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10 01:51 제가 삼성을 다국적 기업이라고 표현한걸 가지고 다른 의견들이 조금 있으신데요.
다국적 기업이라고 이야기 했던건 주식이 이미 50%가 외국인 기업에 넘어갔네 어쩌네 그걸
의미한건 아니었습니다.
다만, 리뷰중간중간에 계속적으로 우리나라,삼성,최고 라는말이 반복되는거에 대해 조금은
거슬렸기에 어떤 회사나 어떤 국가를 떠나서 그냥 하나의 제품만 가지고 리뷰를 진행했으면
하는 바램에서 이야기 했던 의도니깐요.
그러한 표현은 처음과 마지막이면 충분하다고 보거든요.
그런 의도적 표현이 아무래도 적어야 리뷰를 바라보는 입장에서 리뷰를작성하신분의 글을
어떤 선입견 없이 읽을수 있는데 2% 말고 딱 1% 아쉽다는 이야기 입니다.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 입장에서 자국이면 어떻고 타국이면 어떻습니까.
품질좋은 제품을 저렴하게 사용하는게 소비자 입장에선 따봉인뎅..
우리나라제품이 세계우위를 점하는 반도체나 핸드폰등 나름대로 자부심을 느낄수 있는것
처럼 디카또한 그랬으면 하는 바램이 있지만, 우리나라 제품이라고 공짜로 주는것도 아니고
광학기술이 나라경제에 엄청난 보탬을 하는 상황도 아닌데 구태여 그러한 표현은 필요없지
않을까요?
다국적 기업이라고 이야기 했던건 주식이 이미 50%가 외국인 기업에 넘어갔네 어쩌네 그걸
의미한건 아니었습니다.
다만, 리뷰중간중간에 계속적으로 우리나라,삼성,최고 라는말이 반복되는거에 대해 조금은
거슬렸기에 어떤 회사나 어떤 국가를 떠나서 그냥 하나의 제품만 가지고 리뷰를 진행했으면
하는 바램에서 이야기 했던 의도니깐요.
그러한 표현은 처음과 마지막이면 충분하다고 보거든요.
그런 의도적 표현이 아무래도 적어야 리뷰를 바라보는 입장에서 리뷰를작성하신분의 글을
어떤 선입견 없이 읽을수 있는데 2% 말고 딱 1% 아쉽다는 이야기 입니다.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 입장에서 자국이면 어떻고 타국이면 어떻습니까.
품질좋은 제품을 저렴하게 사용하는게 소비자 입장에선 따봉인뎅..
우리나라제품이 세계우위를 점하는 반도체나 핸드폰등 나름대로 자부심을 느낄수 있는것
처럼 디카또한 그랬으면 하는 바램이 있지만, 우리나라 제품이라고 공짜로 주는것도 아니고
광학기술이 나라경제에 엄청난 보탬을 하는 상황도 아닌데 구태여 그러한 표현은 필요없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