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nf 2009-03-19 03:04 1. 현재 hd캠코더 사용중인데, 가격이나 무게가 솔직히 부담되더군요. AVCHD포맷 형태라서 일반 pc에서는 재생도
힘든 편이구요. 친구들이나 가족에게 찍은 영상을 공유하려면 따로 인코딩을 하는편입니다. 그래서 가벼운 컴팩트
디카 제품을 찾고 있었는데, hd캠코더의 화질에는 터무니 없더군요.. 그러다가 우연히 이제품 리뷰를 봤는데,
화질에 놀랐습니다. 핸드폰 처럼 언제든지 들고 다니면서 찍을수 있고, MP3나 핸드폰인것처럼 해서 친구들 굴욕 사진도
가능할 거 같습니다. 몰래 수업시간 녹화도 하고 ㅋㅋ
2. pc사양이 좋지 않아, 이것저것 플레이어나 코덱을 마니 써봤습니다.
곰플레이어 : 재생하다가 다운되거나, 재생이 되더라도 화면 딜레이가 심함, 원본 파일에 비해 색감이 죽거나 물빠진 느낌...
KMP : 곰플레이어와는 비교 안될정도로, 무리 없이 재생하나, 막강한 기능때문에 환경설정이 초보자에게는 어려움이 있음
재생중에는 곰플보다 PC점유율이나, 메모리 사용량은 적으나 처음 로딩시 곰플보다는 시간 지연이 있음
팟플레이어 : KMP제작자님께서 KMP는 판도라에 넘기고, 다음 팟에가서 만들고 계산 플레이어...
곰플레이어의 심플함과 KMP의 막강한 성능을 합친 플레이어.. KMP에서의 불필요한 환경설정 기능들을 심플하게
하면서도 성능은 KMP보다 PC점유율이나 메모리 사용량에서 더 적게 이용. 다음에서 지원하므로 성능개선이나
업데이트 면에서 곰플레이어에게 뒤지지 않음.. 그리고 함께 제공하고 잇는 무료 인코더인 팟인코더는
곰인코더보다 빠른 성능과 화질을 자랑하고 있음
CoreAVC : 고사양의 비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필수코덱
최상의 화질을 즐기기 위한 플레이어 환경설정
- KMP(2.9.3.1428: kmp제작자님이 가장 마지막까지 참여하시고 떠난 버전)나 팟플레이어를 설치(개인적으로 팟플레이어 추천)
- CoreAVC(v1.9.0.0) : 을 설치한다. 함께 설치하는 Haali splitter도 함께 설치한다.
- CoreAVC configure에서 Output levels 을 PC(0-255)로 설정한다. 이부분을 설정하지 않으면 kmp나 팟플레이어로 재생해도
물감 빠진듯한 색감이 나게 된다.
- 팟인코더 - 환경설정 - 코덱/필터 관리 - 비디오 코덱 - H264와 AVC1에 CoreAVC Video Decoder를 설정한다.
- 팟인코더 - 환경설정 - 영상 - 영상출력 - 출력방식 - Haali Video Render를 선택한다.
- 이제 최상의 화질로 영상을 즐긴다.
이상 제가 AVCHD포맷의 .MTS 파일을 재생할때 사용하는 환경입니다.
이보다 더 좋은 화질로 재생가능하면 공유좀 부탁드릴게요
3. zx1를 본 첫 느낌은 "뭐 이런 장난감이 또 나왔어?" 였습니다.
카메라와 같은 영상기기에 관심이 많아서 이것저것 많이 써보고 사용해 본 저로서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구매했다가 화질에 실망한 적이 많았거든요. 코닥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도 그렇고, 화질 기대는 하지 않았죠...
그런데, 올라온 샘플 원본 영상을 보고, 많이 놀랬네요... 영상 크기만 뻥튀기 한줄 알았는데,
기존 hd 컴팩트 디카와는 비교가 되지 않고, 산요의 hd캠코더들보다 좋은 화질이고, 제가 가진 보급형 HD캠코더
와 비교해도 손색없는 화질입니다.
제품이 발매되면, 제가 가진 컴팩트 디카, HD캠코더와 화질비교를 해드리고 싶네요
장점
- 휴대성 : 작은 크기라 가볍게 주머니에 넣고 다닐수 있음
- 은밀성 : MP3나 휴대폰과 유사해서 남몰래 촬영가능(?)
- 뛰어난 화질 : 기존의 hd 지원 컴팩트 디카나 산요캠보다 좋은 화질
- UCC용 : 가볍게 찍고, 쉽게 유투브와 연동되어 올릴수 있음
- 배터리 : AAA표준 배터리이므로 기존에 있는 밧데리를 이용할수 있음. 부가적으로 호환 배터리를 살필요 없음
- HDMI지원 : HD캠코더를 사용해보신분들은 HD티비와 PC에서의 화질의 차이를 아실겁니다. HDMI지원으로
쉽게 hd티비에서 볼수 있다는건 화질에서 엄청난 이득을 얻을수 있음
단점
- 좋은화각 : 화각이 4~50이면 좁은 화각 때문에 답답할수 있음. 일반 캠코더 제품들도 4~50정도인데, 보통 광각렌즈를 기본으로 구입하는편
셀프카메라 찍기에도 좀 좋지 않은 화각이라고 봅니다.
- 광학줌 미지원 : 디지털 줌으로 인한 화질 손상이나, 발줌의 괴로움
- 70cm 초점거리 : 가끔 접사찍거나 그럴때 아쉬움
- 손떨림 보정의 미지원 : 손떨림 보정의 미지원은 다덜 얘기하지 않아도 아실듯...
