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레이어닫기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된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네베르쩨바 | 02-16 19:26 | 조회수 : 2,034 | 추천 : 0

일반적인 엔드 유저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그래픽 카드는 퍼포먼스급 그래픽 카드나 하이엔드급 그래픽 카드 보다는 메인스트림급 또는 벨류급 그래픽 카드를 더욱더 많이 사용합니다. 통상 일반인들에게 알려지길 그래픽 카드의 숫자가 높을수록 좋은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GPU의 제조사인 엔비디아나 ATI 모두 GPU에 등급이 존재합니다. 그렇기에 그래픽 카드의 가격이 천차만별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일반인들은 어떤 그래픽 카드를 사용해야 하는것인가. 하는 고민을 많이 하게됩니다. 3D 게임을 많이 즐기는 사용자일수록 고성능의 하이엔드급이나 퍼포먼스급 그래픽 카드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가격대 성능비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사용자의 경우 메인스트림급을 많이 선택합니다. 그리고 인터넷과 동영상 그리고 가벼운 케쥬얼 게임등을 많이 즐기는 사용자는 굳이 고성능 그래픽 카드들 보다는 보급형인 벨류급 그래픽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굳이 이러한 등급으로 그래픽 카드들이 출시되는 이유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제품을 선택할수 있도록 만든것입니다. 또한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만들수 있다는 것입니다. 고성능 그래픽 카드일수록 소모하는 소비전력도 그만큼 올라가게 되고 파워서플라이등 여러가지로 PC의 구성품도 달라지게 됩니다. 그렇기에 보급형 PC의 경우는 고성능 그래픽 카드보다는 보급형 그래픽 카드를 장착하는게 PC의 안전성 면에서도 더 좋은 구성이 됩니다.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제품군을 보면 최근 ATI가 발빠르게 차세대로 옴겨가고 있는데 다소 늣은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3월중으로 엔비디아는 페르미(Fermi) 코어의 신 제품을 출시하려 하고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졸업/입학 시즌에는 충분한 물량이 풀리기는 힘든 상황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엔비디아의 그래픽 카드는 GT215 코어를 사용한 그래픽 카드로 렉스텍의 블랙라벨 브랜드에 속하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제품명은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으로 스트림 프로세서가 96개나 실장된 제품으로 더욱더 진보한 40nm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제품입니다. 더군다나 그래픽 버퍼 메모리는 삼성의 GDDR5 메모리를 사용하였고, DX10.1과 Shader Model 4.1을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이 사용기는 개인이 한정된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였기에 절대적인 평가 자료가 되지 못합니다. 그러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의 패키징과 외형

제품명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제조 공정 40나노
스트림 프로세서(Shader) 96 개
코어 클럭 (MHz) 575 Mhz
Shader 클럭 1400 Mhz
메모리 클럭 (MHz) 1800(3600) Mhz
메모리 양 GDDR5 512MB
메모리 인터페이스 128 bit
입/출력 포트 Dual Link DVI-I : 1 개
HDMI : 젠더로 지원
D-SUB : 1 개
인터페이스 PCI-Express 2.0 x16

▲ 렉스텍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의 스펙

렉스텍에서 출시된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는 GPU로 40nm로 제조된 엔비디아사의 GT215 GPU를 사용하여 스트림 프로세서가 96개이고 코어 클럭이 575 MHz로 작동됩니다. 그리고 버퍼 메모리는 128bit로 작동하는 GDDR5 메모리를 사용하여 3600 MHz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의 박스 패키징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의 박스 패키징 디자인은 렉스텍 블랙라벨 시리즈임을 알수 있는 블랙 색상의 박스 패키징 디자인으로 되어 있으며 블랙 색상으로 다소 무료할수 있는 디자인에 무광과 유광으로 빗살 무늬를 연출하고 있습니다.

 

▲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의 내용물

박스 내용물로는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 메뉴얼, 드라이버 CD, 그리고 Monkey3 무료 이용권이 동봉되어 있습니다.

 

▲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는 블랙 색상의 기판을 사용으로 좀더 무게감을 느낄수 있도록 제조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인 XFX HD 5670 D5 512MB 그래픽 카드의 길이는 17.6cm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케이스에서 충분히 사용할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보조전원이 따로 필요 없기에 보급형으로 판매되는 PC의 파워 서플라이로도 전원의 공급이 충분할 것이라고 판단이 됩니다.

