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511차원 소년 글쎄요.. 전혀 상관없을지 않을까요...
F-14D라면 엄청나게 오래된 기체라고 생각되는데..
미 주력기가 F-15E고.. 그 걸 다시금 제 설계해서 만든게.. F-15K
솔찍히 F-35가 그당시 개발중이었고...
F-22는 거의 불가능하고..
저는 F-15도입이 너무나 늦게 되어서...
오히려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솔찍히 F-15가 F-4 대신에 도입된 기종인데... 거의 F-4는 골동품이었는데....2008-01-16 01:06 신고
00711차원 소년 우리나라는 미국이 F-4대신해서 F-15를 굴리고 F-15를 퇴역시키기 전까지 하던 시간 동안....
F-4로 다 했죠...
중간에 F-16을 도입하긴 했지만..
아무튼 돈이 부족하니까.. 내린 결정이 강하죠....
갠적으로 우리나라 공군 전투력은 좋다고 생각되네요....
미국처럼 돈 쏟아 붓는다면 당연히 좋겠지만..
우리나라 사정상 거의 불가능하고....2008-01-16 01:13 신고
결함 분명합니다. 기령이 더 오래된 기종도 그런 문제점이 안생기기때문에...
당연히 \'결함\'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거구요.
초도생산이 70년대라는건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만...
F-15k가 가진 이른바 최신 기술이라는건... 대부분 허울뿐이라는게 큰 문제죠.
우리는 차세대기라고 들여온건데...(그것도 도입하는 도중입니다. 아직 들여와야하니...)
이미 다른 나라들이 도입하는 기종들은 세대 자체가 다릅니다.
만약 전쟁이 났을때... F-15K는 그냥 다른 F-15나 다를바가 없다고 할 수도 있는거죠.2008-01-16 01:31 신고
01011차원 소년 F-15만큼은 솔찍히 믿을만 하지 않나요...
몇십년동안 최강의 전투기로 이름을 올렸고..
그리고 결함이라는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노후화에 따른 결함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무작정 비난하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네요....
실제로 전투기를 운영시에 많은 결함이 발생하고.. 그 결함을 줄이기 위해서 파트를 신제품으로 교환하고...
이번 결함이 분명 엄청나게 심각한 결함이긴 하죠.. 그리고 원래 동일한종류의 비행기가 결함이 발생하면... 거의 무조건 검사를 합니다..
그리고 세대세대 하는데.... 실제로 생각하면.. F-15의 후속 기종은 미국에서는 F-22이죠..
그치만 이 기종은 미 국회에서 승인할 가능성이 거의 없고..
값도 엄청나게 비싸죠...
그렇다고 F-35를 도입하자니.. F-16의 후속 개념이고..
우리나라는 개발에 참여도 안해서.. 엄청나게 기달려야지.. 도입가능하죠..
카메라같이 세대에서 엄청나게 바뀌는게 아니라..
지속적으로 카메가 같은면 센서도 보정하고.. 파트도 교환하고..
실제로 비행기에다가 엄청나게 유지관리비용을 쏟아 붇죠....
그리고 실제로 F-15를 미국에서. 다시 가져갈 가능성은 제로이고 ㅡㅡ;;; ㅎㅎ2008-01-16 01:49 신고
비싼 값이라는 것도...
기획단계에서 문제가 된 것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비행기나 전투기는 특성상 생산 대수가 정해져야 값이 정해지게되어있는데...
원하는 스펙대로는 맞췄으나, 도입 대수를 줄여버리는 바람에 값이 비싸지게된거죠.
원래 계획대로 도입이 되었다면 값 역시 큰 문제는 못되는거였습니다.
후속개념의 문제는 아니라고 보구요.
(F-15는 F-15이고 F-22는 F-22입니다. 목적상 유사하지만 매커니즘을 물려받진 않았습니다.)
그리고... F-15가 몇십년 동안 최강의 전투기인거... 현재 기준으로 그만큼의 가치가 있을지는...ㅎㅎ
(현대의 전쟁이라는게...ㅎㅎ 공대공도 많지 않으며 공대지는 더 뛰어난 기종이 많으니까요.)2008-01-16 01:56 신고
01311차원 소년 F-22; F-32를 도입을 못한 이유중 큰것이
그당시 개발이 완성되지 못했다는 이유입니다...
지금이야 개발이 완성돼었고.. 성공적으로 데뷔를 했죠...
하지만 우리나라는 조금 사정이 다르죠...
실질적으로 노후가 진행될때로 된.. F-4를 대신 하는 사업인데..
개발과정의 전투기를 무작정 도입도 못하죠....
F-15도입의 중요한 요인중 하나가 또 그만큼 안정적 이기 때문이죠...
그리고 F-15j 를 일본에서는 80년대에 이미 도입을 했죠...
갠적으로 우리나라도 그당시에 F-15도입하고 지금은 F-22 도입을 생각했어야 했죠...
그리고 또 그러면 기왕 늦은것 F-22로 갔으면 좋았을것...
F-15로 뭐하로 갔냐??
라고 생각하실텐데..
돈 아낄려고 우리나라 항공을 무방비상태로 해야 되나요??
지금 당장 카메라가 필요한데... 현재 있는건 a100인데... 그리고 a마운튼 렌즈도 제법 보유하고 있고.... 현재 a700과 a900이 있는데....
현재 개발이 되어있는건 a700이고 앞으로 조금만 있으면 a900이 나오긴 하는데..
정확히 언제 완료 될지도 모르고..
그렇다고 a100으로 하기에는 약간 그렇고...
그래서 a700을 선택했다라고 할수가 있겠지요..
ㅎㅎ 조금 경우가 벚어난 경우는 있지만..
