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말하는대로 2016-06-24 02:14 제가 링크를 건 내용을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최근 2년 8개월동안의 신고된 자료를 분석한 글입니다.
총 5500건중에 60%가 성범죄입니다. 중요한건 신고된 건수만 접수된것이고, 다른 범죄에 비해서 지하철에서 성추행등의 범죄는 신고되지 않는 경우도 많을것 같네요.
(다른 보고서를 보니 신고 비율이 엄청 낮게 나오네요. )
하지만 말씀하신데로 이게 남녀분리를 주장하기에는 충분하지는 않을수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건 방법론이니까요. 비율과 하등의 상관없는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여기서 우리가 인식해야할것은 꽤 많은 성범죄가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남자가 많다고 생각한다는 저의 말이 추측일뿐 데이타가 아니라고 하셨는데요. 사실 이걸 굳이 논해야 되는게 개인적으로는 이해가 되진 않지만 그냥 찾아봤습니다.
제가 자료 검색을 잘하는 편이 아니라 그냥 구글에다 "지하철성범죄남여비율" 이라고 검색했더니 2013년 여성부에서 내놓은 자료가 하나 있어서 읽어봤습니다.
(여성부라 신빙성이 떨어진다면 할순 없지만 제가 살펴보기에는 일반적인 조사형태로 이루어진것으로 보입니다.)
자료가 길지 않아서 대충 읽어보니 몇가지 대목이 나옵니다.
성폭력을 여러종류로 나누었을때 가벼운 성추행의 경우 여성의 70%가 넘는 비율이 대중교통이라는 조사결과가 있구요. 일부 항목은 여성만 해당되는것들도 있습니다.
(심한성추행, 강간등..)
그리고 성폭력 후 느끼는 휴우증에 신변안전에 대한 두려움이 여성의 경우 상당히 높은 비율로 나타나지만 남성의 경우는 매우 낮았다는것입니다.
신고율도 상당히 낮네요. 그런데 재미있는건 남성이든 여성이든 신고율은 모두 낮은데 이유가 남자의 경우에는 그게 성추행인지 몰라서 라는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왔네요.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는데 굳이 말씀 안드려도 짐작하시리가 생각됩니다.
그리고 같은 데이타를 가지고 해석하기에 따라 다른 주장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제가 링크한 자료를 보시고, 어떤 해석이 가능한지 알려주실수있을까요?
또 한가지 하루평균 6건 (신고건수만입니다.)은 큰 문제가 되는 수치일까요? 아닐까요? 물론 서울의 얘기라 부산은 다르다고 주장하신다면 뭐 할말은 없습니다.
부산쪽 데이타는 못찾겠네요. 비슷하지 않을까 가정하는것이니까요. 이걸로 아니다라고 주장하시면 그냥 제가 졌습니다.
제가 좀더 능력이 있다면 더 많은 자료들을 찾아볼수있겠지만 여기까지만 해야할것 같네요.
총 5500건중에 60%가 성범죄입니다. 중요한건 신고된 건수만 접수된것이고, 다른 범죄에 비해서 지하철에서 성추행등의 범죄는 신고되지 않는 경우도 많을것 같네요.
(다른 보고서를 보니 신고 비율이 엄청 낮게 나오네요. )
하지만 말씀하신데로 이게 남녀분리를 주장하기에는 충분하지는 않을수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건 방법론이니까요. 비율과 하등의 상관없는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여기서 우리가 인식해야할것은 꽤 많은 성범죄가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남자가 많다고 생각한다는 저의 말이 추측일뿐 데이타가 아니라고 하셨는데요. 사실 이걸 굳이 논해야 되는게 개인적으로는 이해가 되진 않지만 그냥 찾아봤습니다.
제가 자료 검색을 잘하는 편이 아니라 그냥 구글에다 "지하철성범죄남여비율" 이라고 검색했더니 2013년 여성부에서 내놓은 자료가 하나 있어서 읽어봤습니다.
(여성부라 신빙성이 떨어진다면 할순 없지만 제가 살펴보기에는 일반적인 조사형태로 이루어진것으로 보입니다.)
자료가 길지 않아서 대충 읽어보니 몇가지 대목이 나옵니다.
성폭력을 여러종류로 나누었을때 가벼운 성추행의 경우 여성의 70%가 넘는 비율이 대중교통이라는 조사결과가 있구요. 일부 항목은 여성만 해당되는것들도 있습니다.
(심한성추행, 강간등..)
그리고 성폭력 후 느끼는 휴우증에 신변안전에 대한 두려움이 여성의 경우 상당히 높은 비율로 나타나지만 남성의 경우는 매우 낮았다는것입니다.
신고율도 상당히 낮네요. 그런데 재미있는건 남성이든 여성이든 신고율은 모두 낮은데 이유가 남자의 경우에는 그게 성추행인지 몰라서 라는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왔네요.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는데 굳이 말씀 안드려도 짐작하시리가 생각됩니다.
그리고 같은 데이타를 가지고 해석하기에 따라 다른 주장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제가 링크한 자료를 보시고, 어떤 해석이 가능한지 알려주실수있을까요?
또 한가지 하루평균 6건 (신고건수만입니다.)은 큰 문제가 되는 수치일까요? 아닐까요? 물론 서울의 얘기라 부산은 다르다고 주장하신다면 뭐 할말은 없습니다.
부산쪽 데이타는 못찾겠네요. 비슷하지 않을까 가정하는것이니까요. 이걸로 아니다라고 주장하시면 그냥 제가 졌습니다.
제가 좀더 능력이 있다면 더 많은 자료들을 찾아볼수있겠지만 여기까지만 해야할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