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D와 필름의 크기를 나열한 사진 입니다.
올림은 포서드(4/3)를 CCD입니다.
아래 자료는 SLR클럽에서 포서드에 관한 심도 분석 내용 입니다.
촬상면 크기에 대해 살펴보면...
보급형 하이엔드급인 2/3"의 촬상면 대각 길이는 11mm입니다.
포서드 4/3"는 두배가 조금 넘는 22.5mm입니다.
캐논의 APS 사이즈 는 27.26352....mm 입니다.
필름은 43.27mm입니다
그리고 4/3"을 2/3", APS와 면적으로 비교하면 2/3"보다는 약 4.2배가량 크고, APS 사이즈에 비하면 약 71% 정도입니다.
두번째로 심도에 대해 살펴보면...
계산 방법은 일단 공식을 이용했습니다. 심도 공식은 아래와 같고 심도범위가 좁을수록 심도가 얕다는 의미입니다.
Dn = (hs/(h+(s-f)) [the nearest distance subject in focus] (전방심도)
Df = (hs/(h-(s-f)) [the farthest distance subject in focus] (후방심도)
Depth of field(mm) = (hs/(h-(s-f)) - (hs/(h+(s-f)) (심도) - 1식
Where h is the hyperfocal distance at that aperture(과초점거리), f is the focal length(초점거리), and s is the subject distance(거리) 입니다.
h = (f^2) / ac (과초점거리) - 2식
a is the numerical aperture (조리개값) and c is the circle of confusion (착란원의 크기) 입니다.
연습장에 끄적인 공식을 옮겨적는건 도저히 못하겠고(사실 하다가 포기를-_-;;) 과정을 대충 끄적여 보자면 1식과 2식을 이용해 각각의 경우에 있어 동일한 심도를 나타내주는 조리개값을 찾는걸 우선으로 했습니다.
1.필름을 기준으로 하여 APS와 4/3 의 동일 화각을 전제합니다. (즉 환산초점거리를 같게 놓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필름에는 f, APS에는 f/1.6, 4/3에는 f/2를 하면 되겠죠.)
2.동일 화각이니만큼 피사체와의 거리는 동일하게 s로 놓고
3.착란원은 필름의 경우 c=0.03, APS의 경우 c=0.019, 4/3의 경우 c=0.015로 놓습니다.
4.이제 남은 변수는 조리개값인 a인데, 세 경우 모두 같은 심도값이 나오게 하는 각각의 a값을 찾으면 됩니다.
그럼 위 공식에 특정수치(필름기준 50mm, 피사체와의 거리 5m)를 대입해서 나온 결과를 적어보겠습니다.
필름기준 - 50mm 렌즈, 5미터, F2.8 일때 심도는 1.73m 이며
APS기준 - 32mm 렌즈, 5미터 F1.7일때 심도는 1.71m 이며
4/3기준 - 25mm 렌즈, 5미터, F 1.4일때 심도는 1.74m 입니다.
즉, 개략적으로 필름과 APS의 심도차는 한스탑을 조금 상회하는 수준이며, 필름과 포서드와는 2스탑 차이입니다.
그리고 APS와 포서드의 차이는 반스탑을 약간 상회하는 차이입니다.
*참고로 거의 동일 심도를 보여주는 다른 초점거리에서의 결과도 몇개 적어 보겠습니다.
(1)필름의 100mm 기준입니다.
필름기준 - 100mm 렌즈, 8미터, F2.8 일때 심도는 1.08m 이며
APS기준 - 63mm 렌즈, 8미터 F1.8일때 심도는 1.09m 이며
4/3기준 - 50mm 렌즈, 8미터, F1.4일때 심도는 1.08m 입니다.
(2)필름의 135mm 기준입니다.
필름기준 - 135mm 렌즈, 8미터, F2.8 일때 심도는 0.59m 이며
APS기준 - 85mm 렌즈, 8미터 F1.8일때 심도는 0.59m 이며
4/3기준 - 68mm 렌즈, 8미터, F1.4일때 심도는 0.57m 입니다.
좀 어려운 내용이긴 합니다만, 결론은 포서드가 심도가 얕다라는 내용입니다.
필름에 비해 대략 두스탑(조리개)가까지 심도가 얕다는 군요..
참고 하시길..
회원정보
아이디 : audls
닉네임 : 리트
포인트 : 93409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05-07-17 23:06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