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레이어닫기

캐논 복합기 MP486 리뷰

얼리아답타 | 12-24 10:28 | 조회수 : 1,695 | 추천 : 0

 

일반적으로 ‘보급형’ 이라는 명칭은 동일 브랜드, 또는 동일 라인업의 하위 제품군에 붙는 수식어이다. 이름 그대로 저렴한 가격으로 보다 폭 넓은 보급을 목표로 한다는 뜻으로 쓰이는 명칭인데, 이 때문에 보급형 라인업의 경우 상위 제품군에 비해 그 성능이나 기능면에서 열세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모델 체인지 주기가 빠른 IT 제품들에서는 신제품 출시로 인해 이전 세대의 메인스트림급 모델이 시간이 지나며 보급형 라인업으로 내려오거나, 또는 기술의 발전에 의해 기존 상위제품에 버금가거나, 그를 능가하는 성능을 가진 보급형 제품이 출시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번에 소개할 캐논의 MP486 마찬가지이다

약 10만원 초반대의 가격대에 출시되는 캐논의 MP486은 잉크젯 기반의 디지털 복합기 제품인데 지금껏 10만원대의 복합기 제품은 많았었고, 또한 보급형으로 그 이하의 가격을 가지는 제품 역시 있어왔기에 가격자체만을 놓고 본다면 크게 저렴하다던지 가격적인 이점이 있다고는 볼 수 어렵겠지만, 동가격대의 기존 제품군들과는 달리 플래시 메모리 리더를 갖추고 컬러 LCD 인디케이터를 지원하는 등 보다 멀티미디어 작업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금껏 이와 비슷한 수준의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들은 10만원대 후반, 또는 20만원대 초반의 가격을 가지는 중고급형 제품들이 대부분이었기에 저렴한 가격에 과거 고급기들에서 지원하던 기능을 갖춘 MP486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청출어람’ 이라고 부르기에 부족함이 없는 제품이다.
 

제품명

CANON PIXMA MP486

프린트 기능

최대 해상도

4,800 x 1,200dpi

출력속도

흑백 : 20ppm
컬러 : 16ppm
A6사이즈 포토 출력 : 45초

헤드 노즐 수

1.472노즐(Y/M/Cx 384x3 노즐, BKx 320노즐)

잉크 카트리지

표준 잉크 카트리지 흑백 : PG-810(안료)
컬러 : CL-811(염료)
대용량 잉크 카트리지 흑백 : PG-810XL(안료)
컬러 : CL-811XL(염료)
복사 기능 복사 속도 흑백 : 20cpm
컬러 : 16cpm
복사배율 25%~400%
연속복사 99매
스캔 기능 스캐너 타입 Flatbed
광학 해상도 2,400 x 4,800dpi
최대 해상도 19,200 x 19,200dpi
센서 CIS 방식
그라데이션 흑백 : 16bit/8bit
컬러 : 48bit/24bit (RGB 각색 16bit/8bit)
기타 기능 인쇄 방식 버블젯 방식
용지 공급 자동 급지(100매 가능)
용지 크기 A4, A5, B5, Latter, Legal, 5" x 7", 4" x 6"
출력 영역 일반출력 : 상단 3mm, 하단 5mm, 좌우 3.4mm
여백없는 출력 : 상하좌우 0mm
인터페이스 PC : USB2.0 Hi-Speed, Bluetooth v2.0(옵션)
호환OS Windows Vista/XP/2000
Mac OS.X v10.3.9이후 버전
소음 고품질 모드 : 46dB(A)
전원공급 220V, 60Hz
크기 411 x 331 x 154mm (W x D x H)
인터넷 최저가 10만 8천 7백원 (2008. 12. 12 기준)
문의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 (1588-2500)
www.canon-bs.co.kr

 

캐논 Pixma MP486(이하 MP486)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둥글둥글한 박스 타입의 외형으로 이루어진 MP486의 경우 기본적인 외형은 기존의 캐논 복합기와는 다소 다른 모습인데, 언뜻 보기에는 캐논의 제품보다는 오히려 HP의 제품들과도 유사하다는 느낌을 주지만, 각 부분 부분의 디자인을 살펴보면, 세부적인 디테일은 기존 캐논의 잉크젯 프린터/복합기 제품의 설계 사상을 충실히 물려받았음을 알 수 있다.
 

