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솜n 2015-09-09 18:21 딱히 방법이 있는것은 아니지만은 감도 설정은 최대한 기본 감도가 좋습니다. 대부분의 사진기들의 기본감도는 100부터 시작합니다. 그래서 iso를 100에 놓고 사용하시는데요 D810의 경우 64가 기본이기에 64에 놓으시면 됩니다. 참고로 감도가 높아질수록 카메라가 받는 빛의 양이 증가합니다. 그래서 별 사진등을 찍을때는 감도를 1600에서 6400까지 올릴때도 있습니다.
노출보정은 어두운것을 어둡게 밝은것을 밝게 찍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야경의 경우 주위가 어둡기에 ev -1이나 -0.7등 여러장 찍어보시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야경의 대부분은 전체 배경을 쨍하게 만들기 위해서 팬포커스로 촬영을 합니다. 초점은 1/3 지점에 놓으시고 F값을 8~13 많게는 16도 넣으셔도 됩니다만 보통은 8~11의 값을 많이 씁니다.
그리고 삼각대 사용시 VR사용은 꺼주셔야됩니다. 삼각대에 고정시켜놓고 렌즈 VR키면 오히려 흔들린 사진이 나옵니다.
D810에는 전자막셔터기능이 있기에 셔터막 진동을 잡기에는 좋습니다. 그리고 릴리즈 사용하시면 되구요 없으면 3초후 찍기라든가 그런 기능등이 있으니 쓰시면 되구요 마지막으로 데크위에서 찍으실경우 조심하셔야됩니다. 데크에서 움직이면 바로 진동이 생기므로 조심하셔야 됩니다.
노출보정은 어두운것을 어둡게 밝은것을 밝게 찍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야경의 경우 주위가 어둡기에 ev -1이나 -0.7등 여러장 찍어보시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야경의 대부분은 전체 배경을 쨍하게 만들기 위해서 팬포커스로 촬영을 합니다. 초점은 1/3 지점에 놓으시고 F값을 8~13 많게는 16도 넣으셔도 됩니다만 보통은 8~11의 값을 많이 씁니다.
그리고 삼각대 사용시 VR사용은 꺼주셔야됩니다. 삼각대에 고정시켜놓고 렌즈 VR키면 오히려 흔들린 사진이 나옵니다.
D810에는 전자막셔터기능이 있기에 셔터막 진동을 잡기에는 좋습니다. 그리고 릴리즈 사용하시면 되구요 없으면 3초후 찍기라든가 그런 기능등이 있으니 쓰시면 되구요 마지막으로 데크위에서 찍으실경우 조심하셔야됩니다. 데크에서 움직이면 바로 진동이 생기므로 조심하셔야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