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인워드(GAINWARD)는 전세계 25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그래픽카드 하이엔드 제품부터 엔트리 제품까지 라인업을 갖추고 있는 그래픽카드 전문기업으로 국내에서는 몇년전 지포스 FX5x00 로 국내에서 많은 인기와 명성이 있던 기업으로 유명합니다. 최근 몇년동안 국내에서는 신제품을 만나볼수 없었지만 게인워드(GAINWARD)의 신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었는데 세계적으로 유명한 게인워드(GAINWARD)의 그래픽카드가 다시 한국에서도 유통이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디지탈파이오스(www.digitalpious.com) 가 게인워드(www.gainward.com)의 그래픽카드 한국 공식 대리점권을 계약하고 올 7월 중순부터 GTS 250 그린 제품을 출시로 신제품을 출시해왔습니다. 출시된 게인워드 제품은 8400GS 부터 GTX275까지 풀 라인업 입니다. 게인워드(GAINWARD)의 예전 인기와 명성을 알고 있는 분들이라면 제조사 오버클럭과 안정성에 파워풀한 성능들을 기억 하실겁니다. 옛 명성을 디지털파이오스가 잘 이어갈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물론 제품이 좋아야 그 명성을 이어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제 나이가 좀 들어서 PC하드 웨어에 더이상 돈을 들이지 않고 있었는데 이번에 아주 좋은 기회가 있어서 게인워드의 GTX260 896MB GS HDMI 를 사용해볼 기회를 얻게 되어 정말 기쁜 마음으로 사용을 해봤습니다. 3년전쯤에 구입한 조립PC로 요즘 최신 PC들에 비하면 거의 똥컴수준이라 최신형의 벽돌 그래픽카드를 장착하는것도 약간 버거웠네요. 사용중인 보드와 케이스, 파워가 고급형 비디오카드에 적합한 것들이 아니라서 나름 엄청난 노력을 해줬습니다. 기본사양이 좋았으면 Digital Pious Gainward GTX260 896MB GS HDMI 의 성능을 맘껏 발휘하여 최고의 품질을 맛볼수 있었을터인데 정말 마음이 아플뿐입니다.
파워가 부족해서 뻗어 버리지 않을까 걱정걱정하면서 장착을 했는데 역시 게인워드(Gainward) 제품은 안정성하나는 여전히 좋더군요. 게인워드 Gainward GTX260을 파워 400W로 어거지로 장착했으나 무사히 사용중이네요. 얼른 파워 업글을 해주고 최고의 성능을 맛봐야 겠습니다. @_@;;
역시나 Gainward GTX260 그래픽카드가 좋다보니 사용중이던 8600GT 교체만으로도 엄청난 효과가 있었습니다. 고사양의 게임이나 사양이 안좋은 컴퓨터도 그래픽 카드 하나만 바꿔줘도 엄청난 효과를 볼수 있다는것이 그저 놀라울뿐입니다.
PC하드웨어어 관심을 끊은지도 오래되었고 사용중인 PC도 워낙 구형이라 제대로 된 테스트 환경이 아니니 맘넓게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간편하게 보시라고 윈도우7 체험지수를 체크해서 올리려 했더니 계속해서 알수 없는 에러가 발생하여 체험지수를 올리지 못했는데 빠른시일 내로 해결해서 간단하게 살펴보기 쉽게 올려두겠습니다. RC버전이라 좀 멍청한건지 윈도우7 파티때 득템한 얼티밋 버전을 설치해줘야 할때인가 봅니다.
제품스펙
제조회사 | GAINWARD | 등록년월 | 2009년 07월 |
칩셋 제조사 | NVIDIA | 칩셋 그룹 | 지포스 GTX2xx |
NVIDIA 칩셋 | 지포스 GTX260 | GPU 제조 공정 | 55 nm |
스트림 프로세서 | 216 개 | 코어 클럭 | 625 MHz |
메모리 종류 | GDDR3(DDR3) | 메모리 클럭 | 1100(2200) MHz |
메모리 용량 | 896MB | 메모리 버스 | 448-bit |
인터페이스 | PCI-Express 2.0 x16 | 카드 크기 | 일반 |
코어 냉각방식 | 방열판+쿨러 | SLI | 3/2 Way |
길이 | 268 mm | 두께 | 39 mm |
전원 포트 | 6핀 x 2 개 | ||
유통회사 | 디지탈파이오스 |
멀티 VGA | ○ | TV-OUT | ○ |
Dual-Link | ○ |
S-VIDEO | ○ | 컴포넌트 | ○ |
컴포지트AV | DisplayPort | ||
D-SUB | ○ | DVI | |
HDMI | HDMI일체 |
Gainward GTX260의 GPU는 55나노,코어 클럭625 MHz, Shader 클럭1348 MHz, 메모리 클럭2200 MHz, 메모리 GDDR3 896MB 448bits로 입질 오시나요~
Gainward GTX260 그래픽카드 포장박스 입니다. 지원기술 등의 간략한 표기와 스펙등이 적혀있고 박스전면에 자세히 보니 워런티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공식 판매처 파이오스 마크와 함께 3년(무상 2년/유상 1년) 품질보증 스티커.