▲ MP486의 기본적인 외형은 마치 HP의 박스형 디자인을 연상시킨다.


최근 많은 제품이 그러하듯이 MP486 역시 각 트레이들, 그리고 제어 패널들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또 커버를 모두 닫은 상태에서는 박스 형태로 돌아가 미 사용시 깔끔한 외관을 보이는 동시에 먼지 유입등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면에는 용지 배출 트레이를 겸하는 전면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MP486은 통상적인 후면 급지, 전면 배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캐논의 보급형 제품인 만큼 고급형 제품들에서 지원하는 프린터 하단의 급지 트레이는 제공하지 않는다.
 



▲ 전면 도어의 경우 인쇄를 시작하면 자동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MP486의 경우 인쇄 시작시 전면 도어가 닫혀 있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데, 캐논의 이전 제품군들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도어 자동 개방 기능은 전면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인쇄를 할 경우 내부에서 용지가 구겨져 용지걸림(Jam) 현상을 일으키거나, 심할 경우 용지 이송부위나 헤드의 파손까지 유발할 수 있기에 이러한 고장 요인을 사전에 제거한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전면 우측 측면에는 도어식의 커버가 있다.
이는 프린터 자체적으로 사진인쇄를 지원하기 위해 채택된 메모리 리더로, 이전에는 중고급형 이상 제품들에만 주로 장착되어 있었기에, 가정용으로의 사용을 목적으로 설계된 멀티미디어 복합기인 MP486의 컨셉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 MP486은 사진 인쇄를 위한 플래시 메모리 리더를 지원한다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MP486은 여러 종류의 메모리를 지원하는데, MP486 자체에서 지원하는 메모리의 종류는 SD, MMC, CF와 메모리스틱 등이며 어댑터 등을 사용해 xD 카드 역시 읽을수 있기에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거의 모든 디지털 카메라의 메모리를 문제 없이 읽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리더 아래에는 프린터 인터페이스와는 별도로 A-type USB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일반적으로 프린터에서 제공하는 USB 단자는 캐논의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 간 연결 인터페이스인 픽트브리지(PictBridge) 지원 단자로, 이를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카메라와 프린터를 USB로 직접 연결해 인쇄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지만, MP486은 이 외에도 USB방식의 플래시 메모리를 연결해 스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 하단 USB포트를 사용할 경우 픽트브리지 기능 뿐 아니라 USB플래시로 스캐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옵션으로 판매되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 단자에 연결할 경우 최근 들어 휴대폰 등에서 지원하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해 무선으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해 인쇄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다음 사진은 MP486 복합기 상단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다. MP486은 상부 디자인 역시 미 사용시는 돌출된 부분을 최대한 집어넣어 전체적인 디자인을 통일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복합기 상단 사진


상판을 들면 스캐너의 용지 급지대가 드러난다. 대부분의 가정용 복합기 제품들이 그러하듯 MP486 역시 A4 사이즈까지 지원 가능한 플랫베드 스캐너를 사용하고 있다.

 

▲ Z-lid 힌지 구조를 가지고 있어 두꺼운 물체도 스캔할 수 있다.


또한 플랫베드 스캐너의 경우 일반 용지 뿐 아니라 책등 부피가 나가는 문서를 스캔하는 경우도 있어 상판을 떼어내거나 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MP486의 경우 Z-lid 라 불리는 힌지 구조를 채택해 두꺼운 물체를 스캔할 경우 상판을 들어올릴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한다.
 

▲ 후면 상단에는 급지 트레이가 있다.


