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1D X Mark II
등록일 : 2016-02-02 18:10 | 조회수 : 8,583

렌즈교환식(DSLR)/ 2,020만화소/ 3.2인치/ ISO 409600

출시일자 :2016-02-02

브랜드 :캐논

캐논, 플래그십 DSLR 카메라 ‘EOS-1D X Mark II’ 정식 발표.

캐논은 사진과 4K 영상 촬영에서 높은 성능을 갖춘 새로운 플래그십 DSLR 카메라 'EOS-1D X Mark II'를 발표했다.

EOS-1D X Mark II는 5년 만에 선보인 EOS-1D X의 후속 제품으로 빠르고 정확한 동체 추적 능력에 세계 최고 수준의 초당 최대 약 16장 의 연사, 4K 60p 영상촬영 성능으로 캐논 플래그십의 명성에 걸맞는 풀 프레임 DSLR 카메라로 거듭난 최상위 모델. 사진 전문가는 물론 전문가 영역에 들어서려는 하이 아마추어, 영상 제작분야의 프로 등 고사양의 성능을 요구하는 이들의 의견을 반영해 어떠한 촬영 현장에서도 완벽한 결과물을 완성할 수 있는 캐논의 혁신 광학 기술이 모두 집약됐다.




EOS-1D X Mark II는 갭리스 마이크로 렌즈, 미세 배선과 회로, 신규 포토 다이오드 구조 등 캐논만의 신기술이 집약된 약 2,020만 화소의 35mm 뉴 풀프레임 이미지 센서를 탑재했다. 신개발 센서는 고감도 촬영 시 노이즈와 저감도 촬영 시 암부 노이즈가 개선돼 선명하고 깨끗한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빠른 처리 속도와 전력 절약화를 실현해 새로운 사진, 영상 촬영 환경을 선사한다.






새로운 이미지 센서 기술로 더욱 완벽해진 EOS-1D X Mark II는 영상처리엔진 디직 6+(DIGIC 6+)를 2개 사용한 '듀얼 디직 6+(Dual DIGIC 6+)'를 탑재해 현존하는 DSLR 카메라 최초로 초당 최대 약 16장의 고속 연속 촬영을 실현했다. 뷰파인더 촬영 시 초당 약 14연사, 라이브 뷰 촬영 시 최대 초당 약 16 연사 속도를 확보해 올림픽과 같은 역동적인 스포츠 현장에서 최고의 장면이나 결정적인 순간을 포착하는데 발군의 성능을 발휘한다.

고속 연사시의 프레임에 대한 기본 미러 기구를 신설계로 했다. EOS-1D X는 스프링 미러 다운 있었기에 감속하지 못했지만 EOS-1D X Mark II에서는 모터 구동 미러의 감속 기구를 추가했다. 거울이 부딪히기 직전에 감속 캠에서 브레이크를 걸어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AF / AE 동작을 위해 하위 미러 충격을 없앴다. 저소음 촬영은 소프트 촬영으로 명칭을 변경. 저속 구동 소음을 부드럽게 개선한 모드에서도 최고 초당 약 5 매 연속 촬영에 대응한다.




또한 상용 감도 ISO 100~51,200을 지원하고 최대 50~409,600까지 확장 감도를 지원해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고화질의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여기에 EOS 시리즈 최초로 '디지털 렌즈 최적화(Digital Lens Optimizer)' 기능을 카메라에 탑재해 캐논의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인 'DPP(Digital Photo Professional)'에서만 가능하던 렌즈의 잔존 수차와 회절 현상을 카메라 내에서 직접 보정해 선명한 고품질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EOS-1D X Mark II는 혁신기술을 도입해 DSLR 카메라가 표현할 수 있는 영상 촬영의 범위를 확대했다. EOS 시리즈 최초로 4K 60p 영상촬영(4,096x2,160)과 초당 120프레임의 Full HD 영상촬영(1,920x1,080)을 지원해 높은 프레임 비율로 고화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4K 60p로 촬영한 고품질 영상을 손쉽게 카메라에서 스틸 이미지로 바꿀 수 있는 '4K 프레임 추출(4K Frame Grab)' 기능을 탑재했다. 또 캐논의 독자적인 기술인 '듀얼 픽셀 CMOS AF(Dual Pixel CMOS AF)'를 캐논 풀 프레임 DSLR 카메라 최초로 탑재해 라이브 뷰 또는 동영상 촬영 시 비약적으로 향상된 AF 속도에 기반한 뛰어난 동체 추적 성능을 갖췄다.