박스를 열게되면 흰색의 스폰지로 덮혀있으며 내용물은 같은 재질의 스폰지로 보관, 이동중 제품에 손상이 가지않게 단단하게 고정이 되어 있습니다. 구 성품으로는 게인워드(GainWard) GTX260 그래픽카드와 설명서, 드라이버 CD, HDMI 젠더,6핀 보조전원 젠더, SPDIF 케이블이 각 1EA 들어있습니다. GainWard GTX260 그래픽 카드가 이동중 파손되지 않도록푹신푹신한 스폰지 느낌의 구조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꽤나 튼튼하게 되어있어 택배사에서 박스를 던지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것 같은느낌입니다.
GainWard GTX260에 사용된 GPU는 GT200 코어로 이 코어는 65 나노 공정의 제품과 55 나노 공정의 제품 2가지가 있는데 65 나노 공정의 제품은 스트림 프로세서가 192개이고 55나노 공정의 제품은 216개의 스트림 프로세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코어에 표기된 G200-103-B3를 보더라도 55 나노 공정의 제품 이라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 GT200 코어는 엔비디아의 VP2와 BSP 엔진을 이용하여 1080p 풀HD를 지원하는 H.264 / MPEG-2 풀HD 영상의 가속 기능, DirectX10 / Shader Model 4.0을 지원, GPU를 범용으로 사용하기위한 CUDA, GPU로 물리엔진을 가속하는 PhysX, 3-Way SLI 기술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GT200 코어는 600MHz로 24MHz나 오버클럭이 되어 있으며, 메모리도 2200MHz로 200MHz가 오버클럭 되어 있습니다. 중요한 Shader 클럭은 1242MHz로 레퍼런스 클럭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GDDR3 메모리는 Halogen Free로 RoHS를 준수하며, 소모전력 2v에 최대 1.2GHz까지 지원되는 삼성의 K4J52324QH-HJ08 GDDR3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스 칩으로는 ATMEL916 칩을 사용하고 있으며 HDCP 키롬으로는 Atmel사의 AT24C16B 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원부 제어칩으로는 Richtek사의 RT8841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RT8841 PWM 칩은 인텔의 VRD 11/VRD 10.X 기준을 준수하며 4 Phase의 전원부를 구성할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RT8841 PWM 칩은 DCR 센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GainWard GTX260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2개의 쿨링팬을 제어하기 위해서 ANALOG DEVICES사의 ADT7473 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ADT7473 콘트롤 칩은 온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칩입니다. 삼성 GDDR3 비디오 메모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칩으로는 Richtek사의 RT9259A 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미 많이 알려진 사항이지만 엔비디아사의 GT200 코어는 TDP가 182W를 소비하는 GPU입니다. 그래서 6핀 보조전원 컨넥터가 2개나 연결이 되어야만 합니다.
GT200 코어,삼성 GDDR3 메모리,제어칩,전원부는 제가 직접 뜯어서 확인해보지도 못하였고 어설픈 지식보다는 확실한 내용을 보시는게 좋을듯하여 파코즈의 글에서 발췌했습니다.
GTX260은 GTX200 시리즈 중 하위모델이지만 고성능의 하이엔드에 속한 제품이므로 최대 182W의 전력을 소모하기때문에 그래픽카드의 보조전원 커넥터가 6핀 두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자체 전원 공급을 위한 6핀 x2 보조 전원 커텍터가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의 구매시 상당히 신경을 써줘야 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게인워드 GTX260 기본 구성품으로 6핀 전환젠더가 1개 제공되므로 성능이 좋은 구형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하려면 젠더 하나를 추가로 구매를 하시던가 여분의 6핀 파워젠더가 있는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파워가 400W에 12V 25A 제공하여 간신히 돌려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GainWard GTX260 그래픽 카드는 3 Way SLI 를 지원하는 컨넥터가 있어 메인보드에서 지원만 한다면 동시에 3개의 GTX260을 사용하여 고성능의 그래픽 시스템을 구축할수가 있습니다.
