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16 17:47 화각과 심도, 밝기를 같이 생각하시면 더 명쾌하십니다.
50mm f1.4 렌즈를 크롭 바디에 물렸다고 생각합시다. 그러면 말씀하신데로 75mm f1.4렌즈처럼 화각이 환산되지요. 이때 김도열님 말씀처럼 같은 크기로 피사체를 찍으려면 거리가 더 멀어져야하기 때문에 심도가 옅어집니다. 복잡하게 생각하실 필요 없이 화각 환산하실 때와 마찬가지로 1.5배 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f2.1의 심도가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인터넷에 어떤 분들은 크롭되더라도 조리개는 여전히 f1.4다! 하고 주장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건 그분들이 몰라서 그러는게 아니라 실제 조리개의 역할인 빛의 투과율 측면에서 그렇다는 걸로 받아들이면 됩니다. 즉, 크롭바디에선 화각 1.5배, 조리개(심도) 1.5배, 조리개(밝기) 1배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가지더, 처음에 저는 순진한 생각으로 밤에 피사체와 배경을 다 나오게 찍고 싶다면 조리개를 덜 조여도 되는 크롭이나 마포카메라가 더 유리하지 않겠나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풀프레임은 크롭에 비해 센서가 약 1.5배 크기 때문에 상용 감도도 그만큼 좋습니다. 그래서 한스탑이상 조이고 감도 올리더라도 풀프레임이 화질이 더 좋아요...
풀프레임에서 공간감이라...사실 조리개나 화각 문제가 아니라 풀프레임 렌즈 특유의 비네팅 때문이라는 의견도 깨나 지배적입니다. 즉, 렌즈의 흠이 감성으로 승화된걸까요 ;;;;
물론 85mm F1.2나 50mm F1.2렌즈 같은 경우엔 크롭(F0.85)으로 재현불가능하기 때문에 풀프레임 카메라의 전유물이지요.
50mm f1.4 렌즈를 크롭 바디에 물렸다고 생각합시다. 그러면 말씀하신데로 75mm f1.4렌즈처럼 화각이 환산되지요. 이때 김도열님 말씀처럼 같은 크기로 피사체를 찍으려면 거리가 더 멀어져야하기 때문에 심도가 옅어집니다. 복잡하게 생각하실 필요 없이 화각 환산하실 때와 마찬가지로 1.5배 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f2.1의 심도가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인터넷에 어떤 분들은 크롭되더라도 조리개는 여전히 f1.4다! 하고 주장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건 그분들이 몰라서 그러는게 아니라 실제 조리개의 역할인 빛의 투과율 측면에서 그렇다는 걸로 받아들이면 됩니다. 즉, 크롭바디에선 화각 1.5배, 조리개(심도) 1.5배, 조리개(밝기) 1배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가지더, 처음에 저는 순진한 생각으로 밤에 피사체와 배경을 다 나오게 찍고 싶다면 조리개를 덜 조여도 되는 크롭이나 마포카메라가 더 유리하지 않겠나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풀프레임은 크롭에 비해 센서가 약 1.5배 크기 때문에 상용 감도도 그만큼 좋습니다. 그래서 한스탑이상 조이고 감도 올리더라도 풀프레임이 화질이 더 좋아요...
풀프레임에서 공간감이라...사실 조리개나 화각 문제가 아니라 풀프레임 렌즈 특유의 비네팅 때문이라는 의견도 깨나 지배적입니다. 즉, 렌즈의 흠이 감성으로 승화된걸까요 ;;;;
물론 85mm F1.2나 50mm F1.2렌즈 같은 경우엔 크롭(F0.85)으로 재현불가능하기 때문에 풀프레임 카메라의 전유물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