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프짱™ 2016-01-26 15:26 < 컨트라스트AF + DFD AF >
- 파나소닉은 왜 상면위상차AF 채용을 하지 않는가?
컨트AF쪽이 촛점 정확도가 높다고 생각. 상면 위상차 AF는 위상차 화소의 화소 보간이 필요하므로, 보간처리를 하고 있다고 해도 화질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없음. 또한, 상면위상차 화소 보간처리도 앞으로의 고해상도화, 고속 프레임화를 생각하면, 시간적으로 처리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생각되므로, 다음 세대를 본다면 컨트AF의 약점을 DFD AF로 보충하는 형태가 낫다고 생각.
DFD AF의 장점은 센서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FF에서도 더작은 크기의 센서에서도 적용이 가능.
- 그러나 렌즈의 보케테이블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자나?
그렇죠. 렌즈마다 방대한 보케데이터가 카메라와 렌즈에 저장되어 있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DFD AF를 실시. 마포 규격의 Lumix 렌즈라면 대부분의 렌즈가 대응. 또한 G7에서 하지만, DFD AF기술을 응용하여 타사의 마포렌즈 사용시에도 더욱 부드럽고 빠른 AF를 실현.
----------------------------------------------------------------------------------------------------------------------
메이커 직격인터뷰에서 퍼왔습니다. 파나가 컨트+DFD를 고집하는건 단순히 자존심때문은 아니죠.
20MP센서에서도 전화소읽어오기를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1:1로 4K영상을 읽어와야 하는데 거기에다가 위상차 픽셀까지 넣어서 IQ손실까지 줄수는 없다가 이유입니다.
DFD AF자체가 특허도 오래되었고, 파나 고유 특허기술도 아니며, 이번에 처음 도입한것일 뿐입니다. 게다가 약점도 떠앉은채 말입니다.
- 파나소닉은 왜 상면위상차AF 채용을 하지 않는가?
컨트AF쪽이 촛점 정확도가 높다고 생각. 상면 위상차 AF는 위상차 화소의 화소 보간이 필요하므로, 보간처리를 하고 있다고 해도 화질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없음. 또한, 상면위상차 화소 보간처리도 앞으로의 고해상도화, 고속 프레임화를 생각하면, 시간적으로 처리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생각되므로, 다음 세대를 본다면 컨트AF의 약점을 DFD AF로 보충하는 형태가 낫다고 생각.
DFD AF의 장점은 센서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FF에서도 더작은 크기의 센서에서도 적용이 가능.
- 그러나 렌즈의 보케테이블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자나?
그렇죠. 렌즈마다 방대한 보케데이터가 카메라와 렌즈에 저장되어 있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DFD AF를 실시. 마포 규격의 Lumix 렌즈라면 대부분의 렌즈가 대응. 또한 G7에서 하지만, DFD AF기술을 응용하여 타사의 마포렌즈 사용시에도 더욱 부드럽고 빠른 AF를 실현.
----------------------------------------------------------------------------------------------------------------------
메이커 직격인터뷰에서 퍼왔습니다. 파나가 컨트+DFD를 고집하는건 단순히 자존심때문은 아니죠.
20MP센서에서도 전화소읽어오기를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1:1로 4K영상을 읽어와야 하는데 거기에다가 위상차 픽셀까지 넣어서 IQ손실까지 줄수는 없다가 이유입니다.
DFD AF자체가 특허도 오래되었고, 파나 고유 특허기술도 아니며, 이번에 처음 도입한것일 뿐입니다. 게다가 약점도 떠앉은채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