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 서울시는 유진메트로컴에 2022년까지 광고권을 주는 파격적인 조건으로 계약했다. 유진메트로컴은 서울시가 공고를 내기 5개월 전인 2003년 10월 설립됐다. 안전문을 설치·관리한 경험도 없었다. 이 전 시장의 앞뒤 가리지 않는 ‘추진력’과 국제적으로 기술 표준화가 덜 된 안전문을 기술과 경험이 부족한 업체에 맡긴 게 부실의 씨앗이 된 것이다.
오세훈 : 2008년 서울메트로의 구조조정을 시작했다. 직원의 20%인 2000여명을 민간위탁·외주화 방식으로 감축한다는 계획이었다.
당시 구조조정 대상자의 반발을 줄이기 위해 퇴직자를 용역회사에 떠넘겼다. 숨진 김군이 일했던 은성피에스디도 2011년 설립될 때 직원 125명 가운데 90명이 서울메트로 출신이었다. 또 전적자(서울메트로에서 퇴직하고 용역회사로 넘어간 직원)에게 기존 임금의 60~80%를 보전하도록 요구했다. 이에 따라 메트로 출신은 다른 직원에 견줘 임금 등에서 나은 대우를 받아왔다.
2009년에는 안전문이 없었던 서울 지하철 1~4호선 97개 역사에서 공사가 시작됐다. 모든 역사에 안전문을 설치하겠다는 오 전 시장의 공약에 따라, 1년 안에 공사를 마무리하기 위해 열차가 다니지 않는 새벽 1~5시에 공사를 했다. 정수영 서울메트로 사장 직무대행은 “안전문 건설을 짧은 기간에 밀어붙였기 때문에 지금 유지·보수하는 데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고 말했다. 시간이 지나자 안전문 고장이 잦아졌다
박원순 : 2011년 박원순 시장이 취임한 뒤 사고가 연이어 터지기 시작했다. 2013년 성수역, 지난해 강남역, 지난달 구의역에서 3명의 안전문 수리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똑같은 유형의 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박 시장은 비슷한 대책을 되풀이했지만, 이번 사고로 현장은 달라진 게 없음이 드러났다.2016-06-06 14:03 신고
노란하늘[노란하늘] 명박각하의 시절의 기억이 생생합니다.
당시에 기술력이 높은 중소기업을 키워야 한다고 한창 부추기는 때였죠.
대한민국에 스크린도어관련 특허와 각종 기술을 가진 기업이 하나 있었죠
그런데 스크린도어 설치 입찰조건에 시공경험이 아주 높은 점수를 차지했었죠 ㅋㅋㅋ
대한민국에 한번도 설치한적이 없는데 시공경험을 높이 평가하겠다고 ㅍㅍㅍ 사실상 국내 업체는 들어오지 말라는 이야기 ㅍㅍㅍ
그러데 저 업체는 어떻게??????? 2016-06-06 14:16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khbang1***
닉네임 : 노란하늘
포인트 : 49815 점
레 벨 : 우수회원(레벨 : 7)
가입일 : 2016-03-01 12:35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