[MOV]
4K (59.94p / 50.00p) : 약 800Mbps 
4K (29.97p / 25.00p / 24.00p / 23.98p) : 약 500Mbps 
Full HD (119.9p / 100.0p) / ALL-I : 약 360Mbps 
Full HD ( 59.94p / 50.00p) / ALL-I : 약 180Mbps 
Full HD (59.94p / 50.00p) / IPB : 약 60Mbps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ALL-I : 약 90Mbps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IPB (표준) : 약 30Mbps 

[MP4] 
Full HD (59.94p / 50.00p) / IPB (표준) : 약 60Mbps 
Full HD (29.97p / 25.00p /24.00p/23.98p) / IPB (표준) : 약 30Mbps 
Full HD (29.97p / 25.00p) / IPB (경량) : 약 12Mbps 요구 카드 성능 (읽기 / 쓰기 속도)
4K (59.94p / 50.00p) : CFast 2.0 
4K (29.97p / 25.00p / 24.00p / 23.98p) : CF UDMA 7 : 100MB / s / CFast 2.0 
Full HD (119.9p / 100.0p) : CF UDMA 7 : 100MB / s / CFast 2.0 
Full HD (59.94p / 50.00p) / ALL-I : CF UDMA 7 : 60MB / s / CFast 2.0 
Full HD (59.94p / 50.00p) / IPB : 30MB / s 이상 
Full HD (29.97p / 25.00p / 24.00 p / 23.98p) / ALL-I : 30MB / s 이상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IPB (표준) : 10MB / s 
Full HD (29.97p / 25.00p) / IPB (경량) : 10MB / s



EOS-1D X Mark II는 개선된 AF알고리즘을 적용해 더욱 빠르고 정확한 피사체 포착 능력을 갖췄다. 모두 선택 가능한 61개 AF포인트가 고밀도로 배치되어 있는 '61점 고밀도 레티큘러 AF II(61-Point High Density Reticular AF II)' 시스템은 이 중 41개의 AF 포인트가 크로스로 작동돼 피사체를 포착하는데 발군의 성능을 보인다.




또 중앙부는 F2.8에 대응하는 5개의 듀얼 크로스 센서를 갖추고, 최대 61개의 AF 포인트 모두 F8에 대응해 최대 조리개가 F8인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모든 AF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AF 측거 영역이 EOS-1D X 대비 중앙부는 상하 약 8.6%, 주변부는 상하 약 24% 확대돼 보다 자유로운 구도와 정밀한 사진 촬영을 돕는다.



특히 'AI 서보 AF III 플러스(AI Servo AF III+)'를 탑재해 피사체의 속도와 방향이 갑자기 바뀌는 상황에서 AF 정밀도가 훨씬 높아졌다.'약 36만 화소 RGB+IR 측광 센서'와 '깜빡임 방지 촬영' 기능으로 촬영 시의 노출 상황에 면밀하게 대응할 수 있다.


뷰 파인더 디스플레이를 기존 모델보다 충실하게 개선시켰다. 프레임의 중앙 상단에 2축 수준기 (AF 중에서도 표시 가능), 시야의 중앙 하단에 각종 모드 설정 표시기를 마련. 노출 바는 프레임 외부의 오른쪽에만 있었지만, EOS-1D X Mark II는 하단에도 표시된다.




또한, EOS-1D Mark IV까지 있었던 AF 프레임의 적색 표시를 부활시켜 EOS iSA System (피사체 인식 측광 시스템)과 적색 자막 표시 광학계를 양립시켰다. 선택한 AF 포인트나 선택 가능한 AF 포인트가 나타나는 저조도 하에서의 프레이밍이 용이하다. 시야 밖의 표기에는 유기 EL을 채용하여 응답성과 시인성을 배려했다. 파인더 배율은 약 0.76 배. 아이 포인트는 약 20mm. 포커싱 스크린은 교환 가능 (Ec-C6 표준).



