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글 달기
메뉴
뉴스
리뷰
커뮤니티
톡
갤러리
스펙
뉴스
리뷰
커뮤니티
톡
갤러리
스펙
SAMSUNG VLUU NV10
2006-08-25 16:55 | 조회수 : 30,892
본문보기
덧글 51
접기
호정아빠
2006-08-31 00:48
인증렌즈에 대해서 잘못 알고 계시는 것 같네요.
인증렌즈 생산은 단순히 OEM 처럼 생산해서 상표 붙여서 파는 수준이 아닙니다.
파나소닉의 경우 1997년 디지탈카메라 시장에서 철수한뒤
2001년 부터 라이카 인증 렌즈 생산을 계획하여
본격적으로 생산에 들어간 것은 2005년 부터라고 합니다.
라이카 인증 렌즈를 생산하기 위해 라이카 기술진으로 부터 기술을 배워
설계부터 생산까지 철저히 검증을 받아야 했다고 합니다.
파나소닉의 경우 기존의 방송장비를 판매했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어느정도 렌즈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라이카에게 인증받기까지 과연 파나소닉의 해낼 수 있을까 하는
주변의 많은 우려가 있었다고 합니다.
칼짜이즈 같은 렌즈품질을 생명으로 하는 회사가 함부로 인증마크를 달아줄 리
만무하죠.
테크윈도 자신들이 칼짜이즈로부터 직접 인증을 받은 것이 아니라
기존의 칼짜이즈의 인증을 받은 회사를 인수하여 생산한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렌즈 모듈의 가격이 컴팩트 카메라 생산 비용의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실제 CCD가 18%, 액정이 20%를 차지한다고 하니
렌즈의 비중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을 겁니다.
SHD렌즈는 저가형 렌즈입니다.
당연히 칼짜이즈 렌즈의 생산 공정과 비교할 수 없죠.
실제 SHD렌즈와 칼짜이즈렌즈로 촬영된 사진의 화질을 비교하면
차이가 많이 나는 걸 알 수가 있을 겁니다.
삼성의 저가형 카메라와 이너줌 카메라가 SHD렌즈를 채용하는 이유는
저가형 카메라는 가격을 낮추기 위해
이너줌 카메라는 칼짜이즈 인증 수준에 맞춰 생산을 못하기 때문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SNS 로그인
덧글 입력
로그인을 해주세요
맨위로
인증렌즈 생산은 단순히 OEM 처럼 생산해서 상표 붙여서 파는 수준이 아닙니다.
파나소닉의 경우 1997년 디지탈카메라 시장에서 철수한뒤
2001년 부터 라이카 인증 렌즈 생산을 계획하여
본격적으로 생산에 들어간 것은 2005년 부터라고 합니다.
라이카 인증 렌즈를 생산하기 위해 라이카 기술진으로 부터 기술을 배워
설계부터 생산까지 철저히 검증을 받아야 했다고 합니다.
파나소닉의 경우 기존의 방송장비를 판매했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어느정도 렌즈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라이카에게 인증받기까지 과연 파나소닉의 해낼 수 있을까 하는
주변의 많은 우려가 있었다고 합니다.
칼짜이즈 같은 렌즈품질을 생명으로 하는 회사가 함부로 인증마크를 달아줄 리
만무하죠.
테크윈도 자신들이 칼짜이즈로부터 직접 인증을 받은 것이 아니라
기존의 칼짜이즈의 인증을 받은 회사를 인수하여 생산한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렌즈 모듈의 가격이 컴팩트 카메라 생산 비용의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실제 CCD가 18%, 액정이 20%를 차지한다고 하니
렌즈의 비중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을 겁니다.
SHD렌즈는 저가형 렌즈입니다.
당연히 칼짜이즈 렌즈의 생산 공정과 비교할 수 없죠.
실제 SHD렌즈와 칼짜이즈렌즈로 촬영된 사진의 화질을 비교하면
차이가 많이 나는 걸 알 수가 있을 겁니다.
삼성의 저가형 카메라와 이너줌 카메라가 SHD렌즈를 채용하는 이유는
저가형 카메라는 가격을 낮추기 위해
이너줌 카메라는 칼짜이즈 인증 수준에 맞춰 생산을 못하기 때문인걸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