PCI-Express 2.0 초당 5GB 이상의 전송속도의 PCI-Express 2.0 (5GT/s)을 지원하며 최고속도는 16레인 일때 최고 16GB/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며 PCI-Express X16(하위 PCI-e 1.0/1.1 모두지원) 도 호환되므로 별도의 메인보드 교체 없이도 고성능의 게임환경과 그래픽 시스템을 만들어줍니다.
GainWard GTX260 그래픽 카드는 듀얼 링크 DVI-I 출력 포트 1개와 D-SUB 포트 1개, HDMI 포트 1개가 제공되어 별도의 젠더없이 거의 모든 모니터에 사용을 할수가 있습니다. 구형 모니터의 경우에도 문제 없이 사용할수 있는 D-SUB 포트를 지원하고 HDMI 포트도 준비되어 있어 디지털TV에 연결하여 사용할수도 있으며 구성품으로 들어있는 젠더를 이용해 DVI 포트를 2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SPDIF 입력 포트도 제공되어 구성품으로 들어있는 케이블을 사용하면 HDMI 포트를 통하여 디지털 사운드 출력도 가능합니다.
GainWard GTX260 그래픽카드는 GPU와 메모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해 고성능 Dual 쿨링팬과 함께 그래픽 카드 전체를 덮는 대형히트싱크로 되어있습니다. 그래픽카드와 쿨러의 부피가 2개의 슬롯을 차지 하는 두께입니다. 대형히트싱크는 히트파이프와 알루미늄 방열판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래픽카드의 열을 충분히 제거해줍니다.
GPU고정나사나 그래픽카드 뒷부분에 워런티 봉인 스티커가 붙어 있어야 정상일터인데 제 그래픽카드는 해당사항이 없는가 봅니다. 정품에는 분명히 워런티관련 스티커가 붙어 있을겁니다.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테스트해보는 대표적인 벤치마크 유틸인 FutureMark 사의 3DMark로 간단하게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살펴봤습니다. 워낙 PC 하드웨어 사양이 좋지 않아서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으니 기존에 제가 사용하던 8600GT와의 성능 차이정도만 참고적으로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3DMark Score 그래픽카드의 전체적인 점수이고 SM2.0은 Shader Model 2.0의 성능, HDR/SM3.0은 HDR 옵션과 Shader Model 3.0의 성능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비교테스트 할만한 동급의 비디오카드가 없는지라 기존에 사용하던 8600GT로 한번 3DMARK 한번 돌려줘봤습니다.
단지 그래픽카드 하나만 GainWard GTX260 바꿔줬을 뿐인데 엄청난 차이가 있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재미 있는것은 ani-aliasing 2x 보다 4x의 점수가 더 높게 나오고 있다는 점인데 아래쪽에 다시 설명을 드릴것이지만 콜 오브 듀티 : 모던 워페어 2 는 ani-aliasing 4x 까지 지원이 되는것으로 알고 있어서 개인 적으로 아주 만족스럽네요. 요즘 모던 워페어2 를 가끔씩 즐기고 있는데 ani-aliasing 4x 가 이렇게 좋은 점수가 나와주니 어찌 기쁘지 않을수 이겠습니까. @_@ ;;
OpenGL 벤치마크 프로그램 FurMark로 GainWard GTX260과 8600GT 그래픽 카드를 테스트 해보니 이건 뭐 비교자체가 안되는 그래픽카드입니다. 볼것도 없이 엄청난 성능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8600GT도 쓸만하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큰 차이를 보여주네요.
나름 구형 PC인 관계로 전원과 온도를 신경 안쓸수가 없었는데 그마나 다행으로 잘 돌아가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구형 PC인 관계로 고성능 Gainward GTX260 그래픽카드의 진정한 성능은 맛도 못봤습니다.