복합기 상단 후면에는 급지 트레이가 위치하고 있다. 이 역시 기존의 캐논 프린터와 복합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구조인데, 사진에서처럼 MP486는 기존에 것에 비해 다소 개량된 접이식 급지 트레이 구조를 채택해 트레이 커버가 단순히 먼지 유입을 막는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트레이의 일부로 기능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컨트롤 부의 모습


상단 우측면에는 컨트롤 패널부가 자리잡고 있는데, 컨트롤 패널 역시 미 사용시에는 접혀 있으며 아래 사진처럼 커버를 들어올려 사용하는 구조이다.


제어 패널을 보면 여러 버튼과 2인치 LCD를 볼 수 있는데, 이 LCD는 컬러 이미지 표시를 지원하기에, 일부 프린터들에서 지원하는 것처럼 단순히 프린터 내부 정보를 텍스트로 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지원 가능한 것은 물론 메모리 리더를 통해 읽어들인 사진을 확인하고 편집해 인쇄할 수 있는, 즉 컴퓨터 없이 단독적으로(standalone) 복사기 및 포토프린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프린터 후면은 다음과 같다. 양 측면에 각각 전원 커넥터와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위치하고 있는데, MP486은 USB 단일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 프린터 후면 사진

 

 

이번 챕터에서는 MP486의 종합적인 성능에 대해 테스트했다. 이 제품 뿐 아니라 캐논의 PIXMA MP 시리즈 복합기의 경우, MX 시리즈 복합기가 업무용으로서의 사용까지 염두에 두고 설계된 것과는 달리, 가정용, 그리고 멀티미디어 복합기로서의 역할을 주로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테스트 역시 일반적인 인쇄 속도, 그리고 사진과 이미지 인쇄 속도와 품질 등을 비교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인쇄 성능 테스트

 텍스트 인쇄 속도

 

먼저 일반적인 텍스트 문서 인쇄시 프린터의 인쇄 모드에 따라 그 인쇄 속도가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지를 테스트를 통해 비교했다. 인쇄 속도 테스트는 Microsoft Word 포맷으로 작성된 테스트 문서의 인쇄를 통해 이루어졌다.
테스트 문서는 흑백 위주의 텍스트에 일부 컬러 텍스트가 섞여 있는 수준으로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수준의 문서에 근사하게 제작되었으며,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 초기 기동시에는 PC에서 프린터로 데이터를 이동하는 스풀(spool) 작업, 그리고 프린터가 이를 해석하고 인쇄를 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지연이 존재하기에, 첫 장 인쇄 시간은 따로 분리해 측정한 후 10장 모두 인쇄가 완료되는 시간을 측정해 평균 1장 인쇄시 소요되는 시간 및 이를 통한 인쇄속도(ppm) 를 측정했다.

MP486의 경우 일반적인 캐논의 다른 잉크젯 프린터 제품군과 마찬가지로 고속, 표준, 고품질의 3가지 인쇄모드를 기본적으로 지원하며, 또한 별도의 사용자 정의 인쇄 모드를 지원한다.
이 사용자 정의 인쇄 모드에서는 5단계로 세분화 된 품질 설정값과 3단계의 하프토닝 알고리즘을제공해 보다 이를 조정할 경우 보다 빠른 인쇄속도를 얻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사용의 경우 대부분 기본 프리셋을 사용하기에 이번 테스트에서는 사용자 정의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3가지 프리셋만을 사용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 인쇄속도를 테스트한 결과값이다.

 

고속 모드로 인쇄시 MP486은 약 9초 가량의 빠른 첫 장 인쇄속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준 인쇄 모드에서도 12초 수준을 유지하는데, 이는 인쇄 구조가 간단한 잉크젯 프린터들이 레이저 프린터와 비교할 때 가지는 공통적인 강점이기도 하다. 또한 MP486과 같이 일체형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보다 더 간단한 구조를 가지기에 초기 기동속도만을 놓고 본다면 고가의 분리형 카트리지를 채택한 잉크젯 프린터 제품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다. 또, 이를 통해 인쇄 속도를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 고속 모드에선 10ppm, 표준 모드에서는 7ppm의 속도르 보였다.

