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힘 2015-06-20 23:50 개인적으로는 일반 소매 시장보다 방송장비나 스튜디오 같은 극히 보수적인 전문가 시장은 더 진입이 힘들고 성공 가능성이 낮은 시장으로 보입니다. 이미 글에서도 말씀 하셨지만 주변 장비가 원체 중요한게 방송 시장인데 바디 하나 때문에 바뀔여지는 적다고 보네요.
소니가 최근 좋은 바디 많이 출시 했는데도 여전히 스튜디오에서는 캐논, 니콘을 선호하는 이유와 일맥상통한다고 봅니다.
방송도 지금가지 수십년 써오는 장비와 렌즈들이 있고 말쓴하신 렌탈샵과 외주제작 업체들이 보유한 장비도 이미 많이 갖추어진 상황에서
삼성이 h.264를 따로 만든다 해서 대세에 지방이 있거나 큰 대세가 급격히 바뀔거 같지 않네요.
카메라에서 코덱은 소프트웨어문제가 아니라 하드웨어 제작을 다시해야 합니다. 디코더 칩을 세로 설계해야 한다는 건데
그럼 세로 바디 만들어야 합니다. 이미 경쟁에서 뒤진 상황에서는 이렇게는 돌파 안될거 같고 그냥 h.265 선점하는게 나을거 같네요.
당장은 힘들겠지만.(딱히 힘들것도 없겠네요 원래 스튜디오나 방송 시장에서 삼성을 많이 썼던것도 아니니 상황은 다를게 없네요)
대세는 어차피 H.265이고 265 먼저 선전해서 265 에 올인함으로서 시장을 먼저 선점해 나가는게 나은 전략으로 보입니다. 265 시장은 언젠가는 올거고 그때 되면 이쪽 코덱에 대한 장비나 노하우가 앞선게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삼성이 방송장비의 메이저 회사나 혹은 거대 카메라 장비 업체라서 h.264와 265 라인업을 투트렉으로 끌 수 갈 수 있다면야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그럴 역량이 아닌거로 보이고 따라서 결국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나가는게 효과적인 전략으로 판단 됩니다.
삼성은 방송장비 업체도 아니고 고가의 방송용 카메라나 주변 장비를 거의 만들지 않죠. 삼성에서 다양한 고가의 방송용 카메라도 같지 많든다면
방송용에 확실히 신경을 써야 겠지만 그럴 생각이 없는것 같고 또 소매 시장도 쉽지 않은데 극히 보수적이고 이미 몇몇 업체가 완전히 장악한 전문 방송 장비 시장에 삼성이 주력하는건 큰 의미가 없을것 같습니다.
H.264가 소프트웨어 적인 문제라면 어렵지 않지만 그게 아니라 카메라에서 코덱 문제는 칩셋을 처음부터 다시 설계해야 합니다.
아니면 듀얼로 H.265시스템 H.264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는 건데 그러면 설계도 복잡해지고 크기도 커지고 가격도 비싸집니다.
이렇게 되면 경쟁력이 잃게 됩니다. 굳이 소매용 제품이 가격만 비싸지는데 듀얼 코덱으로 구성 시킬 이유가 있을까 싶구요.
또 얼마 팔리지도 않을 방송용을 위해 이런 이중 코덱 구조의 제품을 굳이 만들어야 하나 싶기도 합니다.
264에서 265로 삼성이 빨리 전환한건 264로는 다른 일본 업체와 차별화가 안되고 그 상황에 계속 머물러서는 뚜렷한 돌파구가 없으니 그렇다면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힘든 길이지만 먼저 265로 전환에 앞으로 열릴 265시장을 선점을해 나가자 이런 전략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해서 이제 265로 왔는데 다시 265 포기하고 264로 간다는건 말이 안될듯 하고 말씀 드렸듯 이제화서 264 칩을 다시 설계해서 듀얼로 넣어 새로 제품을 만든다는건 가격이나 실제 판매에서 메리트를 찾기 어려울거 같습니다 264 필요하신분이라면 굳이 이런 비싼 듀얼이 아니라 그냥 264에 성능 좋은 소니나 파나소닉 제품을 선택해 버릴테니 삼성이 많은 개발비를 들여 비싼의 듀얼 제품 만든다고 해도 메리트가 없어 보입니다
소니가 최근 좋은 바디 많이 출시 했는데도 여전히 스튜디오에서는 캐논, 니콘을 선호하는 이유와 일맥상통한다고 봅니다.
