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보급형’ 이라는 명칭은 동일 브랜드, 또는 동일 라인업의 하위 제품군에 붙는 수식어이다. 이름 그대로 저렴한 가격으로 보다 폭 넓은 보급을 목표로 한다는 뜻으로 쓰이는 명칭인데, 이 때문에 보급형 라인업의 경우 상위 제품군에 비해 그 성능이나 기능면에서 열세인 경우가 많다.
|
캐논 Pixma MP486(이하 MP486)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둥글둥글한 박스 타입의 외형으로 이루어진 MP486의 경우 기본적인 외형은 기존의 캐논 복합기와는 다소 다른 모습인데, 언뜻 보기에는 캐논의 제품보다는 오히려 HP의 제품들과도 유사하다는 느낌을 주지만, 각 부분 부분의 디자인을 살펴보면, 세부적인 디테일은 기존 캐논의 잉크젯 프린터/복합기 제품의 설계 사상을 충실히 물려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옵션으로 판매되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 단자에 연결할 경우 최근 들어 휴대폰 등에서 지원하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해 무선으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해 인쇄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
이번 챕터에서는 MP486의 종합적인 성능에 대해 테스트했다. 이 제품 뿐 아니라 캐논의 PIXMA MP 시리즈 복합기의 경우, MX 시리즈 복합기가 업무용으로서의 사용까지 염두에 두고 설계된 것과는 달리, 가정용, 그리고 멀티미디어 복합기로서의 역할을 주로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테스트 역시 일반적인 인쇄 속도, 그리고 사진과 이미지 인쇄 속도와 품질 등을 비교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일반적인 텍스트 문서 인쇄시 프린터의 인쇄 모드에 따라 그 인쇄 속도가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지를 테스트를 통해 비교했다. 인쇄 속도 테스트는 Microsoft Word 포맷으로 작성된 테스트 문서의 인쇄를 통해 이루어졌다.
고속 모드로 인쇄시 MP486은 약 9초 가량의 빠른 첫 장 인쇄속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준 인쇄 모드에서도 12초 수준을 유지하는데, 이는 인쇄 구조가 간단한 잉크젯 프린터들이 레이저 프린터와 비교할 때 가지는 공통적인 강점이기도 하다. 또한 MP486과 같이 일체형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보다 더 간단한 구조를 가지기에 초기 기동속도만을 놓고 본다면 고가의 분리형 카트리지를 채택한 잉크젯 프린터 제품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다. 또, 이를 통해 인쇄 속도를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MP486의 경우 고속 모드에서는 10ppm 수준의 인쇄속도를, 그리고 표준 모드에서도 7ppm에 근접하는 인쇄 속도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표준 모드를 주로 이용하는 것을 생각해 볼 때 MP486 의 인쇄 속도는 무난한 수준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테스트 방법은 앞서의 텍스트 인쇄와 유사하게 초기 스풀링 시간을 감안해 3장 인쇄 후 첫장 인쇄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2장 인쇄시 소요시간을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사용해 1페이지당 인쇄 시간과 인쇄 속도를 각각 계산했으며, MP486의 경우 이미지 인쇄시에도 텍스트 인쇄와 마찬가지로 3단계 인쇄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 있기에 이번 테스트 역시 각각 모드마다의 인쇄 시간과 속도를 따로 측정했다.
|
인쇄 속도만큼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프린터의 성능 중 하나가 바로 인쇄품질이다. 일부 프린터의 경우 스펙상으로는 30~40ppm 이 넘는 높은 인쇄속도를 지원하기도 하지만 인쇄 해상도를 떨어뜨리거나 인쇄 밀도를 줄이는 등, 인쇄 품질이 크게 떨어뜨려 실질적으로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 이번 테스트에서는 앞 장에서 다룬 각 인쇄 모드마다의 인쇄 품질을 각각 측정해 비교했다.
먼저, 텍스트 인쇄시의 품질을 측정했다. 텍스트 인쇄 품질 테스트는 속도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일반 용지에 각각의 인쇄 프로파일을 적용해 인쇄한 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테스트 결과를 보면 인쇄 프로파일에 따른 품질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각 모드에서의 인쇄물을 비교해 볼 때 고속 모드에서는 흑백 텍스트 부분의 세로선 부분에 계단 현상이 지는 것을 뚜렷하게 볼 수 있는데, 이는 고속모드에서 인쇄시의 해상도가 낮은 것, 그리고 양방향 인쇄를 수행함으로 인해 수직라인이 정확히 일치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다.
또한 컬러 텍스트 역시 하프토닝 처리시의 해상도가 낮아, 각 색의 잉크 입자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표준 모드에서는 수직선의 계단 현상이 상당히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혼합색 텍스트 역시 입자 크기가 고속 인쇄 크기에 비해 작아진 것이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고품질 모드의 경우 표준 모드와 비슷하지만 흑백/컬러 텍스트 모두 그 품질이 더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는데, 고품질모드의 경우 확대한다면 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지만 실제 출력물로 볼 때의 그 차이는 미미하므로, 일반적인 텍스트 인쇄시라면 인쇄 속도면에서 보다 유리한 표준 모드의 사용이 적당할 것이라 볼 수 있다.
컬러 이미지의 인쇄 품질 역시 텍스트 인쇄시와 마찬가지로 인쇄 후 600dpi 로 스캔해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전반적으로 볼 때 각 출력물에서 느낄수 있는 가장 큰 차이는 색감 부분이다. 고속 모드에서 고품질 모드로 갈수록 점차 인쇄 밀도와 사용 잉크량이 늘어나 보다 진한 색감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텍스트 인쇄 결과와 마찬가지로 각 모드에서의 인쇄 품질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나는 편이다.
|
회원정보
아이디 : cdc808
닉네임 : Egoist™
포인트 : 138105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07-10-16 23:17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