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07 05:52 1. 네. 부정하려는게 아니구요, 다만 그런쪽에서의 사정은 AVC-INTRA나 FS7의 XAVC에서도 마찬가지라는 말입니다. 다만 Cinema5D의 비교대상이었던 FS7은 비슷한사정에서도 훨씬 뛰어난 퀄리티를 보여줬으니, 단순 코덱만의 문제로 치부하긴 어렵다는 이야기죠.
2. GH4는 당연히 다릅니다. 한번도 GH4의 코덱이 AVC-INTRA와 같다고 한적이 없는데... 라고 적었었는데 저위에 AVC ULTRA와 GH4가 같다고 적어놨군요;;; 편집중에 댓글달다가 실수한듯합니다. 제가 말하는건 GH5에 추가될 1080P 200Mbps 10bit코덱을 말하는겁니다.
dvx200과 파나캠에 사용된 해당코덱은 wrapper를 제외한 모든게 AVC-INTRA CLASS200 10bit에 훨씬 가깝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AVC-INTAR CLASS200 10bit는 60p촬영시 비트레이트가 450Mbps정도로 부스트된다는것이고, DVX200에 쓰인 녀석은 60p도 200Mbps라는 정도일까요. 그외 코덱, 레벨, 프로파일, 인트라프레임방식등은 쌍둥이입니다. XAVC-S랑은 다릅니다.
V-Log L은 10bit까지만 대응하며 12stop의 다이나믹레인지를 가진다는게 차이점이죠. 일단 오리지널 V-Log를 장착한 Varicam에 비해선 센서의 다이나믹 레인지도 차이가 많이 나고, 코덱자체가 10bit를 넘기지 못하기때문에 이건 당연한거라고봅니다. A7S의 경우는 참 변태적인게, 스펙이나 코덱은 별볼일없지만 센서의 순수화질과 신호대잡음비가 월등히 좋아서 많은 부분이 커버되는 케이스죠.
2017-03-07 05:50 신고
2. GH4는 당연히 다릅니다. 한번도 GH4의 코덱이 AVC-INTRA와 같다고 한적이 없는데... 라고 적었었는데 저위에 AVC ULTRA와 GH4가 같다고 적어놨군요;;; 편집중에 댓글달다가 실수한듯합니다. 제가 말하는건 GH5에 추가될 1080P 200Mbps 10bit코덱을 말하는겁니다.
dvx200과 파나캠에 사용된 해당코덱은 wrapper를 제외한 모든게 AVC-INTRA CLASS200 10bit에 훨씬 가깝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AVC-INTAR CLASS200 10bit는 60p촬영시 비트레이트가 450Mbps정도로 부스트된다는것이고, DVX200에 쓰인 녀석은 60p도 200Mbps라는 정도일까요. 그외 코덱, 레벨, 프로파일, 인트라프레임방식등은 쌍둥이입니다. XAVC-S랑은 다릅니다.
V-Log L은 10bit까지만 대응하며 12stop의 다이나믹레인지를 가진다는게 차이점이죠. 일단 오리지널 V-Log를 장착한 Varicam에 비해선 센서의 다이나믹 레인지도 차이가 많이 나고, 코덱자체가 10bit를 넘기지 못하기때문에 이건 당연한거라고봅니다. A7S의 경우는 참 변태적인게, 스펙이나 코덱은 별볼일없지만 센서의 순수화질과 신호대잡음비가 월등히 좋아서 많은 부분이 커버되는 케이스죠.
2017-03-07 05:50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