 

▲ PCI-Express 2.0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는 초당 5GB 이상의 전송속도를 보여주는 PCI-Express 2.0을 지원하여 더욱더 빠른 그래픽 처리와 성능을 제공하므로 게임 환경에서 빠른 속도감으로 게임을 즐길수 있습니다. PCI-Express 2.0을 지원하지만 현재 대중적으로 많이 퍼져있는 PCI-Express X16도 호환이 됩니다.

 

▲ 출력 포트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는 기본적으로 Dual Link DVI-I 출력 포트 1개와 구형 모니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D-SUB 포트 한개, HDMI 포트 한개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이정도의 출력 포트면 보급형 그래픽 카드로는 충분한 구성이라 할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HDMI 포트까지 준비가 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TV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 GT215 코어와 GDDR5 메모리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GT215 코어는 낮은 전력을 사용하며, 발열도 낮은 40나노 제조 공정으로 만들어진 GPU이며, 스트림 프로세서는 96개가 실장되어 있습니다.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버퍼 메모리는 삼성의 K4G10325FE-HC05 GDDR5 메모리입니다.

 

▲ 전원부 제어 칩과 바이오스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는 2 Phase 전원부를 구성할수 있는 uPI사 uP6210AG 칩을 사용하고 있으며, 레귤레이터로는 동사의 uP6161GC 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의 롬 바이오스 칩으로는 PMC사의 1Mbit 용량의 Pm25LV010 Flash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슬림한 사이즈의 쿨러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쿨러는 상당히 슬림한 사이즈로 제조가 되어 있습니다. 고성능 그래픽 카드에 사용되는 쿨러들은 발열을 해결하기 위해서 2슬롯을 사용하는데에 비하면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쿨러는 역시나 보급형 그래픽 카드에 맞는 슬림한 사이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PWM 모드를 지원하기에 4핀의 컨넥터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방열판으로 코어를 보호하기 위한 탭도 부착이 되어 있습니다.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의 성능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의 성능 테스트는 인텔의 코어2듀오 E8400 프로세서와 MSI의 P35 메인보드, EK 메모리의 2GB 메모리 2개, 써모랩의 Baram CPU 쿨러, NCTOP의 1000W 파워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테스트 시스템의 스펙

CPU

Intel Core 2 Duo E8400

M/B

MSI P35 Neo-FR

RAM

EK DDR2 6400 2GB x 2 ( 총 4GB )

VGA

렉스텍 블렉라벨 GT240
700Mhz로 오버클럭된 엔비디아 지포스 9600GT

CPU Cooler

써모랩 바람 CPU 쿨러

파워 서플라이

NCTOP PowerPlus 1000W

ODD LiteOn SOHW-1673SX
HDD 삼성 320GB
<align="center" />

▲ GT215 코어 VS G94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GT215 코어는 40나노 공정으로 제조가 되어있는 GPU입니다. 9600GT의 G94 코어와 비교하여 메모리 버스 대역폭을 제외한다면 모두 GT215 코어가 더 좋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DX 9 (DirectX 9)에서의 성능

▲ 3DMark 06

FutureMark사의 3DMark는 Windows XP와 DirectX 9에서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가늠해 볼수 있는 대표적인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여기서 테스트 결과를 본다면 700MHz로 오버클럭된 지포스 9600GT가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아래쪽으로 나올 DX10 이상에서의 결과와는 또다른 결과입니다.

 

▲ FurMark V 1.6.5

OpenGL의 성능을 가늠해 볼수 있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FurMark로 지포스 9600GT와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를 비교하였을때 OpenGL에서는 확실히 40나노로 제조된 GT215 코어를 사용한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더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OpenGL API를 사용하는 게임에서 이전 세대의 지포스 시리즈보다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더 좋은 성능을 내줄것이라 예상할수 있습니다.

