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레이어닫기

[GX8 / 45-175] 어제 밤 우주 (4K video Test)

다다아 | 02-13 00:25 | 조회수 : 1,324




제 카메라는 루믹스 GX8입니다.
주로 가족사진과 거리 스냅을 찍죠.
45mm 이하의 단렌즈를 주로 사용하고요.
그리고 이따금 산의 동식물을 영상으로 담기도 합니다.
그런데 산 친구들이 제 가까이 있는 법이 별로 없더군요.

그래서 GX8에 어울릴만한 망원 렌즈를 고민하고 있던 차!
체험 이벤트를 신청했습니다.
운 좋게도 당첨됐네요. 그리고 신청한 렌즈 중 3~4순위 쯤에 있던
[Lumix G X Vario PZ 45-175mm F4.0-5.6 ASPH Power O.I.S.] 를 받게 되었습니다. 렌즈 이름이 너무 길..

4K 동영상 촬영에서 GX8은 망원 촬영을 할 때 장점이 있습니다.
이유는 파나소닉의 동영상 캡처 방식 때문입니다.
4K를 지원하는 루믹스 전 기종은 동영상 촬영에서 센서 일부만 사용합니다.

보통 소비자용 카메라 시장에서 4K는 3840 x 2160 입니다. 화소수가 대략 830만 개죠.
반면 GX8의 센서는 5188 x 3888, 2천만 화소가 넘습니다.
사진에서는 센서의 모든 화소를 이용해서 빛을 담지만, 영상에서는 센서 중심으로부터 위아래 양옆을 잘라서 830만 개의 화소만 사용합니다.
그렇습니다. GX8은 영상 촬영 시 실제 센서 크기(혹은 능력)의 반도 안 되는 면적만 씁니다.
영상에 국한했을 때 센서 능력 활용률이 루믹스의 렌즈 교환 카메라 중 꼴찌 수준입니다ㅠㅠ

GH4 등 영상 위주로 세팅된 카메라가 상대적으로 저화소를 유지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영상에서 최대한 센서 전체를 사용하려고 카메라를 설계하다 보니 사진에서는 상대적으로 손해를 보게 되는 거죠. 그래서 결론이 사진은 GX8이 최고입니.. :-)

이렇게 센서 일부만 사용하면서 생기는 몇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광량 손실이 대표적이죠. 렌즈를 지나 센서까지 닿은 빛을 온전히 사용하지 못하는 겁니다. 곧 등장할 GH5가 4K 촬영에서 크롭이 없는 최초의 루믹스가 됩니다. 그런 점에서 저도 기대하고 있지요.

아무튼, 센서 크롭이라는 루믹스의 동영상 캡처 방식은 초점거리가 늘어나는 것과 같은 효과도 갖고 옵니다. 타브랜드에서 풀프레임(35mm)렌즈를 크롭바디에서 쓸 때와 비슷한 원리죠.
GX8의 경우 초점거리가 약 1.5배 정도 늘어나는데 루믹스 최고 수준입니다. 앞서 루믹스 중 센서 능력 활용률 꼴찌라고 했던 것이 초점거리를 늘려주는 선물로 돌아옵니다. 제가 GX8을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체험 렌즈를 GX8에 장착하면 175mm 초점거리가 250mm가 되는 꼴입니다. 풀프레임 기준으로 환산하면 500mm 정도 되겠고요
애당초 마이크로포서드 시스템이 작고 가벼워서 짐 부담을 덜어주는데, 여기에 초점거리까지 늘어나게 됩니다.
망원 촬영이 더 가벼워 지는 거죠.

위에 첨부한 영상은 이번 체험 렌즈로 찍은 첫 영상입니다. 톱니바퀴 누르시고 4K 선택, 전체화면으로 보시면 원본에 최대한 가까운 화질로 보실 수 있습니다.
달이 렌즈 특성을 살펴보기에 적절한 피사체는 아니죠.
그저 GX8에 175mm 초점거리로 4K 영상을 찍으면 어느 정도 당겨지는지 감 잡는데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
망원 하면 달 아니겠습니.. -.-

촬영은 45-175 렌즈의 175mm 초점거리만 사용했습니다.
처음 등장하는 오른쪽의 달이 4K 크롭 없는 원본 영상입니다.
가운데 달이 2배 확대, 마지막 등장하는 것이 4배 확대입니다.
일반적인 모니터 혹은 TV 환경에서 보았을 때 2배 확대 정도는 써볼 만 하다 생각되네요.
개인적으로 4배 확대 달에서 울렁울렁하는 모습이, 밤하늘 우주에 있는 달과 저 사이의 공간이 느껴져서, 좋네요.

조만간 45-175 가지고 집 근처 산에 다녀와야겠습니다.
기회가 되면 그때 요 가벼운 렌즈에 대해 좀 더 얘기해 볼게요.



★ 다다아님의 팝코 앨범 ★
https://photo.popco.net/57748

접기 덧글 10 접기
SNS 로그인

이전글 다음글 목록

맨위로

이전이전 420 421 422 423 424 다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