내장 GPS 기능으로 촬영한 사진에 위치 정보 기록을 액세서리 없이 가능하다. 기존의 GPS 장치 GP-E1 / GP-E2보다 정확도를 높였으며 카메라에서 로거 기능도 갖춘다. 별매 "무선 파일 트랜스미터 WFT-E8B"는 IEEE802.11a에 대응하여 통신 속도를 향상. 스마트 장치 Camera Connect'와 연계가 되며 카메라 본체에 유선 LAN기능을 갖춘다.



기존 EOS-1D X는 JPEG 촬영시 비네팅 및 색수차 보정을 실시하고 있었지만, EOS-1D X Mark II는 왜곡 보정(EOS 7D Mark II에 탑재)과 회절 보정도 가능하게 되었다. 보다 작은 조리개에서 촬영이 가능하고 DIGIC6 +의 고속 처리로 연사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 렌즈 보정 데이터는 컴퓨터의 EOS Utility에서 카메라 본체에 등록할 필요가 있어 왔으나 EOS-1D X Mark II는 주변 광량 / 색수차 / 왜곡 수차 렌즈 보정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교체 시간이 필요 없다고 한다. 향후 발매되는 렌즈 보정 데이터는 렌즈 본체로 받으면 된다.


기록 미디어는 CFast2.0와 CF의 더블 슬롯으로 연속 촬영 가능 매수는 CFast / CF 모두 JPEG는 무제한. RAW는 CFast2.0에서 170 장, UDMA7 CF에서 73 장이다. 기존 EOS-1D X(CF 만)는 JPEG로 100 매, RAW로 35 장 이었다.
exFAT 포맷에 대응하여 동영상 4GB 파일 크기 제한이 없어져 편집의 수고를 줄였다. 또한 128GB 이하의 CF는 FAT32때문에 기존대로 제한이 있다.



배터리 팩은 "LP-E19"을 부속. EOS-1D X등의 LP-E4/E4N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롭게 동봉된 충전기의 LC-E19는 기존 배터리 LP-E4/E4N을 충전할 수도 있다. 배터리 완충시 촬영 가능 매수(상온)는 뷰 파인더 촬영에서 약 1,210 매, 라이브 뷰에서 약 260 매다.



카메라 본체는 강성과 방열성이 우수하고 견고한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작됐으며, 방진·방적 구조로 설계돼 열악한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촬영할 수 있다. 또 카메라 내부에 방열 구조를 설계해 카메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며, 약 40만 회의 셔터 내구성을 확보했다.



조작부의 개선도 있다. 그립부는 손이 작은 사용자도 잡기 쉽도록 신경 썼으며 세로 그립은 장지에서 새끼 손가락까지 걸치도록 하여 그립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세로의 M.Fn 버튼은 정 위치의 M.Fn과 같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도록 위치를 변경했다. 또한 렌즈 마운트 부근의 M.Fn 버튼과 검색 버튼에 재생/확대 축소/삭제 작업을 할당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조작성을 높이고 있다.





액정 모니터는 3.2 인치 약 162 만 화소로 EOS-1D 시리즈 최초로 터치 스크린 모니터를 채용하고 있으며 라이브 뷰 촬영시의 측거점 선택 및 확대 작업에 사용할 수 있으며 동영상 촬영 중에도 터치 포커스를 사용할 수 있다.




외형 크기는 약 158 × 167.6 × 82.6mm. 무게는 약 1,340g (본체 만), EOS-1D X Mark II는 오는 4월 출시 예정이며, 일본 가격은 부가세 별도 67 만 8,000 엔. 해외에서는 $5999. 국내 제품 가격은 아직 미정이다.



| 공식 촬영 샘플







 

캐논은 사진과 4K 영상 촬영에서 높은 성능을 갖춘 새로운 플래그십 DSLR 카메라 'EOS-1D X Mark II'를 발표했다.

