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독야청청 마크로 사진에서 제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 심도입니다
심도가 너무 낮으면 피사체를 제대로 쨍하게 담아내기가 힙듭니다 인포커싱 아웃포커싱으로 인해 부자연스런 장면이 속출하지요
그래서 심도면에서 유리한 크로바디를 쓴답니다...요는 적절한 심도로 보여주고자 하는 피사체의 부분을 온전히 표현하는 데 크롭바디가 조금 유리하다는 것입니다~2015-12-27 18:59 신고
004PIXXEL 크롭이 심도가 더 깊기는 합니다.
그러나 크롭이 더 크게 찍히죠..? 상대적으로 FF는 작게 찍힙니다.
그럼 크게찍힌 피사체와 작게 찍힌 피사체....어느쪽 심도가 더 깊을까요?
단순히 크롭이라서 심도가 유리하다 말할 수 없게 됩니다. 같은 화면 비율로
찍게되면 크롭이 유리한건 확실하나 같은 피사체를 놓고 촬영한다 할대 아무래도
크롭이 더 크게 찍히는 경향이 크니.............자기 촬영방식에 잘 대입해 보시기 바랍니다.
디테일 표현은...............한마디로 판형의 한계를 극복한다는건 동시대 카메라들로는
불가능 하다는 점입니다. 샤픈/디테일/보정한계/색표현 모두 FF가 유리합니다.
고화소 바디로 작게찍어 심도를 확보한후 크롭하는게 더 좋은 방법일 수도 있겠죠.
단지 무조건 더 크게 찍어야 할경우 크롭이 유리하겠죠.. 초접사에서 가장 중요한건
조명입니다. 조명을 사용한다 할때.... 조리개를 많이 조이고 감도가 높지않은 셋팅이
될 상황이 많기 때문에 블러는 플래시로 인해 상쇄가 되는데 빛이 들어가는 각도에 따라
디테일이 살 수도 있고 죽을 수도 있습니다.2015-12-27 22:04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ysang0414***
닉네임 : 독야청청
포인트 : 839918 점
레 벨 : 골드회원(레벨 : 5)
가입일 : 2012-10-23 02:30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