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na 2016-06-28 17:51 영상에 대해서 잘 모르신다면 경우의 수가 많겠지만 다행히도 야외 촬영이라면 그나마 낫습니다.
가까이서 찍으실 여건이 된다면 16-50s 장착해서 쓰시고 메인 영상 촬영자가 따로 있다면 50-150s 를 쓰세요.
촬영중에 렌즈 바꾸다가 시간 가니 바꿀 생각은 하지 마시고 85mm 는 손떨방이 없어서 덜덜 떨리니 쓸수 없습니다.
16-50s 를 쓴다면 화각은 50mm 로 타이트하게 찍는게 이쁘게 나옵니다. 16mm 는 필요할때만 적당히 쓰시구요.
야외이고 빛이 많은 상황이라 셔속의 여유가 충분하기 때문에 저라면 UHD 보다는 FHD 120p 로 찍겠습니다.
편집할때 슬로우로 확확 날려주면 아주 좋습니다.
삼각대보다는 모노포드가 기동성면에서는 낫습니다. 하지만 촬영중 높낮이 조절하기가 약간 불편할수는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노포드를 쓴다면 돌리는 방식말고 플립락 방식으로 고르세요.
조리개는 최대 개방(F2.0-2.8) 놓으시고 셔터속도가 문제인데.. 웨딩 촬영 해보시면 알겠지만 설정 맞출시간은 별로 없습니다.
영상에 익숙치 않으신다면 저는 과감하게 A 모드를 추천드립니다. 조리개만 설정하고 셔속과 iso 는 그냥 카메라에게 맡기세요.
아마 밝은 날이라면 셔속이 1/4000 이상까지 뛰겠지만 슬로우 처리 해주면 크게 차이가 날 정도는 아닙니다.
그래도 셔속이 신경쓰인다면 ND100 까지는 필요없고 ND16 정도 하나 붙이고 A모드로 찍으세요.
한마디만 덧붙이자면 웨딩은 카메라 설정이 어떻든 크게 상관은 없고 신부만 이쁘게 나오면 OK 입니다.
가까이서 찍으실 여건이 된다면 16-50s 장착해서 쓰시고 메인 영상 촬영자가 따로 있다면 50-150s 를 쓰세요.
촬영중에 렌즈 바꾸다가 시간 가니 바꿀 생각은 하지 마시고 85mm 는 손떨방이 없어서 덜덜 떨리니 쓸수 없습니다.
16-50s 를 쓴다면 화각은 50mm 로 타이트하게 찍는게 이쁘게 나옵니다. 16mm 는 필요할때만 적당히 쓰시구요.
야외이고 빛이 많은 상황이라 셔속의 여유가 충분하기 때문에 저라면 UHD 보다는 FHD 120p 로 찍겠습니다.
편집할때 슬로우로 확확 날려주면 아주 좋습니다.
삼각대보다는 모노포드가 기동성면에서는 낫습니다. 하지만 촬영중 높낮이 조절하기가 약간 불편할수는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노포드를 쓴다면 돌리는 방식말고 플립락 방식으로 고르세요.
조리개는 최대 개방(F2.0-2.8) 놓으시고 셔터속도가 문제인데.. 웨딩 촬영 해보시면 알겠지만 설정 맞출시간은 별로 없습니다.
영상에 익숙치 않으신다면 저는 과감하게 A 모드를 추천드립니다. 조리개만 설정하고 셔속과 iso 는 그냥 카메라에게 맡기세요.
아마 밝은 날이라면 셔속이 1/4000 이상까지 뛰겠지만 슬로우 처리 해주면 크게 차이가 날 정도는 아닙니다.
그래도 셔속이 신경쓰인다면 ND100 까지는 필요없고 ND16 정도 하나 붙이고 A모드로 찍으세요.
한마디만 덧붙이자면 웨딩은 카메라 설정이 어떻든 크게 상관은 없고 신부만 이쁘게 나오면 OK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