 

▲ Unigine : Tropics Demo V1.2

Unigine : Heaven BenchMark는 최초의 DX11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발표한 Unigine사의 DX9, 10, 10.1용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XP에서 설치하여 DirectX 9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결과를 보면 확실히 DX9의 환경에서는 이전 세대의 지포스 9600GT가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의 버퍼 메모리 인터페이스가 128비트이고 9600GT는 256비트이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 Devil May Cry 4

콘솔 게임을 즐기는 유저나 패키지 게임을 즐기는 유저라면 한번쯤 즐겨봤을 Devil May Cry는 캡콤사의 대표적인 액션 게임중 하나입니다. 출시된지 좀 된 게임인지라 최신의 그래픽 카드에서는 모두 만족할만한 프레임을 보여줄 정도의 게임이지만 성능 비교에도 많이 사용되는 게임중 하나입니다. DX9에서 테스트를 진행한 상태이기에 아무래도 이전 세대의 모델인 지포스 9600GT가 상당히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Tom Clancy's H.A.W.X

Tom Clancy's H.A.W.X 게임은 비행 시물레이션 게임으로 최신의 게임에 비하여 조금 지난 게임이기는 하지만 사실감 있는 화면을 보여주는 게임입니다. 이 Tom Clancy's H.A.W.X를 윈도우 XP에서 구동하였습니다. 테스트에 사용한 지포스 9600GT나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이나 모두 만족스러운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성능으로 본다면 역시나 Windows XP DirectX 9 환경에서는 지포스 9600GT가 약간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The LAST REMNANT

파이널판타지와 드래곤 퀘스트로 유명한 Square-Enix사의 게임 The Last Remnant는 Unreal Engine 3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게임입니다. 이 The Last Remnant를 즐기는데 지포스 9600GT나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이나 게임을 즐기는데 무리없는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역시나 위의 DX9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보다는 9600GT가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Street Fighter IV

Capcom에서 3D로 만든 대전 액션 게임인 Street Fighter IV의 벤치마크로 V-Sync를 OFF로 설정하고 Anti-Aliasing을 None에서 8X 까지 바꿔가면서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비록 보급형으로 출시된 그래픽 카드이지만 성능을 본다면 Street Fighter IV를 즐기는데 충분한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DX10(DirectX 10) 버전 이상에서의 성능

▲ 3DMark Vantage

윈도우 비스타와 윈도우 7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Direct X10의 성능을 알아볼 수 있는 FutureMark사의 최신 그래픽 카드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3DMark Vantage로 그래픽 카드들의 성능을 측정하였을때 위의 윈도우 XP에서 성능과는 다소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흡하기는 하지만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700MHz로 오버클럭된 지포스 9600GT를 뛰어넘는 성능으로 측정되고 있습니다.

 

▲ Unigine : Heaven BenchMark

현재 유일하게 DirectX 11의 성능을 알아볼수 있는 Unigine : Heaven BenchMark는 아무래도 ATI 라데온 HD5000 시리즈에 최적화된 느낌이 듭니다. 결과를 본다면 윈도우 XP에서 테스트한 결과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아무래도 Unigine : Heaven이 이전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Unigine : Tropics Demo V1.2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에 이런 결과가 나온것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Windows 7 64bit  체험지수

현재 윈도우 XP와 윈도우 비스타를 빠르게 대처하고 있는 윈도우 7은 화려한 인터페이스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이 윈도우 7에도 이전 운영체제인 윈도우 비스타와 마찬가지로 시스템의 체험 지수를 측정할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윈도우 7에서 어느정도 성능을 보여주는지 알수 있는 그래픽 항목에서 5.9, 게임 그래픽 항목에서 5.9를 보여주어 윈도우 7을 사용하는데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는 충분한 성능을 보장해 준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 Resident Evil 5

국내에서는 바이오 헤저드로 유명한 게임인 Resident Evil 5로 프레임을 측정해보니 만족할만한 수준의 프레임은 나오지 않았지만 게임을 즐기기에는 큰 무리가 없는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Resident Evil 5 테스트 결과를 보면 윈도우 7의 DX10 환경에서는 지포스 9600GT 보다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약간이지만 더 좋은 퍼포먼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Colin McRae Dirt 2

Codemaster사의 대표적인 오프로드 레이싱 게임인 Colin McRae Dirt 2는 출시 이전부터 DirectX 11을 지원하는 게임으로 ATI의 오프 행사에 많이 등장한 레이싱 게임입니다. Colin McRae Dirt 2를 설치하고 다른 옵션은 전혀 수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포스 9600GT와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로 구동시켜 보니 만족스러운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지는 않습니다만 그래도 Dirt 2를 즐길수 있는 수준은 보여줍니다. 결과를 보면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지포스 9600GT 보다 약 3 프레임 정도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게임에서의 PhysX 물리엔진

▲ Nurien BenchMark

누리엔 벤치마크는 엔비디아의 PhysX를 지원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누리엔 벤치마크는 DirectX 9의 윈도우 XP에서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구동하였습니다. 여기서 본다면 전체적인 평균 프레임으로 보았을때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스트림 프로세서의 수가 더 많이 가지고 있기에 지포스 9600GT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Dark Void

