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6ed가위 고음과 저음으로 각각 스피커선이 따로 있는 건 제것도 그런데... 태광의 스테디모델인 4채널 미니컴퍼넌트... 뭐 11년째 된 녀석이지만.. 고음과 저음이 뭉치지 않는다는 것 소리가 당시 타회사보다 좋게들렸다는 것 정도 막귀라...2006-09-13 02:40 신고
024 정격출력 180W T.T
제가 가진 85만원주고 산 앰프도 정격출력이 60*2W입니다.
이런 구라출력을 가지고 메인 타이틀에서 자랑스럽게 표기를 하는건 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MP3 이야기도 MP3도 제대로된 시스템에서 즐기면 일반 CD랑 차이를 거의 느끼기 어렵습니다.
각분야의 전문가집단으로 구성된 테스터를 대상으로 (소위 황금귀집단) MP3 (256이었나?)와 CD의 음질차이를 구분해낸 사람이 거의 없었다는 결과는 이미 공공연하게 알려져 있죠.
저 역시 제가 가진 유니버설 플레이어가 약 50만원대 가격인데 MP3를 지원합니다.
그다지 CD에 비해서 떨어진다는걸 느끼기 힘듭니다.
디자인이 이뻐서 그냥 서브로 쓰면 좋을것 같긴 하지만 음질쪽에서는 전혀 기대가 안되네요.2006-09-16 03:01 신고
026도로법규위반 pluto248님// 순간최대출력(PMPO)이 180W라면 구라출력이겠지만 정격출력(RMS)이 180W인데 왜 구라출력이라고 하시는지요? ㅜ,ㅜ 순간최대출력(PMPO)은 스피커가 아주 짧은 순간동안 견딜 수 있는 제일 높은 출력을 말하기 때문에 정격출력(RMS)이 낮은 싸구려 오디오들이 출력을 뻥튀기해서 알리기 위해 표기하는 방법이지요. 하지만 이 제품은 정격출력이180W이기 때문에 당근 구라출력이 아니랍니다...ㅡ.ㅡ 또한 출력이 오디오의 전부는 아니기 때문에 님이 사셨다는 85만원짜리 앰프의 120W출력 또한 크게 이상할 것이 없는 것이지요...사실 120W면 방에서 듣기에는 충분하지요...
MP3이야기는 뭔가 잘못 이해를 하신듯하네요...요즘 나오는 오디오들은 대부분 AUX단자를 제품 앞쪽으로 빼면서 제조사에 따라서 \'포터블링크\', \'MD링크\', \'뮤직포트\' 등등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사실 AUX단자와 큰 차이는 없습니다. 암튼 앞쪽에 있는 그 단자에 MP3플레이어나 컴퓨터를 연결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이지요. MP3를 구운 CD를 들을 때 차이가 나는 음질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앞쪽에 있는 MP3플레이어 연결단자에 본인이 가지고 있는 MP3플레이어를 꽂아서 MP3플레이어 내에 저장되어 있는 노래를 들을 때 음질이 다소 떨어진다는 것이지요... 2006-09-22 00:46 신고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