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fsajjflfdasyf 혹시 사진 초보자이시라면 수동에다가 광각이기까지 하면 굉장히 어려울 것입니다만 .......
게다가 이 렌즈의 문제는 수동촛점이고 팬포커스 촬영을 하기 쉬운 촛점거리의 렌즈임에도 불구하고 피사계심도 지표가 없다는 것입니다. 피사계심도 지표만 있다면 정말 가볍고 기분좋게 쓸 수 있는 렌즈인데 그것이 없어서 활용성을 크게 떨어뜨리는군요.
처음 구입하시는 것일 경우 가격이 절대적 요소가 아니라면 이 렌즈 구입은 뜯어말리고 대신 올림푸스 12mm를 강력하게 권하고 싶습니다만 이미 구입하셨으므로 최대한 쉽게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마침 카메라도 E-M5 MarkII이므로 버튼도 많으니 활용할 방법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간략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2016-09-04 14:36 신고
003fsajjflfdasyf 일단 수동촛점 렌즈를 활용하는 기본 방법은 확대와 피킹입니다. 여기서 피킹보다도 중요한 것은 확대입니다. 확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피킹은 상당히 부정확한 결과를 가져올 때가 종종 있습니다.
매번 확대와 피킹을 하려면 번거로운데, E-M5 MarkII라면 앞쪽 버튼을 피킹으로 지정하고 확대는 Fn2 버튼에서 확대 기능을 선택하시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수동촛점 기능을 사용하실 때 세팅 D의 12번째 항목인 "LV 클로즈업 모드"를 mode 1으로 설정해 놓으시면 편합니다.
LV 클로즈업 모드가 mode 1일 경우 반셔터를 누르면 반셔터를 누르는 동안 피킹과 확대가 해제되므로 구도를 잡기 편합니다. 일단 피킹과 확대를 이용하여 촛점을 정밀하게 맞추신 후 반셔터를 눌러 구도를 잡고 그대로 셔터를 끝까지 눌러서 촬영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시면 수동촛점도 굉장히 편하게 쓰실 수 있습니다.2016-09-04 14:44 신고
004fsajjflfdasyf 그런데, 이 렌즈를 구입하신 목적이 여행 등에서 넓은 장면을 스냅으로 담으시는 것일 경우 이보다 더 편한 방법이 있습니다.
광각렌즈는 조리개를 개방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조여서 깊은 심도를 이용하는 것이 더 좋은 활용 방법입니다. 그리고, 심도가 깊다는 것을 활용하여 촛점을 따로 맞추지 않고 대충 구도만 잡고 찍는 방법, 즉 팬포커스 촬영 방법을 쓰시면 아주 편합니다. 표준렌즈로는 한계가 있지만 광각렌즈로는 아주 쉽게 할 수 있지요.
촛점 지표를 3m로 맞추시고 조리개 수치를 F5.6으로 맞추시면 대략 2미터에서 거의 무한대까지 거의 피사계심도 안에 들어오므로 촛점 맞추는 것을 신경쓰지 않고 셔터만 눌러 찍으실 수 있습니다. 밝은 낮이라면 F8 정도까지 조여 주시면 심도는 더 깊어지지만 마이크로포서즈 시스템에서는 대개 F5.6보다 더 조이면 선예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F8까지 조이는 것은 그렇게 권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F5.6에 3미터 정도가 12mm 렌즈에서 팬포커스 촬영의 기본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리라고 봅니다. 조금 미심쩍으면 F6.7 정도까지만 조여 주시면 충분할 것입니다.
주 피사체가 2미터 안에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런 방법으로 사진을 안심하고 마구 찍으실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찍으시다가 중요한 피사체에 정밀하게 촛점을 맞추고 싶으실 경우에만 위에서 설명한 피킹과 확대를 이용하시면 될 것입니다.2016-09-04 14:53 신고
005fsajjflfdasyf 그러고 보니 삼양 12mm에는 3미터 표시가 없는데, 무한대 표시 왼쪽에 그려진 선이 꺾여지는 부분보다 약간 왼쪽이 대략 3미터 위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은 이런 면에서도 올림푸스 12mm 렌즈가 훨씬 쓰기 편합니다.)2016-09-04 14:56 신고
006fsajjflfdasyf 피킹과 확대를 사용하실 때 주의하실 점은 촛점을 맞추실 때는 조리개를 웬만하면 개방하고 해 주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야 촛점이 맞는 부분을 제대로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올림푸스 AF 렌즈들은 조리개를 조이더라도 그것은 셔터가 눌릴 때만 적용이 됩니다. 촛점은 항상 개방 상태에서 잡게 되며 조리개 수치까지 조여지는 것은 전자식으로 자동으로 이뤄집니다. 하지만, 삼양 수동렌즈는 조리개를 조이면 그 수치만큼 언제나 실제로 조여져 버리는데, 촛점을 잡기 전에 조리개를 미리 조여 두면 심도가 너무 깊어지므로 촛점이 잡힌 위치가 어디인지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촛점을 잡을 때는 조리개를 개방하고, 일단 촛점을 잡은 후에 원하는 만큼 조리개를 조여 주셔야 합니다.
