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3lunic* 아직도 고fps에서의 동체추적은 E-M1라인에만 넣어줘야 된다고 생각하는군요.
a6000도 E-M5만큼이나 장수만세입니다. 오늘도 의문의 1승이네요.
AF추적패드는 예상했던 기능이고, 이제 딱 하나 궁금한 건 EVF 배율 정도.2016-01-23 01:31 신고
008옥탑냥이소니 신형 20MP 센서의 성능이 그닥인건 둘째 치고
아직도 트루픽7인가 보네요
올림이 센서 사골 소린 안듣게 된지 좀 됐다지만 이미지프로세서를
너무 우려먹네요..4년째 접어드는데 ISP가 개선되어야 뭐가 좀 바뀔텐데
사진 자체의 화질은 E-P5때와 달라진게 없을듯 합니다
ISO도 몇년째 200-25600그대로고..
이젠 기본최대치가 51200이거나 정 어려우면
확장감도라도 51200 지원할 법도 한데..
EVF성능도 3년전 그대로, LCD성능도 그대로..
동영상 코덱도 여전히 H.264 그대로..
EVF달린 레트로 디자인 너무 좋아서
E-M1 팔고 총알장전중이라 나오면 살 생각이긴 한데..
약간 고민되긴 하네요..2016-01-23 13:00 신고
워프짱™[lunic*] 과연 그럴런지요... 주문하는쪽이 결정했다면 굳이 E-M1센서를 파나꺼를 쓸 이유가 없었으리라 보여지네요.
소니가 마포센서에 위상차를 박아줬다면 굳이 E-M1에 파나센서를 쓸 필요는 없었으리라 생각됩니다.
파나 입장에서는 센서를 써줄곳이 올림밖에 없으니 추가해줄수 있었을 가능성이 높구요. 파나가 GH4 센서에 위상차방식을 쓰지 않는 이유는 4K 영상이 1:1 픽셀이 되어 위상차 픽셀을 쓸 경우 IQ를 보장할수 없었다는 인터뷰가 있습니다. 올림은 4K를 넣지 않으니 위상차픽셀을 써도 프로세싱으로 커버할수 있다고 했을수도 있겠지요.
E-M1의 파나센서가 정말 의외였던 이유가 파나가 쓰지 않는 센서위상차를 박은 파나센서였다는것 아니겠습니까.
소니가 올림의 주문에 응해줬다면 굳이 파나 센서를 쓸 이유는 없었겠지요.2016-01-25 11:01 신고
lunic*[워프짱™] M1이 왜 파나센서였는지는 참 미스테리(?)죠. 근데 후지를 보면 X-T1이나 이번에 X-Pro2 모두 베이스로 보이는 소니센서와는 전혀 다른 위상차픽셀 배치를 쓴단 말이죠. 올림이 후지보다 호구지수가 높아서 안 해준다거나 그냥 소니는 비싸게 구니까 요구를 안 했다거나.... 이번 20MP가 파나에서 쓰는 그게 맞다면 규모의 경제로 덮어썼다거나... 그런 거겠죠?
M5mk2나 M10mk2를 쓴 적이 없어서 그 쪽의 AF-C가 M5나 P5에 비해 얼마나 나아졌는지 알 수는 없는데, fps부터 딸리는 데다 파나소닉처럼 DFD 같은 '노오오오력'을 하는 것도 아니니까.... 그게 답답한 거죠. 센서제조사와 어떤 알력이 있는지에 대해서 고객이 이해해 줄 이유는 없기도 하고요.2016-01-25 20:26 신고
워프짱™[아립] < 컨트라스트AF + DFD AF >
- 파나소닉은 왜 상면위상차AF 채용을 하지 않는가?
컨트AF쪽이 촛점 정확도가 높다고 생각. 상면 위상차 AF는 위상차 화소의 화소 보간이 필요하므로, 보간처리를 하고 있다고 해도 화질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없음. 또한, 상면위상차 화소 보간처리도 앞으로의 고해상도화, 고속 프레임화를 생각하면, 시간적으로 처리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생각되므로, 다음 세대를 본다면 컨트AF의 약점을 DFD AF로 보충하는 형태가 낫다고 생각.
DFD AF의 장점은 센서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FF에서도 더작은 크기의 센서에서도 적용이 가능.
- 그러나 렌즈의 보케테이블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자나?
그렇죠. 렌즈마다 방대한 보케데이터가 카메라와 렌즈에 저장되어 있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DFD AF를 실시. 마포 규격의 Lumix 렌즈라면 대부분의 렌즈가 대응. 또한 G7에서 하지만, DFD AF기술을 응용하여 타사의 마포렌즈 사용시에도 더욱 부드럽고 빠른 AF를 실현.
----------------------------------------------------------------------------------------------------------------------
메이커 직격인터뷰에서 퍼왔습니다. 파나가 컨트+DFD를 고집하는건 단순히 자존심때문은 아니죠.
20MP센서에서도 전화소읽어오기를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1:1로 4K영상을 읽어와야 하는데 거기에다가 위상차 픽셀까지 넣어서 IQ손실까지 줄수는 없다가 이유입니다.
DFD AF자체가 특허도 오래되었고, 파나 고유 특허기술도 아니며, 이번에 처음 도입한것일 뿐입니다. 게다가 약점도 떠앉은채 말입니다.2016-01-26 15:26 신고
lunic*[워프짱™] 그거야 그렇죠. 자꾸 뱀발이지만 X-Trans도 결국 6*6픽셀 패턴이고, 마이크로렌즈-컬러필터-(위상차픽셀 마스크)-포토다이오드 구조는 같은데 후지 쪽이야 애초에 컬러필터부터 따로 얹어야 하니 후지 쪽이 더 개입하기 쉽긴 하겠죠. 근데 후지나 올림이나 같은 선상의 G픽셀 일부를 한 번은 왼쪽 가리고 한 번은 오른쪽 가려서 구현하는 건 똑같아서.... R과 B를 바꿔서 모든 방향에 RGB가 다 있는 게 X-Trans의 핵심이지 베이어나 X-Trans나 모든 줄에 G는 들어가 있으니까요.
(E-M1 제품주기 거의 끝나는 시점에서 지금도 재밌는 건 파나센서라는 게 밝혀지고 나서 지금까지의 반응들이랄까요. 뭐.....)2016-01-26 15:42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닉네임 :
포인트 : 0 점
레 벨 : (레벨 : )
가입일 : 1970-01-01 09:00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