방송도 지금가지 수십년 써오는 장비와 렌즈들이 있고 말쓴하신 렌탈샵과 외주제작 업체들이 보유한 장비도 이미 많이 갖추어진 상황에서
삼성이 h.264를 따로 만든다 해서 대세에 지방이 있거나 큰 대세가 급격히 바뀔거 같지 않네요.
카메라에서 코덱은 소프트웨어문제가 아니라 하드웨어 제작을 다시해야 합니다. 디코더 칩을 세로 설계해야 한다는 건데
그럼 세로 바디 만들어야 합니다. 이미 경쟁에서 뒤진 상황에서는 이렇게는 돌파 안될거 같고 그냥 h.265 선점하는게 나을거 같네요.
당장은 힘들겠지만.(딱히 힘들것도 없겠네요 원래 스튜디오나 방송 시장에서 삼성을 많이 썼던것도 아니니 상황은 다를게 없네요)
대세는 어차피 H.265이고 265 먼저 선전해서 265 에 올인함으로서 시장을 먼저 선점해 나가는게 나은 전략으로 보입니다. 265 시장은 언젠가는 올거고 그때 되면 이쪽 코덱에 대한 장비나 노하우가 앞선게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삼성이 방송장비의 메이저 회사나 혹은 거대 카메라 장비 업체라서 h.264와 265 라인업을 투트렉으로 끌 수 갈 수 있다면야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그럴 역량이 아닌거로 보이고 따라서 결국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나가는게 효과적인 전략으로 판단 됩니다.
삼성은 방송장비 업체도 아니고 고가의 방송용 카메라나 주변 장비를 거의 만들지 않죠. 삼성에서 다양한 고가의 방송용 카메라도 같지 많든다면
방송용에 확실히 신경을 써야 겠지만 그럴 생각이 없는것 같고 또 소매 시장도 쉽지 않은데 극히 보수적이고 이미 몇몇 업체가 완전히 장악한 전문 방송 장비 시장에 삼성이 주력하는건 큰 의미가 없을것 같습니다.
H.264가 소프트웨어 적인 문제라면 어렵지 않지만 그게 아니라 카메라에서 코덱 문제는 칩셋을 처음부터 다시 설계해야 합니다.
아니면 듀얼로 H.265시스템 H.264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는 건데 그러면 설계도 복잡해지고 크기도 커지고 가격도 비싸집니다.
이렇게 되면 경쟁력이 잃게 됩니다. 굳이 소매용 제품이 가격만 비싸지는데 듀얼 코덱으로 구성 시킬 이유가 있을까 싶구요.
또 얼마 팔리지도 않을 방송용을 위해 이런 이중 코덱 구조의 제품을 굳이 만들어야 하나 싶기도 합니다.
264에서 265로 삼성이 빨리 전환한건 264로는 다른 일본 업체와 차별화가 안되고 그 상황에 계속 머물러서는 뚜렷한 돌파구가 없으니 그렇다면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힘든 길이지만 먼저 265로 전환에 앞으로 열릴 265시장을 선점을해 나가자 이런 전략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해서 이제 265로 왔는데 다시 265 포기하고 264로 간다는건 말이 안될듯 하고 말씀 드렸듯 이제화서 264 칩을 다시 설계해서 듀얼로 넣어 새로 제품을 만든다는건 가격이나 실제 판매에서 메리트를 찾기 어려울거 같습니다 264 필요하신분이라면 굳이 이런 비싼 듀얼이 아니라 그냥 264에 성능 좋은 소니나 파나소닉 제품을 선택해 버릴테니 삼성이 많은 개발비를 들여 비싼의 듀얼 제품 만든다고 해도 메리트가 없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