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이 2010-06-05 09:06 아마도 측광만 놓고 볼때 사진에서 측광이 차지하는 부분이 1,2등을 다투지 않을까 싶어요... 구도, 측광, 감성 등등... (중요한게 참 많네요 ㅋ)
측광을 간단하게 글 몇자로 설명하기는 쉽지 않을것 같아요 그만큼 어렵기도 하고 (중요한건 제가 전문가가 아니라는 ㅋ _ _;;)
(가장 좋은건 측광에 관한 강좌 같은것을 보면서 배워보시는게 일단은 좋을것 같아요 ^^)
야외에서 광량이 많을때 멀티측광을 하게되면 인물 촬영을 한다고 가정할때 주로 인물이 너무 어둡게 나오는 경우가 곧잘 발생할겁니다.
너무 광량이 좋을땐 사실 멀티 측광이나 스팟 측광등에 상관없이 사진찍는 진사의 노하우나 ND필터 등으로 광량을 줄여주는것이 일단은
빠르고 효과적일겁니다.
다만 광량이 많아서 야외 인물사진이 어둡게나오는 위와같은 경우라면 스팟측광이나 중앙부 측광방식을 선택해서 어느정도 해결을 볼 수
있는데요 (이경우 뒷배경이 하얗게 혹은 생각 이상으로 밝게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광량에 따라서 어찌하지 못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스팟 측광을 이용해서 인물의 얼굴중에서 가장 잘 보였으면 하는 부분에 반셔터를 맞추시면 그 순간 측광이 되겠죠? 보통 인물사진은 눈에
포커싱을 맞추고, 눈 부분이 어두운 부분이기도 하니 얼굴은 적당한 노출값을 가지게 설정될겁니다. (참 A 모드등을 사용할때 이야기 겠네
요.. M 모드라면 진사의 경험과 손놀림에 따라서 더 빠를수도 있더라고요 몇몇 고수분들을 보니... ^^)
보통 멀티측광은 사진 전체에서 밝기를 조절하다보니 아주 밝은곳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어두운 곳들이 더 어두워 지게 됩니다. 밝은곳을
표현하기 위해서죠 스팟측광은 측광하는 곳을 진사가 지정해서 특정 포인트 부분의 광량만 측정하니 그곳이 중점이 되고 다른곳은 측광
한 부분의 밝기에 따라서 표현이 달리 됩니다. 아무래도 익숙해지면 스팟측광이... 그 다음은 M모드를 사용함으로서 보다 광량 조절에
부다 익숙해 지겠죠...
일단 측광모드를 이용해서 사진을 찍으신다면 같은 장소 같은 구도의 사진을 찍을때 멀티 측광과, 스팟측광등을 이용해서 같이 찍어보
시고요.. 스팟측광의 경우는 어두운곳, 밝은곳, 중간정도 어두운곳 등을 측광해서 촬영해보세요 그리고 집에서 PC로 확인해 보시면
아~ 하고 어느정도 감이 오실거라 생각됩니다.
그 이외에도 측광 이외에 야외에서는 풍부한 광량과 자연조명 효과로 인해서 인물사진을 잘 찍기 위해서는 햇살의 위치 (정면,역광,사광등...)
에 따른 사진의 느낌이 정말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이부분은 제가 설명할만한 수준이 아니고요 ^^
대략! 고수님들의 강좌도 좀 보시고요 같은 상황 같은 구도에서 이렇게도, 저렇게도 찍어보시고 집에서 비교해 보시면 좋을겁니다.
그리고 사진의 메타정보가 살아있는 다른 분들의 사진중에 마음에 드는 사진들의 촬영시간대, 측광, iso, 셔터속도 등을 참고해서 촬영해
보시면 유용하겠죠 (다만 어느정도 포토샵등을 이용한 후보정이 있는 사진이거나 RAW 촬영된 사진들은 메타정보만 따라해서는 전혀
다른 사진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래도 많이 해보시면 비슷하게 되더라고요 ^^)
이상 야행성 인간의 아침일찍? 비몽 사몽 횡설수설 이었습니다.