EOS-1D X Mark II는 5년 만에 선보인 EOS-1D X의 후속 제품으로 빠르고 정확한 동체 추적 능력에 세계 최고 수준의 초당 최대 약 16장 의 연사, 4K 60p 영상촬영 성능으로 캐논 플래그십의 명성에 걸맞는 풀 프레임 DSLR 카메라로 거듭난 최상위 모델. 사진 전문가는 물론 전문가 영역에 들어서려는 하이 아마추어, 영상 제작분야의 프로 등 고사양의 성능을 요구하는 이들의 의견을 반영해 어떠한 촬영 현장에서도 완벽한 결과물을 완성할 수 있는 캐논의 혁신 광학 기술이 모두 집약됐다.




EOS-1D X Mark II는 갭리스 마이크로 렌즈, 미세 배선과 회로, 신규 포토 다이오드 구조 등 캐논만의 신기술이 집약된 약 2,020만 화소의 35mm 뉴 풀프레임 이미지 센서를 탑재했다. 신개발 센서는 고감도 촬영 시 노이즈와 저감도 촬영 시 암부 노이즈가 개선돼 선명하고 깨끗한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빠른 처리 속도와 전력 절약화를 실현해 새로운 사진, 영상 촬영 환경을 선사한다.






새로운 이미지 센서 기술로 더욱 완벽해진 EOS-1D X Mark II는 영상처리엔진 디직 6+(DIGIC 6+)를 2개 사용한 '듀얼 디직 6+(Dual DIGIC 6+)'를 탑재해 현존하는 DSLR 카메라 최초로 초당 최대 약 16장의 고속 연속 촬영을 실현했다. 뷰파인더 촬영 시 초당 약 14연사, 라이브 뷰 촬영 시 최대 초당 약 16 연사 속도를 확보해 올림픽과 같은 역동적인 스포츠 현장에서 최고의 장면이나 결정적인 순간을 포착하는데 발군의 성능을 발휘한다.

고속 연사시의 프레임에 대한 기본 미러 기구를 신설계로 했다. EOS-1D X는 스프링 미러 다운 있었기에 감속하지 못했지만 EOS-1D X Mark II에서는 모터 구동 미러의 감속 기구를 추가했다. 거울이 부딪히기 직전에 감속 캠에서 브레이크를 걸어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AF / AE 동작을 위해 하위 미러 충격을 없앴다. 저소음 촬영은 소프트 촬영으로 명칭을 변경. 저속 구동 소음을 부드럽게 개선한 모드에서도 최고 초당 약 5 매 연속 촬영에 대응한다.




또한 상용 감도 ISO 100~51,200을 지원하고 최대 50~409,600까지 확장 감도를 지원해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고화질의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여기에 EOS 시리즈 최초로 '디지털 렌즈 최적화(Digital Lens Optimizer)' 기능을 카메라에 탑재해 캐논의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인 'DPP(Digital Photo Professional)'에서만 가능하던 렌즈의 잔존 수차와 회절 현상을 카메라 내에서 직접 보정해 선명한 고품질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EOS-1D X Mark II는 혁신기술을 도입해 DSLR 카메라가 표현할 수 있는 영상 촬영의 범위를 확대했다. EOS 시리즈 최초로 4K 60p 영상촬영(4,096x2,160)과 초당 120프레임의 Full HD 영상촬영(1,920x1,080)을 지원해 높은 프레임 비율로 고화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4K 60p로 촬영한 고품질 영상을 손쉽게 카메라에서 스틸 이미지로 바꿀 수 있는 '4K 프레임 추출(4K Frame Grab)' 기능을 탑재했다. 또 캐논의 독자적인 기술인 '듀얼 픽셀 CMOS AF(Dual Pixel CMOS AF)'를 캐논 풀 프레임 DSLR 카메라 최초로 탑재해 라이브 뷰 또는 동영상 촬영 시 비약적으로 향상된 AF 속도에 기반한 뛰어난 동체 추적 성능을 갖췄다.