(사실 25mm, 42.5mm 정도의 렌즈라면 개방한 쪽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촛점을 맞춘 후 조금만 조이게 되니 별로 불편하지 않은데, 조리개를 상당히 많이 조일 경우가 많은 광각렌즈에서는 수동은 이 부분이 불편하지요.)
지금까지 촛점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신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조리개를 미리 조여 놓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셔터속도는 신경쓰지 마시기 바랍니다. A 모드로 놓고 셔터속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괜히 매뉴얼(M)로 하시면 힘듭니다. ISO(감도) 또한 자동으로 놓으실 것을 권합니다.
12mm 렌즈라면 E-M5 MarkII는 대개 1/2s까지는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고 버텨 줍니다. 익숙한 사람일 경우 1초까지도 그냥 손으로 들고 찍을 수 있을 정도이므로 손떨림에 대해서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웬만한 상황에서는 셔터속도가 거기까지 내려가지도 않지요.
즉, 그냥 셔터속도는 신경쓰지 말고 대충 쓰시면 됩니다. 처음부터 세세한 것 다 신경쓰시려고 하면 사진을 즐길 수 없습니다.2016-09-04 15:03 신고
fsajjflfdasyf[나링~나링~] 그러고 보니 이 렌즈는 F8까지 조이셔도 화질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군요.
F5.6~F8 정도를 자유롭게 쓰시면서 팬포커스 촬영을 하실 수 있으리라고 생각됩니다.
화면 중앙부는 F2.8~4.0에서 최고의 화질이 나오고 그 이상 조이면 선예도가 떨어지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F8까지는 아주 훌륭한 화질을 유지하므로 굳이 최고 화질을 고집할 필요가 없고, 주변부의 경우 F2.0에서는 그럭저럭 괜찮은 화질이며 F5.6까지 조일 때 최고의 화질이 나오며 F8에서는 그것보다 떨어지지만 여전히 아주 좋습니다. 따라서 F5.6~F8 정도는 화면 구석구석까지 화질 걱정 없이 쓰실 수 있겠습니다. 피사계심도를 더 넓게 잡고 싶으실 경우 F8.0으로 하시는 것이 더 낫겠군요.2016-09-04 16:28 신고
fsajjflfdasyf[나링~나링~] 5.6에서 화면 전체적으로 고른 최고 화질이 나오지만 중앙부는 F2.8~4에서 최고 화질입니다.
다만, 이 렌즈는 F2.0~F16.0 범위에서 화면 전체 화질이 다 쓸만한 수준이고, F5.6~F8에서는 화면 전체가 매우 훌륭하므로 조리개 수치와 화질의 관계를 크게 신경쓰실 필요가 없습니다. 아주 훌륭한 렌즈이지요.
지금까지 화질이 안 좋았다면 그 원인으로 생각할 만한 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1) 조리개를 조이고 촛점을 맞추느라고 촛점을 제대로 못 맞추었을 경우.
(2) 무리하게 M 모드로 놓고 찍어서 노출이 안 맞았을 경우. (그냥 A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3) 조리개를 너무 조여서 셔터 속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바람에 흔들렸을 경우. (가능성은 낮으나 무리하게 M 모드를 쓰다가 이렇게 되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2016-09-04 16:34 신고
fsajjflfdasyf[나링~나링~] 그런데, 약간 잘못 이해하신 듯합니다.
모든 렌즈는 조리개를 조여 감에 따라서 화질이 바뀝니다.
하지만, 그런 면에서는 이 렌즈는 오히려 조리개 값에 따른 화질 변화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우수한 렌즈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느 영역에서 최고 화질이라고 말씀드리는 것은 렌즈마다 당연히 있는 것인데, 이 렌즈는 F11까지는 일정 수준 아래로 화질이 떨어지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매우 편하게 쓸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경쓰실 것은 두 가지 뿐입니다.
(1) 촛점과 피사계심도
(2) 손떨림에 의한 흔들림
조리개를 개방하면 심도가 얕아지므로 원하는 피사체가 촛점 맞은 영역에서 벗어날 우려가 크고, 바로 그 부분 때문에 지금까지 사진을 망치신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촛점을 아주 정확하게 잡거나(피킹과 확대를 이용) 아니면 조리개를 조여서 심도를 깊게 잡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조리개를 F8 정도로 조일 경우 야간에는 셔터속도가 너무 느려져서 흔들림이 발생할 우려가 커집니다. 다행히 E-M5 MarkII는 손떨림보정 능력이 아주 강력하므로 많은 부분을 커버해 줄 수 있으나 지나치게 어두운 곳에서 F8로 조이면 손떨림보정으로 커버가 안 되는 수준까지 셔터속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야간에는 손으로 들고 찍으실 때는 웬만하면 F2.8~4 정도를 쓰시고 촛점을 좀더 정확하게 잡아 주시는 것이 좋지요. 팬포커스 촬영은 낮에 하기 쉽습니다. 물론 야간에도 ISO 1600~3200 정도의 고감도를 쓰시면 되기는 하나 그러면 화질이 떨어지게 되므로 주의해서 쓰셔야 합니다.2016-09-05 01:30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blongreen***
닉네임 : B&T
포인트 : 8457 점
레 벨 : 정회원(레벨 : 8)
가입일 : 2015-05-11 01:35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