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찍은사진풀프레임의 장점은 화각으로 부터 시작이 됩니다. 나름대로 비싼 광각 렌즈를 사더라도 1.6배 크롭 바디를 쓰는 유저들은 별 다른 재미를 못 느낍니다. 광각 렌즈를 가지신 분들은 1:1 바디로 바꾸신다면 숨어있는 1\"를 찾는 재미가 쏠쏠할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CMOS의 사이즈가 커짐으로 인해서 화소가 늘어난것도 좋구요. 화소를 원한다면 5D를 빠른 연사를 원한다면 1D Mark N 을 대충 이렇게 나눠지겠죠. 자세한 내용은 jayki 님이 달것으로 예상함.2005-08-24 16:59
센서크기가 35mm 필름 크기와 같아서 풀프레임이라고 불리우는것이구요. (타 기종들은 대부분 1.5x 혹은 1.6x 크롭이죠. 그만큼 화각이 좁게끔 작다는 뜻이죠) 장점은 간단히 얕은 심도, 더큰 뷰파인더, 환산 화각이 아닌 렌즈 화각 그대로 사용 등등 있죠.
사랑미안님의 글이 맞긴 하지만 정확한 표현은 아니죠. 면적이 넓은것과 픽셀밀도/픽셀크기는 다르니까요. 하여튼. 화소수는 그대로일시 센서 크기가 커지면 픽셀밀도가 줄어들고 픽셀크기가 더 커지죠. 그럴경우 사랑미안님의 표현이 맞습니다. 픽셀 하나하나의 면적이 커져서 노이즈가 보통 더 적죠. 픽셀 퀄리티도 그만큼 좋아지기 때문에 디테일 표현이 더 뛰어나지고 계조 표현력도 더 좋아지구요. 그래서 소형디카의 8백만화소보다도 DSLR 의 6백만화소가 더 좋답니다. 특히 대형 인화할경우 더더욱.
하여튼. 이번 5D 는 픽셀 밀도도 요새 센서중 거의 최고 수준으로 낮고, 그리하여 픽셀 크기도 크고. 그리고 풀프레임 센서라서 자연적으로 뷰파인더도 더 크고, 보통 렌즈들의 원래 화각을 즐길수가 있죠. 그러나 단점들도 생기기는 마련. 음. 좀더 자세한 장점/단점은 내일 쓸께요. 지금 별로 시간이 없어서리.. ㅎㅎ2005-08-24 18:10
jayki아. 발로찍은 사진님의 글중 광각렌즈에 대해서 말인데요. 요새는 크롭바디용 광각 렌즈가 많아져서 이젠 별로 맞는말도 아니랍니다. 겨우 60만원 정도 하는 시그마 10-20mm 렌즈의 경우 캐논 크롭 (20D / 350D 등등) 바디에선 16-32mm 의 환산화각을 선보이는데 캐논에서 최고라는 130만원이 훨씬 넘는 캐논 16-35mm L 렌즈나 좀더 저렴한 17-40L 렌즈들보다도 화질이 좋답니다. 니콘의 경우에도 비슷하구요. 그래서 풍경 사진은 요새 크롭바디가 더 좋다고들 하는 셈이죠. ^^;2005-08-24 18:19
jayki픽셀 밀도는 거의 캐논 1D mkII 와 똑같답니다. 그러니 결과적 사진이나 픽셀 퀄리티는 거의 똑같다고 볼수가 있구요. 결국 크롭바디라고 굳이 화질손해를 보는것은 아니지요. 그냥 더 큼 센서로 인해 더 많은 화소수를 제공해도 손해를 덜 보는것 뿐이구요. 샘플 사진들 보니 진자 좋긴 하더군요. 근데 솔직히 풀프레임이라서 그런건 아닌듯. (사용된 렌즈들, 특히 100mm 마크로의 경우 렌즈가 워낙 샤프해서죠.)2005-08-24 20:24
jayki그쵸. 그냥 같은 픽셀 밀도 센서를 예 들려고 1D 를 사용했던거구요. 1D mkII 센서의 밀도로 계산할시 5D 와 거의 똑같거든요. 1D mkII 1.3x 크롭 센서를 같은 밀도를 사용해서 1:1 센서크기로 늘릴경우 거의 정확히 5D 와 같은 1280만화소가 되거든요. ^^
닥블님 말씀대로 저도 20D 에 50mm 를 사용할시 너무 안타까워 하죠. 80mm 화각으로 써야하니. ㅡㅜ2005-08-25 09:48
회원정보
아이디 : haveorbe
닉네임 : 발로찍은사진
포인트 : 61500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05-06-13 11:38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