[MOV]
4K (59.94p / 50.00p) : 약 800Mbps 
4K (29.97p / 25.00p / 24.00p / 23.98p) : 약 500Mbps 
Full HD (119.9p / 100.0p) / ALL-I : 약 360Mbps 
Full HD ( 59.94p / 50.00p) / ALL-I : 약 180Mbps 
Full HD (59.94p / 50.00p) / IPB : 약 60Mbps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ALL-I : 약 90Mbps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IPB (표준) : 약 30Mbps 

[MP4] 
Full HD (59.94p / 50.00p) / IPB (표준) : 약 60Mbps 
Full HD (29.97p / 25.00p /24.00p/23.98p) / IPB (표준) : 약 30Mbps 
Full HD (29.97p / 25.00p) / IPB (경량) : 약 12Mbps 요구 카드 성능 (읽기 / 쓰기 속도)
4K (59.94p / 50.00p) : CFast 2.0 
4K (29.97p / 25.00p / 24.00p / 23.98p) : CF UDMA 7 : 100MB / s / CFast 2.0 
Full HD (119.9p / 100.0p) : CF UDMA 7 : 100MB / s / CFast 2.0 
Full HD (59.94p / 50.00p) / ALL-I : CF UDMA 7 : 60MB / s / CFast 2.0 
Full HD (59.94p / 50.00p) / IPB : 30MB / s 이상 
Full HD (29.97p / 25.00p / 24.00 p / 23.98p) / ALL-I : 30MB / s 이상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IPB (표준) : 10MB / s 
Full HD (29.97p / 25.00p) / IPB (경량) : 10MB / s



EOS-1D X Mark II는 개선된 AF알고리즘을 적용해 더욱 빠르고 정확한 피사체 포착 능력을 갖췄다. 모두 선택 가능한 61개 AF포인트가 고밀도로 배치되어 있는 '61점 고밀도 레티큘러 AF II(61-Point High Density Reticular AF II)' 시스템은 이 중 41개의 AF 포인트가 크로스로 작동돼 피사체를 포착하는데 발군의 성능을 보인다.




또 중앙부는 F2.8에 대응하는 5개의 듀얼 크로스 센서를 갖추고, 최대 61개의 AF 포인트 모두 F8에 대응해 최대 조리개가 F8인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모든 AF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AF 측거 영역이 EOS-1D X 대비 중앙부는 상하 약 8.6%, 주변부는 상하 약 24% 확대돼 보다 자유로운 구도와 정밀한 사진 촬영을 돕는다.



특히 'AI 서보 AF III 플러스(AI Servo AF III+)'를 탑재해 피사체의 속도와 방향이 갑자기 바뀌는 상황에서 AF 정밀도가 훨씬 높아졌다.'약 36만 화소 RGB+IR 측광 센서'와 '깜빡임 방지 촬영' 기능으로 촬영 시의 노출 상황에 면밀하게 대응할 수 있다.


뷰 파인더 디스플레이를 기존 모델보다 충실하게 개선시켰다. 프레임의 중앙 상단에 2축 수준기 (AF 중에서도 표시 가능), 시야의 중앙 하단에 각종 모드 설정 표시기를 마련. 노출 바는 프레임 외부의 오른쪽에만 있었지만, EOS-1D X Mark II는 하단에도 표시된다.




또한, EOS-1D Mark IV까지 있었던 AF 프레임의 적색 표시를 부활시켜 EOS iSA System (피사체 인식 측광 시스템)과 적색 자막 표시 광학계를 양립시켰다. 선택한 AF 포인트나 선택 가능한 AF 포인트가 나타나는 저조도 하에서의 프레이밍이 용이하다. 시야 밖의 표기에는 유기 EL을 채용하여 응답성과 시인성을 배려했다. 파인더 배율은 약 0.76 배. 아이 포인트는 약 20mm. 포커싱 스크린은 교환 가능 (Ec-C6 표준).



내장 GPS 기능으로 촬영한 사진에 위치 정보 기록을 액세서리 없이 가능하다. 기존의 GPS 장치 GP-E1 / GP-E2보다 정확도를 높였으며 카메라에서 로거 기능도 갖춘다. 별매 "무선 파일 트랜스미터 WFT-E8B"는 IEEE802.11a에 대응하여 통신 속도를 향상. 스마트 장치 Camera Connect'와 연계가 되며 카메라 본체에 유선 LAN기능을 갖춘다.



