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그림™ 2015-11-15 23:04 순간광, 지속광의 차이와 거기서 파생되는 개념과 주어진 촬영 상황 조합에 대한 이해가 명확치 않은 경우 있는데
이런 경우 먼저 개념을 명확히 해두면 나중에 플래시 사용이 쉬워집니다. 그 후 구체적으로 NX1 바디에서는 이걸 어떻게
적용하면 되는지는 시행착오와 경험이 필요한듯 합니다. 캐논, 니콘과는 조금 다른 면도 있어서요.
대략의 스터디 주제는 http://www.popco.net/zboard/zboard.php?id=dica_forum_samsung&page=1&no=12345
이 글에 있고 NX1 유저 경우 그 외에도 NX1 사용 메커니즘과 기능적 특성에 대해서 드릴 말씀도 좀 있습니다.^^
어떤 플래시 촬영 상황이 주어졌을때 그 상황을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서 A모드와 M모드(혹은 P,S)가며 각 모드로 갔을때
촬영자 입장에서 득실이 뭐고 어떤 기준으로 다른 모드로 전환해서 플래시 촬영을 해야만 되는지에 대해서도 이해가
필요합니다. 경험이 늘고 미세한 컨트롤을 많이 하다보면 경험적으로 깨닫게 되는 부분들이 있더군요.
왜 이 상황에서 이 모드가 유리하고 그게 어떤 기준으로 결정되는지 이걸 깨닫고 나면 플래시에 대한 기본 개념은 생긴 거죠.^^
이런 경우 먼저 개념을 명확히 해두면 나중에 플래시 사용이 쉬워집니다. 그 후 구체적으로 NX1 바디에서는 이걸 어떻게
적용하면 되는지는 시행착오와 경험이 필요한듯 합니다. 캐논, 니콘과는 조금 다른 면도 있어서요.
대략의 스터디 주제는 http://www.popco.net/zboard/zboard.php?id=dica_forum_samsung&page=1&no=12345
이 글에 있고 NX1 유저 경우 그 외에도 NX1 사용 메커니즘과 기능적 특성에 대해서 드릴 말씀도 좀 있습니다.^^
어떤 플래시 촬영 상황이 주어졌을때 그 상황을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서 A모드와 M모드(혹은 P,S)가며 각 모드로 갔을때
촬영자 입장에서 득실이 뭐고 어떤 기준으로 다른 모드로 전환해서 플래시 촬영을 해야만 되는지에 대해서도 이해가
필요합니다. 경험이 늘고 미세한 컨트롤을 많이 하다보면 경험적으로 깨닫게 되는 부분들이 있더군요.
왜 이 상황에서 이 모드가 유리하고 그게 어떤 기준으로 결정되는지 이걸 깨닫고 나면 플래시에 대한 기본 개념은 생긴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