최근 출시된 Dark Void의 경우 윈도우 7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Dark Void BenchMark에서 PhysX 설정이 Low만 설정이 가능하더군요. 그래서 PhysX를 껐을 경우와 Low로 설정하였을때 성능을 측정하였습니다. 위 테스트 결과를 본다면 DirectX 10 이상의 환경에서는 지포스 9600GT 보다는 확실히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더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범용 프로세서로써의 GPU 성능

▲ CUDA-Z로 측정한 성능

위 테스트는 CUDA-Z 0.4.74로 엔비디아사의 CUDA 프로세서 성능을 측정한 결과입니다. 위 결과를 보면 GPU 퍼포먼스와 메모리 부분으로 나누어 차트를 만들었는데, GPU 성능을 알수 있는 GPU 퍼포먼스를 보면 스트림 프로세서가 많은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지포스 9600GT 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만 아래쪽의 Memory Copy 성능을 보면 Device To Device에서 지포스 9600GT가 더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메모리 부분에서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보다도 지포스 9600GT가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것은 아무래도 메모리 인터페이스 차이로 인한 성능 차이가 아닌가 싶습니다.

 

▲ DirecrCompute와 OpenCL의 성능

NGOHQ.COM에서 출시한 DirectCompute & OpenCL 벤치마크 프로그램은 DirectX 11 부터 지원하는 DirectCompute와 OpenCL의 성능을 측정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이 테스트는 그래픽 카드의 범용 프로세서로 사용할때 전체적인 성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점수로 환산하여 보여줍니다. 위 스코어를 보면 스코어가 높을수록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것으로 역시나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지포스 9600GT 보다 스트림 프로세서의 수가 더 많지만 메모리 인터페이스 부분에서 차이가 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풀 HD(1080P) 동영상 재생시 CPU 점유율

▲ 동영상 재생시 낮은 CPU 점유율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는 Nvidia PureVideo를 지원하기에 풀 HD 동영상인 1920 X 1080 해상도의 동영상을 재생할때도 CPU 점유율을 효과적으로 낮춰줍니다. 이는 듀얼 모니터 사용자의 경우 PC에서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됩니다. 예를 들자면 한쪽 모니터로 동영상을 보면서 다른쪽 모니터로는 업무용 프로그램으로 업무를 볼수 있게 됩니다.

 

▲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의 온도

GPU-Z에서 측정한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의 온도는 아이들시 약 39도 정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FurMark에서 Xtreme Burning Mode로 약 30분 정도 구동시키자 78도 정도의 온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역시나 GT215 코어가 40나노로 제조되어 발열도 낮아졌지만 쿨러도 꽤나 괜찮은 성능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현재 그래픽 카드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소비자 층이 고성능 게이밍 PC 사용자 보다는 보급형 PC나 메인스트림급 PC인 점을 감안한다면 그래픽 카드를 선택하는 부분에서 10만원대 이하의 그래픽 카드를 선호하게 됩니다. 이런 10만원대 이하의 그래픽 카드중에서는 게임에서 고성능의 프레임을 확보할수 있는 그래픽 카드가 거의 전무한 상황입니다.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는 엔비디아사의 GT240 GPU를 사용한 그래픽 카드로 9만 9천원의 가격으로 출시가 된 그래픽 카드입니다.

성능으로 본다면 DX9 환경에서 이전 세대의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인 지포스 9600GT보다 다소 성능이 떨어지지만 DX10 환경으로 넘어간다면 지포스 9600GT와 비슷한 성능이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는 거의 모든 게임이 DX9 API를 사용하는 게임이 더 많이 있지만 앞으로 윈도우 7의 보급이 현재보다 더 많아질수록 게임 개발사들은 DX10 이상을 지원하는 게임을 더욱더 많이 만들게 될 것이며 이는 어쩔수 없는 흐름입니다. 그런면에서 생각해본다면 이전세대의 지포스 9600GT 그래픽 카드보다는 소모 전력도 훨씬 낮으며 발열도 더 낮은 렉스텍 블렉라벨 ST. D5 GT240 그래픽 카드가 더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쩨바의 PC 하드웨어 : http://rssoo.tistory.com

접기 덧글 4 접기
SNS 로그인

이전글 다음글 목록

맨위로

이전이전 414 415 416 417 418 다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