기존 EOS-1D X는 JPEG 촬영시 비네팅 및 색수차 보정을 실시하고 있었지만, EOS-1D X Mark II는 왜곡 보정(EOS 7D Mark II에 탑재)과 회절 보정도 가능하게 되었다. 보다 작은 조리개에서 촬영이 가능하고 DIGIC6 +의 고속 처리로 연사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 렌즈 보정 데이터는 컴퓨터의 EOS Utility에서 카메라 본체에 등록할 필요가 있어 왔으나 EOS-1D X Mark II는 주변 광량 / 색수차 / 왜곡 수차 렌즈 보정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교체 시간이 필요 없다고 한다. 향후 발매되는 렌즈 보정 데이터는 렌즈 본체로 받으면 된다.


기록 미디어는 CFast2.0와 CF의 더블 슬롯으로 연속 촬영 가능 매수는 CFast / CF 모두 JPEG는 무제한. RAW는 CFast2.0에서 170 장, UDMA7 CF에서 73 장이다. 기존 EOS-1D X(CF 만)는 JPEG로 100 매, RAW로 35 장 이었다.
exFAT 포맷에 대응하여 동영상 4GB 파일 크기 제한이 없어져 편집의 수고를 줄였다. 또한 128GB 이하의 CF는 FAT32때문에 기존대로 제한이 있다.



배터리 팩은 "LP-E19"을 부속. EOS-1D X등의 LP-E4/E4N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롭게 동봉된 충전기의 LC-E19는 기존 배터리 LP-E4/E4N을 충전할 수도 있다. 배터리 완충시 촬영 가능 매수(상온)는 뷰 파인더 촬영에서 약 1,210 매, 라이브 뷰에서 약 260 매다.



카메라 본체는 강성과 방열성이 우수하고 견고한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작됐으며, 방진·방적 구조로 설계돼 열악한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촬영할 수 있다. 또 카메라 내부에 방열 구조를 설계해 카메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며, 약 40만 회의 셔터 내구성을 확보했다.



조작부의 개선도 있다. 그립부는 손이 작은 사용자도 잡기 쉽도록 신경 썼으며 세로 그립은 장지에서 새끼 손가락까지 걸치도록 하여 그립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세로의 M.Fn 버튼은 정 위치의 M.Fn과 같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도록 위치를 변경했다. 또한 렌즈 마운트 부근의 M.Fn 버튼과 검색 버튼에 재생/확대 축소/삭제 작업을 할당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조작성을 높이고 있다.





액정 모니터는 3.2 인치 약 162 만 화소로 EOS-1D 시리즈 최초로 터치 스크린 모니터를 채용하고 있으며 라이브 뷰 촬영시의 측거점 선택 및 확대 작업에 사용할 수 있으며 동영상 촬영 중에도 터치 포커스를 사용할 수 있다.




외형 크기는 약 158 × 167.6 × 82.6mm. 무게는 약 1,340g (본체 만), EOS-1D X Mark II는 오는 4월 출시 예정이며, 일본 가격은 부가세 별도 67 만 8,000 엔. 해외에서는 $5999. 국내 제품 가격은 아직 미정이다.



| 공식 촬영 샘플







 

