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u the Lens 2016-04-23 12:20 예산이 150-200이면 할 수 있는게 엄청 많네요... 단기간에 빨리 좋은 사진을 얻으려 하시면 아마도 다른 장비만 계속 들이실 듯 합니다.
흠 저라면 제일 먼저 좋은 모니터와 캘리브레이터를 구입할 것 같습니다. 최근 나온 바디치고 RAW 파일의 보정 관용도가 딱히 나쁘게 나오는 경우도 드물고 로파일을 보정하실 줄 알면 보정 후 사진은 꽤 비슷해집니다. 제 자신도 로파일에서 아직도 많은 것을 배우고 있는데, 게시판을 보면 로파일 관용도의 절반도 못 사용하는게 대다수 인 것 같습니다. (시간이 없으시거나 귀찮으시면 제외)
그 다음엔 렌즈인데, 카메라 가격은 수직낙하하는데 렌즈 값은 천천히 내려가는 것을 보면 바디보다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후지 마운트에 자이스 zm 렌즈를 이종교배로 하면 좋을 것 같은데, 아이 사진에 빠른 자동 초점이 필요하시면 이것도 제외입니다. 그런 경우엔 좋아하시는 화각의 단렌즈 하나를 추천드립니다.
그 다음이 카메라 바디 같습니다, 35mm 판형과 aps-c은 익숙해지기 나름이지만 35mm에서 aps-c로 돌아가기 힘든 걸 보면 큰 판형에서 작은 것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힘들어 보입니다. 카메라 바디는 최신 제품이 좋긴한데, 무엇을 원하시냐에 따라 가격대도 차이가 많고, 성능도 차이가 많아서 보급기 DSLR이면 그냥 미러리스가 더 나은 것 같고, 기계적인 성능이 중요시하면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
흠 저라면 제일 먼저 좋은 모니터와 캘리브레이터를 구입할 것 같습니다. 최근 나온 바디치고 RAW 파일의 보정 관용도가 딱히 나쁘게 나오는 경우도 드물고 로파일을 보정하실 줄 알면 보정 후 사진은 꽤 비슷해집니다. 제 자신도 로파일에서 아직도 많은 것을 배우고 있는데, 게시판을 보면 로파일 관용도의 절반도 못 사용하는게 대다수 인 것 같습니다. (시간이 없으시거나 귀찮으시면 제외)
그 다음엔 렌즈인데, 카메라 가격은 수직낙하하는데 렌즈 값은 천천히 내려가는 것을 보면 바디보다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후지 마운트에 자이스 zm 렌즈를 이종교배로 하면 좋을 것 같은데, 아이 사진에 빠른 자동 초점이 필요하시면 이것도 제외입니다. 그런 경우엔 좋아하시는 화각의 단렌즈 하나를 추천드립니다.
그 다음이 카메라 바디 같습니다, 35mm 판형과 aps-c은 익숙해지기 나름이지만 35mm에서 aps-c로 돌아가기 힘든 걸 보면 큰 판형에서 작은 것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힘들어 보입니다. 카메라 바디는 최신 제품이 좋긴한데, 무엇을 원하시냐에 따라 가격대도 차이가 많고, 성능도 차이가 많아서 보급기 DSLR이면 그냥 미러리스가 더 나은 것 같고, 기계적인 성능이 중요시하면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