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태 2016-08-19 01:27 dxomark의 자료 자체는 굉장히 잘 되어 있습니다.
다만 문제는 바로 그 '점수' 인데, 방대한 자료를 하나의 숫자로 압축시키다보니 공감하기 힘든 포인트가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렌즈가 문제인데, 어쨌거나 렌즈의 측정을 위해서는 바디에 연결해서 사진을 찍어야 합니다.
그리고 캐논 마운트 렌즈들의 높은 샤프니스 점수는 대개 캐논 5DSR의 고화수에 기인합니다.
5D Mark III에서 촬영한 결과를 보면 점수가 뚝 떨어져버립니다. dxomark는 최적조건, 근거리를 기준으로 점수를 매기기 때문에
스튜디오에 올인한 고화소 바디에서 높은 점수가 나오는 것이 당연합니다.
관심이 가는 렌즈가 있다면, 단순히 점수 뿐만 아니라 텍스트로 된 리뷰와, 제공된 다양한 자료를 찬찬히 살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다만 문제는 바로 그 '점수' 인데, 방대한 자료를 하나의 숫자로 압축시키다보니 공감하기 힘든 포인트가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렌즈가 문제인데, 어쨌거나 렌즈의 측정을 위해서는 바디에 연결해서 사진을 찍어야 합니다.
그리고 캐논 마운트 렌즈들의 높은 샤프니스 점수는 대개 캐논 5DSR의 고화수에 기인합니다.
5D Mark III에서 촬영한 결과를 보면 점수가 뚝 떨어져버립니다. dxomark는 최적조건, 근거리를 기준으로 점수를 매기기 때문에
스튜디오에 올인한 고화소 바디에서 높은 점수가 나오는 것이 당연합니다.
관심이 가는 렌즈가 있다면, 단순히 점수 뿐만 아니라 텍스트로 된 리뷰와, 제공된 다양한 자료를 찬찬히 살펴보시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