛폼 노트북과 성능 비교를 작성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인텔 울트라씬 플렛폼인 MSI X-Slim X400 노트북이 더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실제로 데스크탑 PC의 성능 테스트에 사용하는 다양한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측정해 보더라도 노트북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꽤나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SI X-Slim X400 노트북은 4셀 베터리를 사용하면서도 저전력의 SU4100 프로세서를 사용하였고 다양한 저전력 기술로 오히려 6셀 베터리를 사용하는 MEGA Book S430X 노트북보다도 더 오래동안 사용이 가능합니다. 지금부터 MSI X-Slim X400 노트북의 성능에 대하여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성능 테스트는 개인이 한정된 환경에서 테스트가 진행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정확한 성능이라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길 바랍니다.
▲ 인텔 Montevina 플렛폼 인텔의 울트라씬 플렛폼은 기본적으로 Montevina 플렛폼에 기반하고 있으며 여기에 인텔의 저전력 프로세서를 사용함으로써 슬림한 스타일의 울트라씬 플렛폼이 됩니다. 차후 어떤 플렛폼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현재까지의 노트북 변화를 본다면 앞으로 더욱더 슬림해진 노트북과 더욱더 뛰어난 성능으로 차후 다가올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울트라씬 플렛폼이 최신의 플렛폼입니다. MSI X-Slim X400 노트북도 위의 Montevina 플렛폼에 인텔의 저전력 프로세서인 SU4100 프로세서를 사용함으로써 울트라씬 플렛폼의 노트북입니다.
▶ 테스트 시스템의 스펙
기존에 사용중이던 MSI MEGA BOOK S430X 노트북과 MSI X-Slim X400 노트북과 비교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MSI MEGA BOOK S340X 노트북의 경우 몇몇 드라이버가 윈도우7용으로 제공되지 않기에 윈도우 비스타용 드라이버를 호환성을 윈도우 비스타로 설정하여 설치하였기에 최적의 성능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MSI X-Slim X400 노트북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고는 모든 드라이버가 윈도우7용으로 제공이 되므로 윈도우7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MSI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됩니다.
▶ MSI X-Slim X400 부팅 MSI X-Slim X400 노트북은 전원 버튼을 누르면 기본적으로 위 4가지 메뉴를 선택할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Setup 메뉴는 MSI X-Slim X400의 바이오스를 제어할수 있는 CMOS 화면으로 들어갈수 있으며, F11 키는 부팅 메뉴를 선택할수 있는 화면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F3 키는 MSI X-Slim X400 노트북과 함께 제공되는 윈도우 비스타 상태로 복구할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 MSI X-Slim X400의 각종 Utility ▲ 내장된 웹 카메라용 어플리케이션 MSI X-Slim X400 노트북에는 기본적으로 1.3Mpixel 웹 카메라가 LCD 상단에 실장되어 있는데 이를 사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 Camera Record Renderer를 제공하고 있으며 처음에 설치된 상태로 제공이 됩니다. 윈도우7용은 MSI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별도로 다운받아 설치해야 합니다.
▲ 로그인에서도 얼굴인식이 됩니다. MSI X-Slim X400 노트북에서 제공되는 Easy Face Manager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윈도우 비스타나 윈도우7에서 로그인시 인증을 할수 있는 시스템 입니다. 이를 이용한다면 보다 안전하게 노트북을 사용할수 있으며 다른 사람이 노트북에 로그인 하는것을 방지할수 있으니 안심하고 MSI X-Slim X400 노트북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위의 2가지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복구 CD를 제작할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데 윈도우7용은 없는지 아니면 아직 제작중인지는 모르지만 현재로써는 복구 CD를 제작할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윈도우7은 지원되지 않고 있습니다. 물론 윈도우 비스타용은 제공이 되며 윈도우7에서 호환성을 체크하여 설치할수도 있습니다.
▶ Sandra에서의 성능.
벤치마크 테스트에 많이 사용하는 SISoftWare사의 SANDRA로 테스트한 결과인데 위 표의 노란색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값이 높을수록 좋은것이며 그외의 부분은 값이 낮을수록 좋은 성능을 나타냅니다. 특히 비디오 부분에서 엔비디아 지포스 Go6100은 DX10 이상을 지원하지 않았으며 MSI X-Slim X400 노트북의 인텔 GMA 4500MHD 내장 그래픽은 DX10까지 지원이 되었습니다. SANDRA로 테스트한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MSI MEGA Book S430X 노트북 보다는 MSI X-Slim X400 노트북이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PU의 클럭만으로 본다면 S430X 노트북이 더 클럭이 높지만 결과로 본다면 X400 노트북이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고 할수 있습니다.
▶ PCMark Vantage에서의 성능.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PCMark는 최신 버전이 PCMark Vantage이며 노트북뿐만 아니라 PC의 전체적인 성능을 측정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확실히 MSI X-Slim X400 노트북의 성능이 MEGA Book S430X 보다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역시 내장 그래픽인 GMA 4500MHD은 게임을 하기 위한 그래픽의 성능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노트북으로 게임을 즐기는 유저도 있지만 통상 노트북으로 업무를 보거나 동영상이나 인터넷 강의를 듣는 수준이라면 충분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Everest 5.30.1900에서의 성능.