제대도 된 파워서플라이로 업그레이드 하기 전까지는 살살 다뤄야겠지요~ ㅎㅎ
게인워드(GAINWARD) GTX260 로 요즘 한창 인기를 끌고 있는 콜 오브 듀티 : 모던 워페어 2 의 ani-aliasing 4x로 실행시켜 주었더니 8600GT 그래픽 카드하고도 엄청난 차이를 보여주는 모습입니다. 위에서 3DMark 스코어에서 ani-aliasing 4x가 약간 의외의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2x 때보다 훨씬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는데 모던 워페어 2가 ani-aliasing 4x까지 되는것으로 알고 있으니 모던 워페어 2 유저인 저에게는 아주 좋은 결과이며 성능입니다.
ani-aliasing 안티 앨리어싱은 안티비방이라고 흔히 말하는 기능으로 캡쳐 이미지의 어둡고 밝은 차이말고 이미지속의 사물들을 자세히 보시면 우측 8600GT 이미지속의 사물 경계에 각이 지는 계단 현상이 있는것이 보이실겁니다 이 앨리어싱 현상을 처리하는 기술이 안티 앨리어싱, 즉 안티비방이 되는것입니다. 사물과 케릭터등을 부드럽게 보이게 해주는것이죠. 실제 8600GT으로 게임할때와 게인워드(GAINWARD) GTX260 으로 안티비방 4x 로 게임할때는 완존 차원이 다릅니다. 케릭터와 사물 전투등의 그래픽이 보다 현실적으로 느껴져서 모니터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느낌이랄까.. 심장이 두근두근 뛰게 만들어 주게되지요.
단지 그래픽카드 하나만 게인워드 GainWard GTX260 바꿔줬을 뿐인데 게이밍상 엄청난 그래픽의 차이가 느껴집니다. 위에 단순한 캡쳐 이미지 몇장 만으로도 충분히 입질이 오시지 않습니까..
게인워드(GAINWARD) GTX260는 혁신적인 2세대 NVIDIA 통합 아키텍처와 CUDA 기술을 적용하여 게이밍 환경과 그래픽 시스템 환경에 최적의 성능을 보여주며 GPU로 가속화 된 PhysX 게이밍 효과, 입체적인 3D, iPOD, PSP나 Zune으로 디지털 영화의 비디오 트랜스 코딩을 CPU 대비 무려 최대 10배속가속화 할수 있으며 피직스(PhysX) 게임 효과로 게임 성능의 향상뿐 아니라 기존에 비해 20배 까지 향상된 속도와 품질로 영상을 인코딩 혹은 트랜스코딩해주며 비디오 및 사진 편집에 이르기까지 우수한 관경의 GPU 컴퓨팅 성능을 제공해줍니다.
게인워드(GAINWARD) GTX260 그래픽 카드는 최신PC 하드웨어와 구성을 하면 최상의 그래픽환경을 제공해주지만 구형 PC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PCI-Express 2.0뿐만 아니라 PCI-Express X16(하위 PCI-e 1.0/1.1 모두지원) 도 호환되고 보조전원 6핀 젠더제공, 출력 포트도 HDMI, SUB, DVI 3가지를 제공하여 거의 모든 모니터에 사용이가능하니 사용중인 PC의 추가적인 업그레이드 없이도 최신게임을 보다 좋은 게이밍환경으로 즐길수 있습니다.
위에서 보셨다시피 단지 그래픽카드 하나만 GainWard GTX260 바꿔줬을 뿐인데 엄청난 차이가 있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GainWard GTX260 그래픽카드는 현재 다나와에서 20만원대 중반의 가격에 판매가 되는 제품이고 제가 사용중인 유니텍 8600GT 는 아마도 단종상품으로 가격의 비교가 되지 않지만 구입당시 10만원대 중반의 가격이였던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두개의 그래픽카드로는 비교가 절대 안된다는건 다들 잘 아실테지만 고급형 그래픽카드와 보급형 그래픽카드의 가격적인 메리트로만 보자면 충분히 매력이 있는 제품으로 GainWard GTX260은 예전 명성에 걸맞는 고성능에 안정성까지 겸비한 게인워드의 그래픽카드임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최근 몇년간 국내에 유통이 안되어 PC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지 얼마 안된 젊은 분들에게는 생소한 기업의 제품이라는 것이 약점이긴 하지만 국내유통사인 디지털파이오스는 AS가 좋기로 정평이 자자 하고 예전FX5x00 의 명성을 기억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터이니 GainWard 그래픽 카드를 사용해본 유저들의 평가와 반응여부만 좋다면 옛 명성을 금방 되찾지 않을까 싶습니다.
원문 : loved.pe.kr/993
아래 손가락 추천좀 팍팍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