SPEC

출시일자 2016-02-02
카메라 구분 렌즈교환식(DSLR)
센서 규격 35mm Full Frame
이미지 센서 센서크기 : 35.9 × 23.9mmmm, 센서 형태 : CMOS
3 : 2
이미지 화소 총 화소수 : 2150만 화소, 유효화소수 : 2020 만 화소
이미지 사이즈 비율 : 3:2, 최대 크기 : 5472 × 3648 픽셀
L (라지) : 약 2000 만 (5472 × 3648) 화소
M1 (미들 1) : 약 1270 만 (4368 × 2912) 화소
M2 (미들 2) : 약 890 만 (3648 × 2432 화소)
S (스몰) : 약 500 만 (2736 × 1824) 화소
RAW (로우) : 약 2000 만 (5472 × 3648) 화소
M-RAW : 약 1120 만 (4104 × 2736) 화소
S-RAW : 약 500 만 (2736 × 1824) 화소
이미지 기록방식 JPEG, RAW (14bit 캐논 독자)
RAW + JPEG 동시 기록 가능
감도설정(ISO) ISO 50 ~ ISO 409600
ISO 자동, ISO 100 ~ 51200 임의 설정 (1 / 3, 1 단 단계)
L (ISO 50 상당), H1 (ISO102400 상당), H2 (ISO204800 상당), H3 (ISO409600 상당)의 감도 확장 가능
손떨림 보정 렌즈 보정방식
동영상 압축 포맷 : 4K : Motion JPEG Full HD : MPEG-4 AVC / H.264 가변 (평균) 비트율 방식, 파일 형태 : MOV, MP4
최대사이즈 : 4096 × 2160, 프레임 : 60p
[MOV]
4K (59.94p / 50.00p) : 약 800Mbps
4K (29.97p / 25.00p / 24.00p / 23.98p) : 약 500Mbps
Full HD (119.9p / 100.0p) / ALL-I : 약 360Mbps
Full HD ( 59.94p / 50.00p) / ALL-I : 약 180Mbps
Full HD (59.94p / 50.00p) / IPB : 약 60Mbps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ALL-I : 약 90Mbps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IPB (표준) : 약 30Mbps

[MP4]
Full HD (59.94p / 50.00p) / IPB (표준) : 약 60Mbps
Full HD (29.97p / 25.00p /24.00p/23.98p) / IPB (표준) : 약 30Mbps
Full HD (29.97p / 25.00p) / IPB (경량) : 약 12Mbps 요구 카드 성능 (읽기 / 쓰기 속도)
4K (59.94p / 50.00p) : CFast 2.0
4K (29.97p / 25.00p / 24.00p / 23.98p) : CF UDMA 7 : 100MB / s / CFast 2.0
Full HD (119.9p / 100.0p) : CF UDMA 7 : 100MB / s / CFast 2.0
Full HD (59.94p / 50.00p) / ALL-I : CF UDMA 7 : 60MB / s / CFast 2.0
Full HD (59.94p / 50.00p) / IPB : 30MB / s 이상
Full HD (29.97p / 25.00p / 24.00 p / 23.98p) / ALL-I : 30MB / s 이상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IPB (표준) : 10MB / s
Full HD (29.97p / 25.00p) / IPB (경량) : 10MB / s
손떨림 보정 방식 : 렌즈 OIS, 녹음 사운드 : 스테레오
촬영모드
셔터 스피드 1 / 8000 ~ 30 초, 벌브
초점 측거점 : 최대 61 점 (크로스 측 거점 : 최대 41 점)
포커스 동작 : 원샷 AF, AI 서보 AF, 수동 (MF)
측거 영역 선택 모드 : 스팟 1 점 AF (선택) 1 점 AF (선택) 영역 확대 AF (선택 상하 좌우) 영역 확대 AF (선택적 주변), 존 AF (영역 선택) 대형 존 AF (영역 선택 선택) 자동 선택 AF

측광방식 약 36 만 화소 RGB + IR 측광 센서 사용 216 분할 TTL 개방 측광
EOS iSA (Intelligent Subject Analysis) 시스템

평가 측광 (모든 AF 포인트에 연동)
부분 측광 (중앙에서 뷰 파인더의 약 6.2 %)
스팟 측광 (중앙에서 뷰 파인더의 약 1.5 %) ※ 측 거점 연동 스팟 측광 멀티 스팟 측광 가능
중앙부 중점 평균 측광
노출 보정 ± 5EV 범위 1 / 3, 1 / 2 단 스텝
화이트밸런스 오토 (분위기 우선), 자동 (화이트 우선) 프리셋 (태양 광, 그늘, 흐림, 백열등, 백색 형광등, 플래시), 수동 (5 건), 색온도 지정 (2500 ~ 10000K),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 (5 건), 화이트 밸런스 보정, 화이트 밸런스 브라케팅 가능
연사성능 [고속 연속 촬영]
파인더 촬영시 : 최대 약 14.0 프레임 / 초 (14 ~ 2 프레임 / 초로 설정 가능)
라이브 뷰 촬영시 : 최대 약 16.0 프레임 / 초 (16, 14 ~ 2 프레임 / 초로 설정 가능)

