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DSLR의 화소수 경쟁에 불이 붙었다. 이제 새로 나오는 하이엔드 DSLR은 천만화소가 아니면 주목 받기도 힘든 시대가 되어 버렸다. 화소수가 무슨 문제냐고 반론을 제기 할 이들도 있겠지만 전문적인 촬영을 위해 만들어진 기종에서는 가장 중요한 덕목 중에 하나가 바로 해상력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기존에 니콘은 경쟁사의 하이엔드 DSLR에 비해 화소수에서 턱없이 밀렸던 것이 사실이며 과거의 명성과 렌즈군으로 근근히 버텨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이제 와서 새삼 느끼는 것이지만 니콘이 이렇게 따가운 눈총을 맞으면서도 묵묵히 참아 온 것은 D2X라는 명기를 세상에 내놓기 위해서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D1에서 출발한 니콘의 하이엔드 DSLR의 역사는 기대와 달리 200만 화소급이라는 치명적인 결점으로 인해 시작부터 힘겨운 싸움을 해야만 했다. 이후 기자들을 위한 H 시리즈와 스튜디오를 위한 X 시리즈로 양분화 되었지만 여전히 D1H나 D2H 모두 시대에 뒤떨어지는 저화소급 CCD를 사용하여 기술력의 한계를 드러냈으며 스튜디오용이라고 발표한 D1X는 센서의 모양이 정방형이 아니라 세로로 길쭉한 형태로 제작되어 가로 해상력만 비정상적으로 높아 디카 역사상 그 유래를 찾기 힘든 특이한 기종으로 낙인 찍히고 말았다. 이와 같이 니콘의 하이엔드 DSLR은 기대와 달리 오랫동안 고전을 면치 못한 것이 사실이다.
반면 보급형 DSLR에서는 나름대로 선전하는 모습을 보여왔는데 D100과 D70에서 600만 화소급 CCD를 채용한 기본기에 충실한 기종으로 널리 알려지면서 사용자층을 꾸준히 넓혀 왔으며 최근에 D50을 발매해 더욱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런 전례로 볼 때 1,200만 화소급 하이엔드 DSLR의 탄생은 니콘의 DSLR 역사에 있어서 일대 혁명이라고도 볼 수 있다. 다소 안일하게 대처하는 듯 했던 기존의 모습은 찾아 볼 수 없으며 결국 천만화소급 하이엔드 시장에 뛰어든 또 다른 메이져급 DSLR 업체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Nikon AF 50mm F1.8D, ISO 200, Manual, Multi-segment,
F11, 1/60s, 0ev, AUTO WB, (3,034KB)>
003jayki 오호.. D2x 만 가지고 있어도 별로 부러울 카메라가 없을텐데.. 노이즈 성능 빼고는 역시 초 하이엔드 DSLR 다운 성능 / 화질.. D2h 잠시 써봤는데 진짜 느낌이 너무 좋던데.. 으.. 근데도 바디급이 더 낮은 5D 와 프로급 D2x 둘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굉장히 괴로울듯 싶네요.. (언제 이런 상황이 오기나 할까... 쩝.. ㅡㅡ;;)
섬세한 리뷰 매우 매우 잘봤습니다.. 근데 진짜 충격이네요.. 기본으로 제공하는 RAW 변환기가 화벨마저 조절이 안된다니.. 이럴땐 역시 무료로 다운 가능한 RawShooter 가 최고인듯.. ㅎㅎ2005-09-29 21:12 신고
잘못 말씀하신게 있는거 같아 말씀드립니다. 물론 Picture Project에서는 몇몇 간단한 조작밖에 안됩니다. 진짜 RAW를 이용한 조작을 위해서는 Nikon Capture가 있어야 합니다.
캐논슈터들이 니콘슈터들을 부러워 하는 것 중 하나가 Nikon Capture라는 프로그램의 존재인데... Nikon Capture는 써보셨는지? 물론 Photoshop 7.0 이후로 NEF를 읽을 수는 있습니다만, 전용 프로그램인 Nikon Capture로 더 세밀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물론 이 프로그램이 무료는 아니기는 합니다만...2005-09-30 08:46 신고
016jayki 니콘 캡쳐야 알고 있었죠.. 근데 기본 제공되는것이 저리 제한이 있었는지는 몰랐네요.. 캐논은 아직 프로용 RAW 변환 프로그램이 없는게 아쉽긴 합니다.. 유로로 하더라도 잘만 만든게 있었으면 아마도 많은 유져들이 사용할텐데.. 쩝.. 그냥 공짜인 RawShooter 나 캡쳐원/비블/어도비/실키픽스 등등으로도 어찌 보면 충분하고도 남긴 하지만.. ㅎㅎ2005-09-30 13:11 신고
026 파란하루님 // 일반적으로 화소수가 해상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상력은 \'얼마나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는가\'를 말하는 것이고. 화소가 많을수록 표현능력은 당연히 좋아집니다. \'또렷하고 샤프함의 정도\'를 나타내는 선예도와는 좀 다른 개념입니다. 2005-10-02 02:52 신고
수고하셨습니다~ 2005-09-29 17:19 신고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