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고정자/TimeFixer™ 2017-01-12 09:38 ㅎㅎ 모니터 밝기가 좀 과하긴 한듯 합니다.
저는 듀얼 모니터 사용중인데, 사진 보정은 4K 모니터에서 하고 있습니다.
거의 정확한 색과 노출을 보여준다고 생각하고 있는 모니터이고,
다른 모니터는 주로 인터넷을 띄워서 보고 있는 UHD 급 모니터 입니다.
4K 모니터보다 조금 밝아서 4K 모니터에서 보이지 않던 노이즈 등이 보이면 재보정을 하기도 합니다.
제가 쓰는 두 모니터 모두에서 노이즈는 보이지 않습니다만,
종서아빠님의 예리함에 놀라기도 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사진은 7장 모두를 가지고 SFD 모드를 적용한 사진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골목 저 안쪽에서 들어오시는 분이 계셔서 그걸 줄여보고 수정하느라
3장의 사진으로만 SFD 모드를 적용하고 보정한 것입니다.
그제 올린 초접사 사진에서처럼 계조가 풍부한 7장의 사진으로 얻는 SFD 모드의 매끄럽고 노이즈 없는 사진과,
추린 몇장의 사진으로 만들때의 노이즈 패턴의 차이가 크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SFD 작동에 관한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사항이지 않겠는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듀얼 모니터 사용중인데, 사진 보정은 4K 모니터에서 하고 있습니다.
거의 정확한 색과 노출을 보여준다고 생각하고 있는 모니터이고,
다른 모니터는 주로 인터넷을 띄워서 보고 있는 UHD 급 모니터 입니다.
4K 모니터보다 조금 밝아서 4K 모니터에서 보이지 않던 노이즈 등이 보이면 재보정을 하기도 합니다.
제가 쓰는 두 모니터 모두에서 노이즈는 보이지 않습니다만,
종서아빠님의 예리함에 놀라기도 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사진은 7장 모두를 가지고 SFD 모드를 적용한 사진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골목 저 안쪽에서 들어오시는 분이 계셔서 그걸 줄여보고 수정하느라
3장의 사진으로만 SFD 모드를 적용하고 보정한 것입니다.
그제 올린 초접사 사진에서처럼 계조가 풍부한 7장의 사진으로 얻는 SFD 모드의 매끄럽고 노이즈 없는 사진과,
추린 몇장의 사진으로 만들때의 노이즈 패턴의 차이가 크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SFD 작동에 관한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사항이지 않겠는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