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ilvaq 2015-05-28 09:55 윗분이 말씀하신것 처럼 센서 사이즈는 135포맷 즉, 풀프레임 1.5 크롭입니다. 포베온의 장점은 적층형센서에서 나옵니다. 베이어 방법(카메라에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하나의 픽셀에 rgb에 대한 정보를 받고 하나의 픽셀과 그 주변 픽셀의 값을 비교(보관)하여 그러니깐, 원래의 색에 가까운 색을 재현해 내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서 포베온은 주변센서와 보관하지 않고, 바로 색을 재현하니, 그만큼 이익이 있습니다.
달리 말하면, 센서에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사진 품질이 달라지는데, 베이어 방식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3배로 뻥티기 한게 포베온이라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풀프레임 포베온이 풀프레임 베이어 면적을 단순 비교하면, 포베온이 센서 면적이 베이어센서 면적보다 2-3배정도 크게 됩니다. 그러니 이미지가 좋아질 수 밖에 없죠.
다만, 과거 포베온 기술이 안 좋을때는 선예도, 노이즈, 색 재현력 등이 베이어 비해 많이 떨어졌고, 빛에 민감하다 보니, 빛이 모자란 경우 노이즈 등의 단점이 부각됩니다. 무엇보다, 포베온이 기존 베이어 방식과 다른 보간법을 사용하다 보니,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도 없고, 사용에 불편한 점도 있습니다.
달리 말하면, 센서에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사진 품질이 달라지는데, 베이어 방식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3배로 뻥티기 한게 포베온이라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풀프레임 포베온이 풀프레임 베이어 면적을 단순 비교하면, 포베온이 센서 면적이 베이어센서 면적보다 2-3배정도 크게 됩니다. 그러니 이미지가 좋아질 수 밖에 없죠.
다만, 과거 포베온 기술이 안 좋을때는 선예도, 노이즈, 색 재현력 등이 베이어 비해 많이 떨어졌고, 빛에 민감하다 보니, 빛이 모자란 경우 노이즈 등의 단점이 부각됩니다. 무엇보다, 포베온이 기존 베이어 방식과 다른 보간법을 사용하다 보니,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도 없고, 사용에 불편한 점도 있습니다.
아.. 어제 먹은 술이 덜깨 글이 엉망이네요ㅜ.ㅜ 잘 전달될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