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에 대한 선택에 있어서는 선택의 여지도 없기는 했지만
미놀타의 50mm F1.4가 마크로 렌즈보다 해상력이 떨어진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모든 브랜드에서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렌즈 중에 하나가 바로 50mm F1.4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리뷰 사이트는 50mm F1.4를 기준으로 해상력을 테스트하고
올림푸스는 50mm F1.4가 없기에 부득이 F2.0 마크로를 사용한 것입니다.
ISO 80은 표준 측광후 +0.3 노출로 촬영한 후 약간 언더 처리를 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당연히 암부가 밝게 나오는 것이지요.
미놀타 측에서도 정식 ISO를 100부터라고 표기하고 있으므로 ISO 80은 감도라는
측면에서 볼때는 무의미하다는 얘기일 뿐이었습니다.
17-35의 경우는 제가 미처 확인하지 못한 점을 지적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디지털 전용렌즈가 아닌데 주변부 화질이 떨어진다면 더욱 문제가 있는 렌즈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렌즈에 대한 선택에 있어서는 선택의 여지도 없기는 했지만
미놀타의 50mm F1.4가 마크로 렌즈보다 해상력이 떨어진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모든 브랜드에서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렌즈 중에 하나가 바로 50mm F1.4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리뷰 사이트는 50mm F1.4를 기준으로 해상력을 테스트하고
올림푸스는 50mm F1.4가 없기에 부득이 F2.0 마크로를 사용한 것입니다.
ISO 80은 표준 측광후 +0.3 노출로 촬영한 후 약간 언더 처리를 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당연히 암부가 밝게 나오는 것이지요.
미놀타 측에서도 정식 ISO를 100부터라고 표기하고 있으므로 ISO 80은 감도라는
측면에서 볼때는 무의미하다는 얘기일 뿐이었습니다.
17-35의 경우는 제가 미처 확인하지 못한 점을 지적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디지털 전용렌즈가 아닌데 주변부 화질이 떨어진다면 더욱 문제가 있는 렌즈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아뭏든 많은 관심 보여 주셔서 감사드리고 좀 더 나은 리뷰를 위해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