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마지막 클립을 보시면 매직아워 부근부터 천문박명을 지나는 시점까지 쭉 이어지는데,
분명히 노출 차이가 꽤 있음에도 꽤 부드럽게 이어지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클립은 F8, 감도 200, 셔속 3.2초, 인터벌 5초 고정으로 촬영했거든요.
그래서 플리커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건,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끝나는 시점까지 전부 하나라고 생각을 하고 촬영을 해야합니다.
촬영 시작시점만 생각하면 결과물이 안나와요. 쓸모가 없이 시간만 허비하는 경우도 발생을 하더군요.
촬영 끝나는 시점까지 모든 시간동안 결과물이 어떻게 될것인가 예측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진보다 변수가 많은게 영상인데, 이 영상과는 또다른 변수도 고려해야하는것이 타임랩스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
개인적으로 타임랩스 작업에 소니 E마운트 제품들을 좋아하는게, 위에 설명드린대로 조리개 자체도 라이브뷰에 포함되기 때문에,
후반 작업에서 플리커 제거 프로세스를 할 필요가 거의 없습니다.
이 영상도 플리커 제거와 관련한 어떤 후보정도 하지 않았구요.
사실.... 세번째 클립에서 약간의 플리커는 발생합니다.
샘플형태로 뽑은거라, 나중에 한번 더 작업을 할 예정이긴 합니다. ㅎㅎ
어찌 되었든 화이팅입니다.
(개인적으로 타임랩스는. 직접 찍지말고 남이 찍은것 보세요. 라고 합니다........
귀찮고 지루하고 결과물 못쓸때도 많고, 남들이 사진찍을 타이밍에 멍때려야되고, 삼각대 필요하고 ...
물론 결과물 뽑으면서 맘에 들게 나왔을때는 아 저기 또가면 이렇게 해야지 저렇게 해야지 계획 세우고 있는게 함정...ㄷㄷ)
https://www.youtube.com/watch?v=9asV2QsoL0I
제 올린 이 영상 보시면 팁이 숨어 있네요.
저도 만든지 좀 된 영상이라 잊고 있었네요... ㅋㅋㅋ
이 영상 보시면 구름 영상들은 오토모드라고 할수 있는 모든 설정 off 상태일겁니다.
또, 마지막 클립을 보시면 매직아워 부근부터 천문박명을 지나는 시점까지 쭉 이어지는데,
분명히 노출 차이가 꽤 있음에도 꽤 부드럽게 이어지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클립은 F8, 감도 200, 셔속 3.2초, 인터벌 5초 고정으로 촬영했거든요.
그래서 플리커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건,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끝나는 시점까지 전부 하나라고 생각을 하고 촬영을 해야합니다.
촬영 시작시점만 생각하면 결과물이 안나와요. 쓸모가 없이 시간만 허비하는 경우도 발생을 하더군요.
촬영 끝나는 시점까지 모든 시간동안 결과물이 어떻게 될것인가 예측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진보다 변수가 많은게 영상인데, 이 영상과는 또다른 변수도 고려해야하는것이 타임랩스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
개인적으로 타임랩스 작업에 소니 E마운트 제품들을 좋아하는게, 위에 설명드린대로 조리개 자체도 라이브뷰에 포함되기 때문에,
후반 작업에서 플리커 제거 프로세스를 할 필요가 거의 없습니다.
이 영상도 플리커 제거와 관련한 어떤 후보정도 하지 않았구요.
사실.... 세번째 클립에서 약간의 플리커는 발생합니다.
샘플형태로 뽑은거라, 나중에 한번 더 작업을 할 예정이긴 합니다. ㅎㅎ
어찌 되었든 화이팅입니다.
(개인적으로 타임랩스는. 직접 찍지말고 남이 찍은것 보세요. 라고 합니다........
귀찮고 지루하고 결과물 못쓸때도 많고, 남들이 사진찍을 타이밍에 멍때려야되고, 삼각대 필요하고 ...
물론 결과물 뽑으면서 맘에 들게 나왔을때는 아 저기 또가면 이렇게 해야지 저렇게 해야지 계획 세우고 있는게 함정...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