(두서없이 끄적이고 갑니다. _ _;;; 혹시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 ) 고수님들께서 정정을 ㅎㅎㅎ)
측광을 간단하게 글 몇자로 설명하기는 쉽지 않을것 같아요 그만큼 어렵기도 하고 (중요한건 제가 전문가가 아니라는 ㅋ _ _;;)
(가장 좋은건 측광에 관한 강좌 같은것을 보면서 배워보시는게 일단은 좋을것 같아요 ^^)
야외에서 광량이 많을때 멀티측광을 하게되면 인물 촬영을 한다고 가정할때 주로 인물이 너무 어둡게 나오는 경우가 곧잘 발생할겁니다.
너무 광량이 좋을땐 사실 멀티 측광이나 스팟 측광등에 상관없이 사진찍는 진사의 노하우나 ND필터 등으로 광량을 줄여주는것이 일단은
빠르고 효과적일겁니다.
다만 광량이 많아서 야외 인물사진이 어둡게나오는 위와같은 경우라면 스팟측광이나 중앙부 측광방식을 선택해서 어느정도 해결을 볼 수
있는데요 (이경우 뒷배경이 하얗게 혹은 생각 이상으로 밝게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광량에 따라서 어찌하지 못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스팟 측광을 이용해서 인물의 얼굴중에서 가장 잘 보였으면 하는 부분에 반셔터를 맞추시면 그 순간 측광이 되겠죠? 보통 인물사진은 눈에
포커싱을 맞추고, 눈 부분이 어두운 부분이기도 하니 얼굴은 적당한 노출값을 가지게 설정될겁니다. (참 A 모드등을 사용할때 이야기 겠네
요.. M 모드라면 진사의 경험과 손놀림에 따라서 더 빠를수도 있더라고요 몇몇 고수분들을 보니... ^^)
보통 멀티측광은 사진 전체에서 밝기를 조절하다보니 아주 밝은곳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어두운 곳들이 더 어두워 지게 됩니다. 밝은곳을
표현하기 위해서죠 스팟측광은 측광하는 곳을 진사가 지정해서 특정 포인트 부분의 광량만 측정하니 그곳이 중점이 되고 다른곳은 측광
한 부분의 밝기에 따라서 표현이 달리 됩니다. 아무래도 익숙해지면 스팟측광이... 그 다음은 M모드를 사용함으로서 보다 광량 조절에
부다 익숙해 지겠죠...
일단 측광모드를 이용해서 사진을 찍으신다면 같은 장소 같은 구도의 사진을 찍을때 멀티 측광과, 스팟측광등을 이용해서 같이 찍어보
시고요.. 스팟측광의 경우는 어두운곳, 밝은곳, 중간정도 어두운곳 등을 측광해서 촬영해보세요 그리고 집에서 PC로 확인해 보시면
아~ 하고 어느정도 감이 오실거라 생각됩니다.
그 이외에도 측광 이외에 야외에서는 풍부한 광량과 자연조명 효과로 인해서 인물사진을 잘 찍기 위해서는 햇살의 위치 (정면,역광,사광등...)
에 따른 사진의 느낌이 정말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이부분은 제가 설명할만한 수준이 아니고요 ^^
대략! 고수님들의 강좌도 좀 보시고요 같은 상황 같은 구도에서 이렇게도, 저렇게도 찍어보시고 집에서 비교해 보시면 좋을겁니다.
그리고 사진의 메타정보가 살아있는 다른 분들의 사진중에 마음에 드는 사진들의 촬영시간대, 측광, iso, 셔터속도 등을 참고해서 촬영해
보시면 유용하겠죠 (다만 어느정도 포토샵등을 이용한 후보정이 있는 사진이거나 RAW 촬영된 사진들은 메타정보만 따라해서는 전혀
다른 사진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래도 많이 해보시면 비슷하게 되더라고요 ^^)
이상 야행성 인간의 아침일찍? 비몽 사몽 횡설수설 이었습니다.
(두서없이 끄적이고 갑니다. _ _;;; 혹시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 ) 고수님들께서 정정을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