이번 내용이라고 생각되네요 ㅎㅎ ^^;;;2008-01-16 02:15 신고
공군에서 필요로 했던 사항은 \"장거리 지상공격 능력\"입니다. 제공전투기가 필요했던 것이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제공전투 능력은 현재 운용중인 F-16C/D로도 충분하고도 남습니다. 하지만 F-16C/D가 할 수 없는 것은 대량의 폭탄을 매달고 장거리를 날아가서 공격하는 능력입니다. 이것은 그동안 한국 공군에서는 F-4 팬텀이 담당해 왔던 것입니다.2008-01-16 10:47 신고
020HG 공군에서 차세대 전\"폭\"기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후보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사실상 F-15E밖에 없었습니다. 다른 기종들은 처음부터 구색맞추기로 끼워넣어진 것들에 불과합니다. 라팔, 수호이 27, 유로파이터 등은 신형인 만큼 전투기로서의 능력은 더 뛰어나지만 장거리 지상공격 능력은 F-15E에 크게 떨어집니다. F-22는 더 할 말도 없고요.
F-22는 2개의 정밀유도폭탄을 장착하고 더욱 정밀한 공격이 가능합니다만, 한국 공군에서는 그런 능력만 지닌 F-22보다는 더욱 다양한 능력을 지닌 F-15E를 필요로 했습니다.
또, \"격추당할 가능성\"이 높은 임무에 투입되는 기종인데 값비싼 F-22를 택할 수도 없었던 것이고요.2008-01-16 10:50 신고
021HG 흔히 F-15라고 하면 F15A/B/C/D를 말합니다. 이 중 개량된 형태가 F-15C/D이고, 이들이 미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입니다.
하지만 F-15E/F는 다른 비행기입니다. 제공 전투 임무, 즉 전투기와의 대결을 주 임무로 하는 F-15C/D와는 달리 F-15E/F는 지상 폭격 임무용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물론 F-15라는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다용도 전투기이므로 F-15C/D로 지상폭격도 가능하고 F-15E/F로 제공전투도 가능합니다만 이들은 각각 다른 임무로 특화되어 있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본 임무가 있고 나머지는 부가 임무인 것입니다.
F-15E/F는 F-15C/D보다 한참 후에 다시 개발된 기체입니다. 기체도 보강되어 있고 신기술도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미공군에서 F-15가 퇴역한다고 해도 F-15E/F는 훨씬 더 오랫동안 사용될 예정입니다. 제공전투 임무에서 F-15C/D가 퇴역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한국 공군의 F-15K라는 것은 F-15E/F를 들여온 것이고 주 임무는 지상폭격이지요.
F-22는 기본적으로 F-15C/D의 후속입니다. F-15E/F와는 다소 영역이 다릅니다.2008-01-16 10:55 신고
023HG F-15K도 결함 여부를 조사해야 하는 이유는 아무리 최신 재질과 공법으로 만들어져 있다 할지라도 기본 구조가 같은 이상 동일한 부분에 피로가 누적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부분에 어느 정도 피로가 발생하고 있는가를 반드시 검사해 봐야 합니다. 기계 구조물은 힘을 받는 부분에 \"피로\"라는 것이 쌓이고 특별히 힘이 집중되는 부분에는 그것이 더욱 큽니다. 그리고, 그것이 어느 한도를 넘어가면 \"파괴\"라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특별한 결함이 없더라도 이것은 어떠한 기계 구조물에서도 다 일어나는 현상인데, \"좋은 설계\"라는 것은 피로가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오래 사용해도 파괴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설계를 말한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파괴가 되었느니 결함을 조사하느니 한다 하여 SBS처럼 호들갑을 떨 일은 아니라는 것입니다.2008-01-16 10:59 신고
027FrozenPenPen F15K나 F15E가 70년대에 생산되었다는건 참으로 엄청난 착각입니다만...
F15는 E부터는 폭격능력이 중점이고 그 전은 공대공전투가 중점인...
숫자와 겉보기만 같지 실상 다른 기종입니다...
현재 실전경험을 거친 검증된 기종중에 전략전폭기로서 F15K를 능가하는 기종은 세계 어디에도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중국과 일본까지 작전반경으로 둘 수 있게 되기때문에...
우리나라 F15K도입시 일본에서 반대로비가 격렬했죠...
무기는 단순히 \"오래된 모델\"이라고 해서 무시할 수 있고 \"최신모델\"이라고 해서 무조건 더 좋은게 아닙니다.
비근한 예로 이제는 기체자체(\"모델\"이 아니라 \"기체\")의 노후화가 심해서 할 수 없이 퇴역한 F-14나 프라울러등이 있죠. 60년대에 개발된 모델들인데 현재도 이와 대등한 기종이 없습니다만... 대책이 없어서 퇴역한 안타까운 기종들입니다...2008-01-16 11:07 신고
02811차원 소년 저는 그래도 조금 아쉽긴 하더군요..
F-15를 이전에 도입했어야 했는데..
팬텀으로 아직 까지 버틴 우리나라가 정말... ㅎㅎ
우리나라 도로포장같은 공사를 줄이고....
우리나라도 조금 돈을 많이 먹더라도..
자체 전투기좀 만들었으면 하네요.. ^^;;2008-01-17 01:30 신고
030HG 그 \"불가능하다는 것을 한 것\"에는 과장이나 환상도 꽤 끼어 있는 게 문제죠.
물론 정말인 부분도 있지만 ......
F-15를 이전에 도입하지 못한 이유는 미국이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뿐만이 아니라 F-15E 이전에는 지상폭격 능력이 팬텀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도 있고요. F-15E가 나오고 나서 그것이 검증되고 나서야 비로소 고려 대상이 된 것입니다.2008-01-17 16:46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heyjey
닉네임 : HeyJey/최준용
포인트 : 57797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06-12-14 23:29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