 

MP486의 경우 고속 모드에서는 10ppm 수준의 인쇄속도를, 그리고 표준 모드에서도 7ppm에 근접하는 인쇄 속도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표준 모드를 주로 이용하는 것을 생각해 볼 때 MP486 의 인쇄 속도는 무난한 수준이라 볼 수 있다.


다만 캐논의 경우 이전부터 스펙상의 최고 속도는 기본 프로파일이 아닌 사용자 정의를 통해 옵션을 조정했을 때의 속도로 지원하기에 테스트 결과가 표시 스펙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것이 아쉬운 점이다.

 

 

인쇄 성능 테스트

 이미지 인쇄 속도


그라데이션과 혼합색이 많은 이미지 인쇄는 잉크젯 프린터가 레이저 프린터에 비해 일반적으로 비교 우위를 보이는데, MP486의 경우 가정용 다기능 복합기를 표방하는 만큼 이러한 이미지 인쇄는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테스트 이미지는 아래의 PDI 테스트 이미지를 사용했다.
 

▲ 테스트 이미지는 다양한 색상과 디테일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테스트 방법은 앞서의 텍스트 인쇄와 유사하게 초기 스풀링 시간을 감안해 3장 인쇄 후 첫장 인쇄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2장 인쇄시 소요시간을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사용해 1페이지당 인쇄 시간과 인쇄 속도를 각각 계산했으며, MP486의 경우 이미지 인쇄시에도 텍스트 인쇄와 마찬가지로 3단계 인쇄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 있기에 이번 테스트 역시 각각 모드마다의 인쇄 시간과 속도를 따로 측정했다.

또한 근래 들어서 인쇄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잉크젯 프린터를 위한 고광택 포토 전용지들이 출시되어 이를 사용할 경우 은염사진에 버금가는 수준의 인쇄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도 사진 출력을 대신하는 용도로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정용 멀티미디어 복합기를 표방하는 MP486인 만큼 사진 인쇄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감안해 포토 용지를 사용할 경우의 인쇄 속도 역시 측정해 비교했다.

포토용지 인쇄는 인쇄 프로파일 중 ‘표준’ 단일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만을 설정해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테스트시 앞서의 일반용지 인쇄시와 동일한 A4 용지 크기의 인쇄속도를 측정해 일반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어느 정도 만큼의 속도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비교했으며, 실제 사진 인쇄시에는 10x15cm(4x6”) 사이즈를 사용하기에 해당 용지를 사용해 인쇄할 때의 속도 역시 측정했다.
10x15cm 용지 인쇄시는 “여백없는 인쇄(borderless)” 옵션을 적용한 결과이다.
 

▲ 컬러 인쇄속도 테스트의 결과값이다.


이미지 인쇄의 경우 텍스트 인쇄와는 달리 용지 면적의 거의 전체를 인쇄하는 것은 물론 중간 혼합색이나 계조 표현 등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에 헤드가 여러 번 용지를 왕복하며 잉크를 분사해 이를 표현한다.


때문에 이 경우의 인쇄 속도는 텍스트 인쇄시에 비해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 일반적인데 MP486 역시 마찬가지로, 텍스트 인쇄시에는 일반용지 고속 인쇄시 3ppm, 표준 인쇄시에는 1.6ppm 수준의 인쇄 속도를 보인다.

또한 일반 용지와 포토 용지에 인쇄할 때의 인쇄 속도 역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일반 용지 인쇄시에 비해 포토 용지 인쇄시 보다 많은 잉크를 분사하기 때문이다.