저속 연속 촬영 : 약 3.0 매 / 초 (13 ~ 1 프레임 / 초로 설정 가능)
소프트 고속 연속 촬영 : 최대 약 5.0 매 / 초 (5 ~ 2 프레임 / 초로 설정 가능)
소프트 저속 연속 촬영 : 최대 약 3.0 프레임 / 초 (4 ~ 1 프레임 / 초로 설정 가능)


[연속 촬영 가능 매수]
(JPEG 라지)
CF 카드 : 표준 : 약 140 장 / 고속 : Full
CFast 카드 : Full

(RAW)
CF 카드 : 표준 : 약 59 매 / 고속 : 약 73 매
CFast 카드 : 약 170 매

(RAW + JPEG 라지)
CF 카드 : 표준 : 약 48 매 / 고속 : 약 54 매
CFast 카드 : 약 81 매
셀프타이머 10초, 2초
인터페이스 디지털 단자 : SuperSpeed USB (USB3.0) PC 통신, 연결 스테이션 CS100 연결
HDMI 미니 출력 단자 : 타입 C (해상도 자동 전환), CEC 대응
외부 마이크 입력 / 라인 입력 단자 : Φ3.5mm 스테레오 미니 잭
헤드폰 단자 : Φ3.5mm 스테레오 미니 잭
리모콘 단자 : N3 타입의 리모콘에 대응
확장 시스템 단자 : 무선 파일 트랜스미터 WFT-E8B / WFT-E6B 연결
이더넷 단자 : RJ-45 단자, 기가비트 이더넷 지원


[GPS 기능]
대응 위성 : GPS 위성 (미국), GLONASS 위성 (러시아), 준 천정 위성 미치 비키 (일본)
GPS 신호 수신 모드 : 모드 1, 모드 2
사진에 위치 정보 추가 : 위도, 경도, 고도, 협정 세계시 (UTC), 위성 포착 상태
위치 정보의 갱신 간격 : 1/5/10/15/30 초 간격, 1 / 2 / 5 분 간격
시간 맞춤 : GPS 시간 데이터를 카메라에 설정
로그 데이터 : NMEA 포맷 1 일 1 파일 생성
뷰파인더 지원 형태 : 바디내장 광학식, 펜타 프리즘 사용, 아이 레벨 식
시야율 : 상하 / 좌우 모두 약 100 % (아이 포인트 약 20mm시)
배율 : 약 0.76 배 (50mm 렌즈 · ∞ · -1m -1 )
아이 포인트 : 약 20mm (-1m -1 시 / 접안 렌즈 중심에서)
시도 조정 범위 : 약 -3.0 ~ + 1.0m -1 (dpt)
아이피스 : 내장
포커싱 스크린: Ec-C6 표준 장비 교체 가능
그리드 표시: 가능
수준기 표시: 가능
기능 설정 표시 : 이
LCD 액정 형태 : TFT LCD
방식 : 고정식, 터치조작 지원 , LCD 크기 : 3.2인치, LCD 화소 : 1,620,000화소, 시야율 : 100%
정전식 터치 지원 : 라이브 뷰 촬영, 동영상 촬영시 AF 프레임 이동 (AF 가능) 확대 표시
저장매체 CF 카드 (Type I 준거, UDMA 모드 7 대응)
CFast 카드 (CFast 2.0)
배터리 종류 : 리튬 이온 배터리 팩 LP-E19 / LP-E4N / LP-E4
파인더 촬영 : 상온 (+ 23 ℃) 약 1210 장 / 저온 (0 ℃) 약 1020 매
라이브 뷰 촬영 : 상온 (+ 23 ℃) 약 260 장 / 저온 (0 ℃) 약 240 매
※ 충전 배터리 팩 LP-E19 사용시
외형 크기 : 158.0 × 167.6 × 82.6 mm, 무게 : 1340 g
접기 덧글 3 접기
SNS 로그인

이전글 다음글 목록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