Lavalys사의 Everest 테스트 프로그램도 많이 사용하는 벤치마킹 프로그램으로 여러가지 테스트를 통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가늠해 볼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다만 위 결과를 보면 위의 SANDRA나 PCMARK VANTAGE 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메모리 읽기 성능과 CPU PhotoWorxx, FPU Julia, FPU Mandel 부분은 X-Slim X400 노트북이 좋은 결과가 나왔지만 그외의 부분에서는 S430X 노트북이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ScienceMark에서의 성능. 수치연산 성능을 알아볼수 있는 ScienceMark 2.0 테스트는 높을수록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전체적인 성능면에서 MSI X-Slim X400 노트북이 좋다는걸 Overall Score로 알수 잇으며 그외에 몇몇 부분에서는 MEGA Book S430X가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SuperPI/Mod 1.5 XS에서의 성능. SuperPI는 AMD 시스템보다 인텔 시스템에 더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CPU의 성능을 알아보는데 큰 문제가 없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원래는 동종의 CPU로 테스트를 해야 그 제품의 성능을 가늠해 볼수 있지만 보유하고 있는 노트북이 AMD 플렛폼인지라 감안하시고 봐주십시오. 결과로는 MSI X-Slim X400 노트북이 약 10초 가량 더 빠른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3D Mark 06에서의 성능. FutureMark사의 3D Mark 06은 그래픽 카드의 성능 테스트에 많이 사용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즉 MSI X-Slim X400 노트북의 내장 그래픽인 인텔 GMA 4500MHD 내장 그래픽의 성능을 알아볼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위 테스트 결과를 보면 Shader Model 3.0도 무리없이 테스트가 가능할 정도의 수준이라 3DMark Score는 게임을 무리없이 즐기기에 다소 무리가 있는 점수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내장 그래픽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생각보다는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 CineBench R10 에서의 성능. CineBench R10은 Cinema 4D와 BodyPaint 3D라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회사인 Maxon사에서 만든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3D 그래픽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성능을 가늠해볼수 있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이 결과를 보면 Single CPU Rendering에서는 큰 차이가 안보이고 있지만 2개의 CPU를 사용하여 Rendering하는 Multiple CPU Rendering 결과를 보면 꽤나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내장 그래픽인 GMA 4500MHD도 엔비디아 지포스 go 6100 보다도 꽤나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SI X-Slim X400 노트북이 3D Graphic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시스템은 아니지만 3D Graphic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는 문제가 없음을 알수 있습니다.
▶ 동영상 인코딩 시간 테스트. ▲ 인코딩 원본 ▲ 인코딩 옵션 최근 많은 사용자들이 데스크탑 PC나 노트북으로 동영상이나 음원 파일을 인코딩하는데 MSI X-Slim X400 노트북의 인코딩 성능을 측정해 보았습니다. 해상도 640 X 480, 1.94GB 용량의 DivX5의 동영상을 480 X 272 해상도에 H.264 MP4 파일로 인코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동영상 인코딩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작은 동영상이라면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지만 꽤나 큰 용량의 동영상을 인코딩 할때는 생각보다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위 차트에서 볼수 있듯이 2시간이 넘는 동영상을 인코딩할때 무려 375초(6분 15초)나 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즉 전체적으로 MSI X-Slim X400 노트북이 MEGA Book S430X 보다도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 동영상 재생시 CPU 점유율 MSI X-Slim X400 노트북으로 풀 HD 동영상인 1080p 동영상을 재생할때 CPU는 약 57%의 사용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풀 HD 동영상을 재생할때 이정도의 점유율이라면 다른 동영상을 재생할때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특히 꽤나 많은 노트북 사용자들이 전철안에서 노트북이나 넷북으로 동영상을 감상하는데 넓은 화면으로 동영상을 감상하는데 충분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 윈도우7 체험 지수 MSI X-Slim X400 노트북의 윈도우7 체험지수는 프로세서가 3.9, 메모리가 4.7, Windows Aero 그래픽이 3.4, 3D 게임 그래픽이 3.3, 하드디스크의 성능이 5.8로 노트북으로는 적당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Flip 3D와 Aero Glass도 문제 없습니다. MSI X-Slim X400 노트북이 지원하는 인텔 GMA 4500MHD 내장 그래픽은 Pixel Pipe Line이 10개이고, Shader Model 4.0, DirectX 10, OpenGL 2.1 을 지원하며, MPEG-2, VC-1, AVC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Windows7의 Flip 3D, Aero Glass 기능을 사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은 PC의 기능중 휴대성을 높여 사용자가 어디서든지 PC를 사용할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기본적인 기능입니다. 그래서 최근 넷북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것이라 할수 있습니다. 기존의 노트북들은 넷북과 비교하여 너무나 무거웠으며 가격적으로도 상당히 부담되는 금액이었지만 넷북의 출현으로 메인스트림급과 엔트리급 레벨의 노트북들이 가격을 하락하였거나 성능을 더욱더 높인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노트북들은 휴대성 부분에서 솔직히 무게감이 꽤나 나갑니다. 그런면에서 울트라씬 플렛폼의 노트북은 슬림하면서도 성능까지도 커버한 노트북으로 최근 많은 노트북 제조사에서 울트라씬 플렛폼의 노트북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그중 MSI X-Slim X400 노트북은 기본적으로 인텔 울트라씬 플렛폼을 따르는 노트북입니다. MSI X-Slim X400 노트북은 24.5mm의 상당히 슬림한 구조와 1.5Kg의 가벼운 무게를 자랑하는 노트북이며 내장 그래픽으로는 MPEG-2, VC-1, AVC 동영상의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는 인텔의 GMA 4500MHD 내장 그래픽을 실장하여 동영상 재생에도 전혀 문제가 없는 성능을 보여주는 노트북입니다. 마지막으로 MSI X-Slim X400 노트북을 사용해 볼수 있도록 제공해주신 웨이코스(http://www.waycos.co.kr)에 감사드립니다.
|
회원정보
아이디 : ksoothink
닉네임 : 삭발하면원빈
포인트 : 11939 점
레 벨 : 우수회원(레벨 : 7)
가입일 : 2007-04-14 18:52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