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루나i 2015-09-21 22:20 4K vDSLR/미러리스는 거진다 한번씩들 다 써봤구요.
더욱이 받자마자 집중 테스트하는건 동영상 해상력 테스트기도 했는데
2300만 화소든 1500만 화소든간에 nx1 a7r2 이 둘 차이의 영상 해상력은 바디서 샤픈값 조금 조절하는 수준으로
nx1이 좋게 보이거나 a7r2 가 좋게보이거나 할 수 있을만큼 사실상 차이 없습니다.
둘다 4K 란 3840x2160 의 해상도를 초과하는 영상 해상력을 지녔기 때문이죠.
nx1이 2300만 화소의 이득으로 a7r2의 해상력을 눈에띄게 넘으려면 리싸이즈 없는 6.5K 원본 해상도 동영상 레코딩을
지원해야 될 것 같네요.
오히려 고감도쪽으로 올라가면 a7r2 가 노이즈 억제력이 더 좋아 화질이 더 좋아지죠.
그완 별개로 삼성 nx1이 정말 잘나온기기도 맞고 저도 오래도록 사용하면서 정말 멋진기기구나 생각해 왔기에
앞으로 소니를 견재하는 미러리스 메이커로 응원해 왔었던터라 오늘 안타까운 뉴스는 정말 아쉽네요..
더욱이 받자마자 집중 테스트하는건 동영상 해상력 테스트기도 했는데
2300만 화소든 1500만 화소든간에 nx1 a7r2 이 둘 차이의 영상 해상력은 바디서 샤픈값 조금 조절하는 수준으로
nx1이 좋게 보이거나 a7r2 가 좋게보이거나 할 수 있을만큼 사실상 차이 없습니다.
둘다 4K 란 3840x2160 의 해상도를 초과하는 영상 해상력을 지녔기 때문이죠.
nx1이 2300만 화소의 이득으로 a7r2의 해상력을 눈에띄게 넘으려면 리싸이즈 없는 6.5K 원본 해상도 동영상 레코딩을
지원해야 될 것 같네요.
오히려 고감도쪽으로 올라가면 a7r2 가 노이즈 억제력이 더 좋아 화질이 더 좋아지죠.
그완 별개로 삼성 nx1이 정말 잘나온기기도 맞고 저도 오래도록 사용하면서 정말 멋진기기구나 생각해 왔기에
앞으로 소니를 견재하는 미러리스 메이커로 응원해 왔었던터라 오늘 안타까운 뉴스는 정말 아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