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3 역쉬~~ 발매전부터 관심있던 부분인데 JPEG 만으로도 이정도면 훌륭합니다. 500이 버리고 가고 싶군요.. 으허~~~ 올림만의 스타일. 올림만의 사진표현력... 역시 제 스타일입니다.. EP-1이 정말로 기다려 집니다... 총알아 모여라~~!! 전 갠적으로 이모델이 11측거랑 틸트 액정만 달았다면 여기에 올인을 했을 겁니다.. 다만 사용하면서 아쉼으로 남았던 부분이 이 부분이어서.. EP-1에 기대를 걸어봅니다... 멋진~~~~!! 2007-07-27 17:24 신고
예를 들어, 번들 렌즈 14-45가 35미리 기준 28-90mm 렌즈를 모델로
했다는 말씀이신가요?
그렇다면 그건 사실과 다릅니다. 중형 포맷에서는 100mm가 35미리
환산 50mm에 해당하는데 (중형도 포맷이 여러가지이긴 하지만) 이건
\'표준\'은 어딜가도 동일한 \'화각\'을 갖기 때문입니다.
번들 렌즈의 경우, 어느 포맷에서도 편리한 화각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35mm에서는 28~100mm이 편리한 화각이듯,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인 FX100도 28-100mm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이건 판형과
상관 없이 \'화각은 공통\'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2007-07-27 18:14 신고
015별자리물고기 그것이 아니라면... 중형 포맷이 35mm를 기준으로 렌즈를 만들었거나,
35mm가 중형 포맷을 기준으로 렌즈를 만들었다는 말씀이 되나요?? ^^;;
혼동을 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엄연히 \'화각\'과 \'초점거리\'는 다른
개념입니다. 편리한 화각, 유용한 화각은 초점거리와 별개로 사용자들의
공통된 느낌입니다. 그 편리한 화각, 유용한 화각에 맞춰 특정
초점거리를 갖는 렌즈가 개발된 것이지, 초점거리에 맞춰 편리한 화각,
유용한 화각이 결정된 것이 아니라는 뜻이지요.
이를 달리 말하면, \'태초에 화각이 있었고, 화각으로부터 초점거리가 나왔다\'
고 정리해보고 싶네요~ ^^;;2007-07-27 18:20 신고
018calamity johndoe 포맷에 대한 논쟁은 \'만년 떡밥\'이란 말대로 정말 끊이질 않는군요. ^^
포서드는 크롭도 풀프레임도 아니라고 보면 되지않을까요?!
크롭이나 풀프레임 모두 35mm를 기반으로 하는 바디를 연상시키기에 논쟁도 항상
35mm 포맷 기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둘 다 관계없는 하나의 독립된 온전한 포맷입니다.2007-07-27 20:57 신고
022돈육사마 스펙/기능 파트에서 카메라 바디의 \'사진보기\' 를 통해 프리뷰를 확대하면 초점이 맞은건지 알 수 없게 소프트해진다고 하셨는데 이건 당연한겁니다;; 왜냐면 원본이미지가 아니라 빠른 프리뷰를 위한 썸네일이기 때문이죠. 썸네일 파일을 x10을 넘어서 x14까지 가능하단 말은 프리뷰 썸네일이 충분히 사이즈가 크단 말이지요. 정정이 가능하면 정정을 부탁드리고 싶군요.
전체적으로 리뷰가 기존의 팝코리뷰에 비해 부족하다는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대부분의 사항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수치나, 자료를 제시하지 않고 \"~생각합니다\" 와 같은 자의적 판단을 내리는건 개인사용기에서나 가능하지, 팝코넷 처럼 공신력있는 사이트의 리뷰에서 사용하기는 적절하지 않네요.2007-07-28 00:45 신고
2007-07-27 02:02 신고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