보통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일반 용지”는 건식 복사용지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등 토너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경우에 맞추어 제작되었기에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할 경우 잉크량이 적은 텍스트 인쇄는 별 문제없지만 이미지 인쇄 등 높은 인쇄밀도를 가지는 인쇄를 잉크젯 프린터로 할 경우 분사된 잉크에 의해 용지가 ‘젖게 되고’ 이로 인해 종이가 울거나 보풀이 일어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고품질 이미지를 일반 용지로 인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지만, 잉크젯 전용으로 개발된 두꺼운 용지나, 코팅지의 경우 높은 인쇄수준이 가능하다.
특히 포토 프린트용으로 개발된 광택 포토용지의 경우 종이 위에 입혀진 코팅층이 분사된 잉크 방울을 흡수해 고정하기에 많은 양의 잉크를 분사해도 번짐이나 손상없는 표현이 가능하다.

때문에 프린터 자체적으로 용지 프로파일을 제공해 이에 따른 잉크량을 조절하는데, 포토 용지를 선택할 경우 많은 잉크량을 높은 밀도로 분사하기에 인쇄 품질은 상승하지만 이에 따라 인쇄 시간 역시 증가하며 테스트 결과를 보면 A4 용지 사이즈로 동일 품질로 인쇄를 시도하더라도 일반 용지와 포토 용지간에는 약 3배에 가까운 인쇄 속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인쇄 속도만큼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프린터의 성능 중 하나가 바로 인쇄품질이다. 일부 프린터의 경우 스펙상으로는 30~40ppm 이 넘는 높은 인쇄속도를 지원하기도 하지만 인쇄 해상도를 떨어뜨리거나 인쇄 밀도를 줄이는 등, 인쇄 품질이 크게 떨어뜨려 실질적으로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 이번 테스트에서는 앞 장에서 다룬 각 인쇄 모드마다의 인쇄 품질을 각각 측정해 비교했다.
 

 

인쇄 품질 테스트

 텍스트 인쇄 품질 테스트

 

먼저, 텍스트 인쇄시의 품질을 측정했다. 텍스트 인쇄 품질 테스트는 속도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일반 용지에 각각의 인쇄 프로파일을 적용해 인쇄한 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테스트 샘플은 Microsoft Word 문서로 제작되었으며 흑백과 컬러 텍스트가 혼합되어 일반적인 흑백 텍스트의 아웃라인 표현능력 및 혼합색으로 구성된 텍스트 출력시의 컬러 하프토닝 성능을 비교했다.

아래는 테스트 결과물로, 각각의 이미지는 인쇄 후 600dpi 로 스캔해 리사이즈 없이 크롭한 것이다.

 

▲ 각 모드에서의 테스트 결과물이다.

 

테스트 결과를 보면 인쇄 프로파일에 따른 품질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각 모드에서의 인쇄물을 비교해 볼 때 고속 모드에서는 흑백 텍스트 부분의 세로선 부분에 계단 현상이 지는 것을 뚜렷하게 볼 수 있는데, 이는 고속모드에서 인쇄시의 해상도가 낮은 것, 그리고 양방향 인쇄를 수행함으로 인해 수직라인이 정확히 일치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다.

 

또한 컬러 텍스트 역시 하프토닝 처리시의 해상도가 낮아, 각 색의 잉크 입자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표준 모드에서는 수직선의 계단 현상이 상당히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혼합색 텍스트 역시 입자 크기가 고속 인쇄 크기에 비해 작아진 것이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고품질 모드의 경우 표준 모드와 비슷하지만 흑백/컬러 텍스트 모두 그 품질이 더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는데, 고품질모드의 경우 확대한다면 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지만 실제 출력물로 볼 때의 그 차이는 미미하므로, 일반적인 텍스트 인쇄시라면 인쇄 속도면에서 보다 유리한 표준 모드의 사용이 적당할 것이라 볼 수 있다.

 

인쇄 품질 테스트

 컬러 이미지 인쇄 품질 테스트

 

컬러 이미지의 인쇄 품질 역시 텍스트 인쇄시와 마찬가지로 인쇄 후 600dpi 로 스캔해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테스트 이미지는 인쇄 속도 테스트에서와 동일한 PDI 이미지 차트로, 테스트는 전체 영역을 스캔해 전반적인 인쇄 색감을 비교하고, 또 일부 영역을 크롭하여 세부적인 디테일 표현 능력을 각각 비교했다.

