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D를 계속 쓰는 이유: 꾸준히 피드백 하는 방식 때문에 컨트라스트 AF가 정확도 면에서 가장 좋은 AF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에 피사체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DFD를 합치면 위상차보다 정확도가 높다고 생각한다. 덧붙여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어느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싶은지 인식함으로써 우리의 하이브리드 방식은 타사에 뒤쳐지지 않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직원들에게도 말하지만 자동초점은 어떤 수단을 쓰느냐가 아니라 고객이 찍고 싶은 피사체에 빠르고 정확하게 맞추는 게 전부이기 때문에 어떤 방식을 쓰는가에 집착하진 않습니다. 앞으로 여러 방식을 검토해서 그때그때 가장 적절한 걸 조합해서 최적의 초점을 위해 앞으로도 진화시켜 나갈 생각입니다.
라이카와 시그마도 DFD를 지원할 것인가: 라이카와 시그마의 렌즈를 써도 DFD는 잘 작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안심하고 써 주십시오.
DFD를 계속 쓰는 이유: 꾸준히 피드백 하는 방식 때문에 컨트라스트 AF가 정확도 면에서 가장 좋은 AF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에 피사체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DFD를 합치면 위상차보다 정확도가 높다고 생각한다. 덧붙여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어느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싶은지 인식함으로써 우리의 하이브리드 방식은 타사에 뒤쳐지지 않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직원들에게도 말하지만 자동초점은 어떤 수단을 쓰느냐가 아니라 고객이 찍고 싶은 피사체에 빠르고 정확하게 맞추는 게 전부이기 때문에 어떤 방식을 쓰는가에 집착하진 않습니다. 앞으로 여러 방식을 검토해서 그때그때 가장 적절한 걸 조합해서 최적의 초점을 위해 앞으로도 진화시켜 나갈 생각입니다.
라이카와 시그마도 DFD를 지원할 것인가: 라이카와 시그마의 렌즈를 써도 DFD는 잘 작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안심하고 써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