- 가격 : 가격이 어느정도로 나올지 모르나 20만원 초반대로 잡혀야 그나마 경쟁이 될 거 같음
(하지만, 생각보다 좋은 동영상 화질로 인해 가격경쟁력이 있다고 봄)
힘든 편이구요. 친구들이나 가족에게 찍은 영상을 공유하려면 따로 인코딩을 하는편입니다. 그래서 가벼운 컴팩트
디카 제품을 찾고 있었는데, hd캠코더의 화질에는 터무니 없더군요.. 그러다가 우연히 이제품 리뷰를 봤는데,
화질에 놀랐습니다. 핸드폰 처럼 언제든지 들고 다니면서 찍을수 있고, MP3나 핸드폰인것처럼 해서 친구들 굴욕 사진도
가능할 거 같습니다. 몰래 수업시간 녹화도 하고 ㅋㅋ
2. pc사양이 좋지 않아, 이것저것 플레이어나 코덱을 마니 써봤습니다.
곰플레이어 : 재생하다가 다운되거나, 재생이 되더라도 화면 딜레이가 심함, 원본 파일에 비해 색감이 죽거나 물빠진 느낌...
KMP : 곰플레이어와는 비교 안될정도로, 무리 없이 재생하나, 막강한 기능때문에 환경설정이 초보자에게는 어려움이 있음
재생중에는 곰플보다 PC점유율이나, 메모리 사용량은 적으나 처음 로딩시 곰플보다는 시간 지연이 있음
팟플레이어 : KMP제작자님께서 KMP는 판도라에 넘기고, 다음 팟에가서 만들고 계산 플레이어...
곰플레이어의 심플함과 KMP의 막강한 성능을 합친 플레이어.. KMP에서의 불필요한 환경설정 기능들을 심플하게
하면서도 성능은 KMP보다 PC점유율이나 메모리 사용량에서 더 적게 이용. 다음에서 지원하므로 성능개선이나
업데이트 면에서 곰플레이어에게 뒤지지 않음.. 그리고 함께 제공하고 잇는 무료 인코더인 팟인코더는
곰인코더보다 빠른 성능과 화질을 자랑하고 있음
CoreAVC : 고사양의 비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필수코덱
최상의 화질을 즐기기 위한 플레이어 환경설정
- KMP(2.9.3.1428: kmp제작자님이 가장 마지막까지 참여하시고 떠난 버전)나 팟플레이어를 설치(개인적으로 팟플레이어 추천)
- CoreAVC(v1.9.0.0) : 을 설치한다. 함께 설치하는 Haali splitter도 함께 설치한다.
- CoreAVC configure에서 Output levels 을 PC(0-255)로 설정한다. 이부분을 설정하지 않으면 kmp나 팟플레이어로 재생해도
물감 빠진듯한 색감이 나게 된다.
- 팟인코더 - 환경설정 - 코덱/필터 관리 - 비디오 코덱 - H264와 AVC1에 CoreAVC Video Decoder를 설정한다.
- 팟인코더 - 환경설정 - 영상 - 영상출력 - 출력방식 - Haali Video Render를 선택한다.
- 이제 최상의 화질로 영상을 즐긴다.
이상 제가 AVCHD포맷의 .MTS 파일을 재생할때 사용하는 환경입니다.
이보다 더 좋은 화질로 재생가능하면 공유좀 부탁드릴게요
3. zx1를 본 첫 느낌은 "뭐 이런 장난감이 또 나왔어?" 였습니다.
카메라와 같은 영상기기에 관심이 많아서 이것저것 많이 써보고 사용해 본 저로서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구매했다가 화질에 실망한 적이 많았거든요. 코닥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도 그렇고, 화질 기대는 하지 않았죠...
그런데, 올라온 샘플 원본 영상을 보고, 많이 놀랬네요... 영상 크기만 뻥튀기 한줄 알았는데,
기존 hd 컴팩트 디카와는 비교가 되지 않고, 산요의 hd캠코더들보다 좋은 화질이고, 제가 가진 보급형 HD캠코더
와 비교해도 손색없는 화질입니다.
제품이 발매되면, 제가 가진 컴팩트 디카, HD캠코더와 화질비교를 해드리고 싶네요
장점
- 휴대성 : 작은 크기라 가볍게 주머니에 넣고 다닐수 있음
- 은밀성 : MP3나 휴대폰과 유사해서 남몰래 촬영가능(?)
- 뛰어난 화질 : 기존의 hd 지원 컴팩트 디카나 산요캠보다 좋은 화질
- UCC용 : 가볍게 찍고, 쉽게 유투브와 연동되어 올릴수 있음
- 배터리 : AAA표준 배터리이므로 기존에 있는 밧데리를 이용할수 있음. 부가적으로 호환 배터리를 살필요 없음
- HDMI지원 : HD캠코더를 사용해보신분들은 HD티비와 PC에서의 화질의 차이를 아실겁니다. HDMI지원으로
쉽게 hd티비에서 볼수 있다는건 화질에서 엄청난 이득을 얻을수 있음
단점
- 좋은화각 : 화각이 4~50이면 좁은 화각 때문에 답답할수 있음. 일반 캠코더 제품들도 4~50정도인데, 보통 광각렌즈를 기본으로 구입하는편
셀프카메라 찍기에도 좀 좋지 않은 화각이라고 봅니다.
- 광학줌 미지원 : 디지털 줌으로 인한 화질 손상이나, 발줌의 괴로움
- 70cm 초점거리 : 가끔 접사찍거나 그럴때 아쉬움
- 손떨림 보정의 미지원 : 손떨림 보정의 미지원은 다덜 얘기하지 않아도 아실듯...
- 가격 : 가격이 어느정도로 나올지 모르나 20만원 초반대로 잡혀야 그나마 경쟁이 될 거 같음
(하지만, 생각보다 좋은 동영상 화질로 인해 가격경쟁력이 있다고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