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르방 2017-01-09 21:42 1. 센서크기의 차이는 영상에서 크게 어떻게 작용하나요?
영상의 경우로만 말씀드리자면 사실 큰 센서가 유리한 이유는
심도 확보와 야간 및 실내촬영에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아마추어 단편영화 촬영시 실내 촬영만 하더라도
생각보다 조명을 많이 쳐야 한다는걸 알 수 있는데
실제적으로 시간대비 조명과 스텝 및 예산 부족으로 인해 ㅠㅠ
두명이서 북치고 장구치고 한적도 많았네요... 암튼...
ISO를 높이고 조리개를 개방하게 되고 이는 얕은 심도로 이어져
포커스가 잘 나가는 어려움이 생기게 됩니다.
물론 심도를 얕게 확보해야 하는 장면도 있겠지만
필요이상으로 심도가 얕아져 버리는 경우도 생깁니다.
모든 장면이 심도가 얕으면 얼마나 답답할까요/...
포커스를 잘 맞추기 위해서 많은 조명을 설치할 것이냐
아니면 밝은 렌즈와 좀더 큰 센서를 사용할 것이냐로 이어집니다.
이는 예산과 스텝 시간으로 이어지고 뭐 그렇습니다..
그리고 영상에서의 스트레스는 암부 노이즈가 아닐까 하네요...
여기서 작은 센서는 큰센서에 비해서 암부 노이즈가 많아지게 되고..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서 ISO를 낮춰야 하는데 그럼 조명을 더 쳐야하고..
비싼 렌즈를 대여해야하고 뭐 계속 문제가 이어집니다 ....
그래서 같은 밝기 대비 적절한 심도와 더 적은 노이즈를 위해서
좀더 큰 센서를 사용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2. 위 세 기종중 가장 사진이 잘 나오는(나올것같은) 기종은 무엇인가요?
물론, 줌렌즈 12-35 정도 기준으로요
사진이 잘 나온다는 기준은 어디에 있을까요...ㅎ
저는 한때 DP2m시절 힘들고 한장한장 노력해서 찍었던 사진이
정말 좋았던 사진을 많이 건질수있었던거 같은데...
지금이야 저는 GX85 쓰는 유저지만 이것도 약간 무거워서
매번 들고다니가 좀 그렇게 되네요 ㅠㅠ
예상에는 GH5는 더 무거워서 만만치 않을듯 하고...
하지만 GH5가 스펙상으로는 더 유리할듯 하네요
3. 파나소닉 기종 중 사진이 가장 잘 나오는 기종은 어떤것인가요?
사실 마포 센서에서는 고만고만 하나고 봅니다.
그것보다 저는 인물 색감을 우선으로 보는데
일단 GX85 써보니 만족스럽네요
예전의 그 시체색감이 많이 없어진 느낌이랄까요..(여전이 있지만)
4. 영상/사진을 다 커버할 수 있는 카메라는 어떤것이 있을까요?(바디기준 200이하)
저도 늘 그런고민을 하는데
영상과 사진 다 잘되는건 없을까...하구요..
A7R2를 현존하는 가장 완벽한 바디라 생각했지만
일본촬영때 보였던 야간 노이즈가 생각보다 심각했고
사실 가격이 비싸서....
현재로서는 A6300이나 A6500급이 나을듯 하네요
GH5는 사실 영상에 좀더 치중한 모델이라는 느낌이 드네요
그렇지만 무제한 4k 영상촬영이가능하다니...ㅎㄷㄷ
그래서 GH5는 좀 매력적이긴 합니다.
영상의 경우로만 말씀드리자면 사실 큰 센서가 유리한 이유는
심도 확보와 야간 및 실내촬영에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아마추어 단편영화 촬영시 실내 촬영만 하더라도
생각보다 조명을 많이 쳐야 한다는걸 알 수 있는데
실제적으로 시간대비 조명과 스텝 및 예산 부족으로 인해 ㅠㅠ
두명이서 북치고 장구치고 한적도 많았네요... 암튼...
ISO를 높이고 조리개를 개방하게 되고 이는 얕은 심도로 이어져
포커스가 잘 나가는 어려움이 생기게 됩니다.
물론 심도를 얕게 확보해야 하는 장면도 있겠지만
필요이상으로 심도가 얕아져 버리는 경우도 생깁니다.
모든 장면이 심도가 얕으면 얼마나 답답할까요/...
포커스를 잘 맞추기 위해서 많은 조명을 설치할 것이냐
아니면 밝은 렌즈와 좀더 큰 센서를 사용할 것이냐로 이어집니다.
이는 예산과 스텝 시간으로 이어지고 뭐 그렇습니다..
그리고 영상에서의 스트레스는 암부 노이즈가 아닐까 하네요...
여기서 작은 센서는 큰센서에 비해서 암부 노이즈가 많아지게 되고..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서 ISO를 낮춰야 하는데 그럼 조명을 더 쳐야하고..
비싼 렌즈를 대여해야하고 뭐 계속 문제가 이어집니다 ....
그래서 같은 밝기 대비 적절한 심도와 더 적은 노이즈를 위해서
좀더 큰 센서를 사용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2. 위 세 기종중 가장 사진이 잘 나오는(나올것같은) 기종은 무엇인가요?
물론, 줌렌즈 12-35 정도 기준으로요
사진이 잘 나온다는 기준은 어디에 있을까요...ㅎ
저는 한때 DP2m시절 힘들고 한장한장 노력해서 찍었던 사진이
정말 좋았던 사진을 많이 건질수있었던거 같은데...
지금이야 저는 GX85 쓰는 유저지만 이것도 약간 무거워서
매번 들고다니가 좀 그렇게 되네요 ㅠㅠ
예상에는 GH5는 더 무거워서 만만치 않을듯 하고...
하지만 GH5가 스펙상으로는 더 유리할듯 하네요
3. 파나소닉 기종 중 사진이 가장 잘 나오는 기종은 어떤것인가요?
사실 마포 센서에서는 고만고만 하나고 봅니다.
그것보다 저는 인물 색감을 우선으로 보는데
일단 GX85 써보니 만족스럽네요
예전의 그 시체색감이 많이 없어진 느낌이랄까요..(여전이 있지만)
4. 영상/사진을 다 커버할 수 있는 카메라는 어떤것이 있을까요?(바디기준 200이하)
저도 늘 그런고민을 하는데
영상과 사진 다 잘되는건 없을까...하구요..
A7R2를 현존하는 가장 완벽한 바디라 생각했지만
일본촬영때 보였던 야간 노이즈가 생각보다 심각했고
사실 가격이 비싸서....
현재로서는 A6300이나 A6500급이 나을듯 하네요
GH5는 사실 영상에 좀더 치중한 모델이라는 느낌이 드네요
그렇지만 무제한 4k 영상촬영이가능하다니...ㅎㄷㄷ
그래서 GH5는 좀 매력적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