먼저 아래는 테스트 출력물을 전체적으로 스캔한 결과물이다.
 


테스트 출력물을 전체적으로 스캔한 결과물이다.

 

전반적으로 볼 때 각 출력물에서 느낄수 있는 가장 큰 차이는 색감 부분이다. 고속 모드에서 고품질 모드로 갈수록 점차 인쇄 밀도와 사용 잉크량이 늘어나 보다 진한 색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결과물의 동일 영역을 각기 스캔해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각 모드의 결과물을 스캔해 비교한 사진이다.

 

앞서 텍스트 인쇄 결과와 마찬가지로 각 모드에서의 인쇄 품질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나는 편이다.


고속 모드 인쇄시에는 낮은 해상도로 인한 잉크 방울의 거친 표현이 드러나는 것은 물론 고속으로 인쇄하는 경우 발생하기 쉬운 수평 방향으로의 밴딩 라인(banding line)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지만 표준 모드 이상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품질 모드 역시도 디테일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포토 용지에 인쇄한 결과물의 경우 색감과 해상도 모두 일반 용지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다.

 

 

 

프린터 단일 기기가 아닌 복합기의 경우 프린터의 성능 못지 않게 스캐너 유닛의 성능도 중요하다. 복합기라는 구성에 따라 추가된 기능인 복사 기능의 경우 스캐너에서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이미지를 읽어들이는지에 따라 그 속도와 품질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MP486의 경우 스캔 기능은 twain 드라이버를 사용해 PC에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장착된 메모리 리더를 사용해 플래시 메모리카드에 저장하거나 또는 USB방식의 플래시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플래시 메모리 테스트의 경우 세팅 후 저장하는 단계에서 속도가 느린 플래시메모리의 기록 속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에 이번 테스트는 PC기반의 테스트만으로 진행했다.

스캐너 유닛의 성능 테스트 역시 그 속도와 품질 테스트로 각각 나누어 비교했다.
 

 

스캔 성능 테스트

 스캐닝 속도 테스트

 

먼저, 스캐닝 시 소요되는 속도를 먼저 측정했다. MX486의 경우 CIS(Contact Image Sensor) 방식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데, 이 CIS 의 경우 이전에 사용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방식 센서에 비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보급형 기기부터 중급 기기에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반면 CCD 에 비해 노이즈에 취약한 것이 단점이기에 고급형에서는 아직 CCD가 인기를 얻고 있지만 최근 들어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있기에 점차 그 적용 범위는 더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스캔 속도 테스트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A4(210x9297mm) 사이즈 원고를 사용해 이루어졌으며, Adobe Photoshop에서 twain 드라이버로 원고를 읽어올 때의 속도를 측정했다.


속도 테스트는 스캔 시작 버튼을 누른 후부터 스캔이 완료된 후 전송이 끝나 이미지가 표시될 때 까지의 시간으로, 각각의 테스트는 모두 3회 반복 실시 후 그 평균값을 이용했다.
 

▲ 스캐닝 속도 테스트의 결과값이다.


스캐너 유닛의 경우 세부적인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CCFL 램프를 광원으로

접기 덧글 3 접기

    회원정보

    레이어닫기
  • Egoist™
    사진이 안 보여요 ㅠ.ㅠ
    2008-12-24 12:45

    답글

  • 회원정보

    레이어닫기
  • 곰돌이앤구해
    저도 사진이 안보이네요. ^^:
    2008-12-24 20:39

    답글

  • 회원정보

    레이어닫기
  • bumnhyun
    앗- 사진이 엑박이 떠요 ㅠㅠ
    2008-12-30 17:43

    답글

SNS 로그인

맨위로

이전이전1 2 3 4 5 다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