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2-10 15:19 올림의 가장 걸림돌은 편견입니다.
사용해보지 않은 분들께서 무조건적인 편견으로 올림 포서드? 2배크롭바디? 올림푸스 렌즈? 노이즈? AF? 심도? 등 이렇게 무조건적인 편견을 갖죠. 위에 어떤분도 고급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렌즈 바디가 형편없다는 글도 있군요. 그냥 웃음이 나옵니다.
고급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오히려 너무 좋은 렌즈 구성이죠. 너무 비싼게 흠이죠.
7-14 14-35 35-100 90-250 정도면 아마 현존하는 렌즈중 가장 멋진 구성일걸요.
이중 14-35는 내년초에 나올 예정이라 사용을 해보지 못했지만 나머지는 잠깐 테스트는 해보았습니다. 말이 필요없는 렌즈들이더군요. 솔직히 비싼건 인정합니다.
그외 2배크롭이라는 것도 뭔가 착각하시고 있는거고요. 풀프레임입니다.
단지 35미리로 환산한다면 화각이 2배라고 해야 맞는거죠
심도문제.. 이건 어쩔수 없습니다. 올림유저들이 심도 깊은것이 더 좋다. 이렇게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지만 솔직히 되는것과 안되는건 차이가 있죠. 하지만 이것도 위 렌즈구성이라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단지 가격대비 심도에 대해서 문제가 있다는거죠. 사실 풍경사진같은경우나 접사의 경우에는 심도가 깊은게 좋긴 합니다. 하지만 분명 가격대비로 본다면 심도에 있어서는 자유롭지 않습니다.
노이즈.. 이것은 문제긴 합니다. 노이즈 400 이상은 절대 안쓴다고 해도, 사실 저도 그렇습니다. 하지만 감도 높으면서 노이즈 없는게 훨씬 효율적이죠. 분명 개선되야 할 사항입니다.
AF.. 이것도 문제긴 합니다. 촛점에 있어서는 기존바디들중 제일 정확하다 할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AF속도를 가지고 이야기 하고, 또한 어두운곳에서 AF에 대해 이야기 한다면 앞으로 올림푸스가 정말 개선해야 할것입니다. 사용하면서 짜증날때가 참 많습니다.
사용해보지 않은 분들께서 무조건적인 편견으로 올림 포서드? 2배크롭바디? 올림푸스 렌즈? 노이즈? AF? 심도? 등 이렇게 무조건적인 편견을 갖죠. 위에 어떤분도 고급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렌즈 바디가 형편없다는 글도 있군요. 그냥 웃음이 나옵니다.
고급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오히려 너무 좋은 렌즈 구성이죠. 너무 비싼게 흠이죠.
7-14 14-35 35-100 90-250 정도면 아마 현존하는 렌즈중 가장 멋진 구성일걸요.
이중 14-35는 내년초에 나올 예정이라 사용을 해보지 못했지만 나머지는 잠깐 테스트는 해보았습니다. 말이 필요없는 렌즈들이더군요. 솔직히 비싼건 인정합니다.
그외 2배크롭이라는 것도 뭔가 착각하시고 있는거고요. 풀프레임입니다.
단지 35미리로 환산한다면 화각이 2배라고 해야 맞는거죠
심도문제.. 이건 어쩔수 없습니다. 올림유저들이 심도 깊은것이 더 좋다. 이렇게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지만 솔직히 되는것과 안되는건 차이가 있죠. 하지만 이것도 위 렌즈구성이라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단지 가격대비 심도에 대해서 문제가 있다는거죠. 사실 풍경사진같은경우나 접사의 경우에는 심도가 깊은게 좋긴 합니다. 하지만 분명 가격대비로 본다면 심도에 있어서는 자유롭지 않습니다.
노이즈.. 이것은 문제긴 합니다. 노이즈 400 이상은 절대 안쓴다고 해도, 사실 저도 그렇습니다. 하지만 감도 높으면서 노이즈 없는게 훨씬 효율적이죠. 분명 개선되야 할 사항입니다.
AF.. 이것도 문제긴 합니다. 촛점에 있어서는 기존바디들중 제일 정확하다 할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AF속도를 가지고 이야기 하고, 또한 어두운곳에서 AF에 대해 이야기 한다면 앞으로 올림푸스가 정말 개선해야 할것입니다. 사용하면서 짜증날때가 참 많습니다.
그외는 나중에 한번 다시 이야기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