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X]ffotagu 환산기준으로 50MM F4와 동일 초점영역등 완전히 동일조건이란 전제하에선 플프나 크롭이나 마포나 심지어 똑딱이도 '심도만'은 비슷할겁니다.
하지만 순수하게 심도만 놓고 이야기할수는 없는 부분이니 그 심도와 공간감을 표현하는 표현력에선 센서의 크기,능력,프로세싱차이와 렌즈의 특성, 보케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심 될거같습니다.2016-11-07 12:33 신고
003lunic*피사체와의 거리, 배경과의 거리, 판형 대각선 길이, 초점거리, 조리개값 따위가 들어갑니다. 환산화각은 전혀 안 들어가지만 어차피 판형 크기와 초점거리가 모두 들어가니까 화각은 바로 나오구요. 심도가 뭐냐는 것부터 정리할 필요가 있죠. 초점맞은 면 전후로 어느 범위가 초점이 맞은 것처럼 보이냐는 겁니다.2016-11-07 13:12 신고
다희아빠[암연소혼장] 음... 뭔가 알듯말듯한데요...
판형의 크기 때문에 심도표현의 차이가 있는게 아니고
판형 크기로 인한 렌즈 환산화각이 달라지기 때문에 피사체와의 거리가 달라져서 심도가 변한다는것이군요!
ㅠㅠ 아.. 어렵다...
그런데... 그렇다면.. 그 판형의 크기를 고려해서 나온 것이 환산화각이기 때문에 환산화각 기준으로 심도가 표현된다라고 이해가 되는데...
크롭에 20mm렌즈를 물린것과 마포에 15mm렌즈를 물린것은 같은 거리에서 피사체를 찍었을때 같은 크기로 찍게 되는거잖아요?
그럼 심도가 같아야 하는거 아닌가요?2016-11-07 16:34 신고
암연소혼장[다희아빠]위에서 제가 같은 거리에서 같은 초점 거리와 조리개값의 렌즈로 찍었을 경우 심도가 같다고 말씀드렸죠. 그런데 예를 드신 경우에서는 피사체와의 거리와 조리개값은 동일하지만 크롭쪽의 초점거리가 더 깁니다. 그렇기 때문에 크롭렌즈의 심도가 더 얕게 되는 것이죠. 2016-11-07 16:38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sangwook.han***
닉네임 : plasma
포인트 : 2090 점
레 벨 : 정회원(레벨 : 8)
가입일 : 2015-06-20 08:12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